莊子 - 外篇 23 庚桑楚 12
239` 도와 덕과 본성의 관계 (잡편:23.경상초,12)
- 장자(잡편) ; 제23편 경상초[12]-
도라는 것은 덕이 늘어선 것이다. 삶이란 것은 덕의 빛인 것이다. 본성이란 것은 삶의 바탕인 것이다. 본성이 움직이는 것을 행위라고 말하는데, 행위가 인위적이면 본성을 잃은 것이라 한다.
앎이란 물건과의 접촉에서 생겨난다. 앎이란 생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슬기로운 사람이 알지 못하는 것이 있는 것은, 곁눈질로서는 물건의 전체를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행동을 하되 자연을 따라 부득이하게 움직이는 것을 덕이라 말한다. 행동을 하되 자기의 본성을 잃는 일이 없는 것을 다스림이라 말한다.
명성을 추구하는 것은 사람의 본성과 반대가 되지만 실제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 된다.
- 莊子(雜篇) ; 第23篇 庚桑楚[12]-
道者, 德之欽也. 生者, 德之光也. 性者, 生之質也. 性之動, 謂之爲. 爲之僞, 謂之失. 知者, 接也. 知者, 謨也. 知者之所不知, 猶睨也. 動以不得已之謂德, 動而非我之謂治, 名相反而實相順也.
(도자, 덕지흠야. 생자, 덕지광야. 성자, 생지질야. 성지동, 위지위. 위지위, 위지실. 지자, 접야. 지자, 모야. 지자지소부지, 유예야. 동이부득이지위덕, 동이비아지위치, 명상반이실상순야.)
欽 공경할 흠,신음할 음 1. 공경하다(恭敬--) 2. 존경하다(尊敬--) 3. 흠모하다 4.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5. 구부리다 6. 산(山)이 높다 7. 경칭(敬稱) 8. 근심스러워 하는 모양 a. 신음하다(呻吟--)(=吟) (음) [부수]欠(하품흠)
接 이을 접 1. 잇다 2. 접붙이다 3. 접하다 4. 홀레하다 5. 접촉하다(接觸--), 체험하다(體驗--), 견문하다(見聞--) 6. 사귀다, 교제하다(交際--) 7. 대접하다(待接--), 대우하다(待遇--) 8. 대답하다(對答--), 응... [부수]扌(재방변)
謨 꾀 모 1. 꾀, 계책(計策) 2. 그릇 이름 3. 꾀하다, 계획하다(計劃ㆍ計畫--) 4. 속이다 5. 없다 [부수]言(말씀언)
睨 곁눈질할 예 1. 곁눈질 하다, 흘겨보다 2. 노려보다 3. 엿보다 4. (해가)기울다 [부수]目(눈목)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4 (0) | 2016.10.28 |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3 (0) | 2016.10.28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1 (0) | 2016.10.28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0 (0) | 2016.10.28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9 (0) | 2016.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