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11
281` 외형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 (잡편:26.외물,11) 외모` 형식`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11]-
고요함은 병을 고칠 수 있으며, 눈썹과 머리를 깨끗이 손질을 하면 늙음을 방지할 수가 있고, 편안함은 조급한 마음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방법은 심신을 수고롭게 하는 사람들이나 하는 일이지, 편안히 자득하는 사람들과는 관계가 없어서 그런 사람들은 그에 대해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것이다.
성인이 천하를 바로 고치는 방법에 대해서 신인은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것이다. 현인이 세상을 바로 고치는 방법에 대해서 성인은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것이다. 군자가 나라를 바로 고치는 방법에 대해서 현인은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것이다. 소인들에 시세에 영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군자는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것이다.
송나라 성문밖에 부모를 여읜 사람이 있었는데, 곡하고 슬퍼함으로 상을 치렀다 하여 그에게 관사라는 벼슬이 내려졌다. 그러자 그 마을 사람들 중에 친상을 치르다 몸을 상하게 하여 죽는 자가 태반이나 되었다.
요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 하자 허유는 도망을 쳤다. 탕임금이 무광에게 천하를 물려주려 하자 무광은 노했다.
기타는 그 얘기를 듣고 자기에게 주어질 차례라 단정을 하고, 제자들을 거느리고 관수가로 가서 숨어살았다. 제후들은 기타가 물에 투신할까 걱정되어 삼 년 동안이나 그를 위문했다.
신도적은 그것을 보고 자기도 높은 명망을 얻으려고 황하에 몸을 던져 죽었다.
통발은 고기를 잡는 도구이지만 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게 된다. 올가미란 토끼를 잡는 기구이지만 토끼를 잡고 나면 올가미를 잊게 된다. 말이란 것은 뜻을 표현하는 도구이지만, 뜻을 표현하고 나면 말을 잊게 된다.
우리는 어찌하면 말을 잊은 사람들과 더불어 얘기를 할 수 있게 될까?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11]-
靜然可以補病, 訾媙可以休老, 寧可以止遽. 雖然, 若是, 勞者之務也, 佚者之所未嘗過而問焉. 聖人之所以駴天下, 神人未嘗過而問焉. 賢人所以駴世, 聖人未嘗過而問焉. 君子所以駴國, 賢人未嘗過而問焉. 小人所以合時, 君子未嘗過而問焉.
演門有親死者, 以善毁爵爲官師, 其黨人毁而死者半.
堯與許由天下, 許由逃之. 湯與務光, 務光怒之紀他聞之, 帥弟子而踆於窾水, 諸侯弔之, 三年, 申徒狄因以踣河.
筌者所以在魚, 得魚而忘筌. 蹄者所以在兎, 得兎而忘蹄. 言者所以在意, 得意而忘言. 吾安得夫忘言之人而與之言哉!
(정연가이보병, 자위가이휴로, 녕가이지거. 수연, 약시, 로자지무야, 일자지소미상과이문언. 성인지소이해천하, 신인미상과이문언. 현인소이해세, 성인미상과이문언. 곤자소이해국, 현인미상과이문언. 소인소이합시, 군자미상과이문언.
연문유친사자, 이선훼작위관사, 기당인훼이사자반.
요여허유천하, 허유도지. 탕여무광, 무광로지기타문지, 사제자이준어관수, 제후조지, 삼년, 신도적인이북하.
전자소이재어, 득어이망전. 제자소이재토, 득토이망제. 언자소이재의, 득의이망언. 오안득부망언지인이여지언재!)
訾 헐뜯을 자 1. 헐뜯다 2. 싫어하다 3. 방자하다(放恣--) 4. 되질하다(되로 되어 헤아리다), 말로 용량을 헤아리다 5. 탄식하다(歎息ㆍ嘆息--) 6. 생각하다 7. 한정하다(限定--) 8. 아(탄식하는 말) 9. 흠 10. 재보(財寶:... [부수]言(말씀언)
媙 미녀의 모습 위 1. 미녀(美女)의 모습 [부수]女(계집녀)
遽 급히 거 1. 급(急)히 2. 분주히(奔走-) 3. 갑자기 4. 어찌 5. 역말(驛-: 각 역참에 갖추어 둔 말) 6. 곳, 거처(居處) 7. 술패랭이꽃 8. 군색하다(窘塞--), 절박하다(節拍--) 9. 갑작스럽다 10. 황급하다(遑急--)... [부수]辶(책받침)
佚 편안할 일,방탕할 질 1. 편안하다(便安--) 2. 숨다 3. 달아나다 4. 잃다, 없어지다 5. 예쁘다 6. 아름답다 7. 요염하다(妖艶--) 8. 허물 9. 실수(失手) a. 방탕하다(放蕩--) (질) b. 질탕하다(跌宕ㆍ佚蕩--: 신이 나서 정도가... [부수]亻(사람인변)
駴 놀랄 해 1. 놀라다 2. 소란스럽다(騷亂---) 3. 혼란스럽다(混亂---) 4. 경계하다(警戒--) 5. 흩어지다 6. 어지러워지다 7. 일어서다 [부수]馬(말마)
湯 끓일 탕,물이 세차게 흐를 상,해돋이 양 1. 끓이다 2. 끓인 물 3. 온천 4. 목욕간(沐浴間) a. 물이 세차게 흐르다 (상) b. 해돋이 (양) [부수]氵(삼수변)
踆 마칠 준 1. 마치다 2. 물러나다 3. 짓밟다 4. 차다 5. 쭈그리고 앉다 [부수]𧾷(발족변)
窾 빌 관 1. 비다, 공허하다(空虛--) 2. (초목이)마르다 3. 움푹 들어간 곳 4. 구멍 5. 법규(法規), 규칙(規則) [부수]穴(구멍혈)
徒 무리 도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2. 동류(同類) 3. 제자(弟子), 문하생(門下生) 4. 종(從), 하인(下人) 5. 일꾼, 인부(人夫) 6. 보졸(步卒), 보병(步兵)... [부수]彳(두인변)
狄 오랑캐 적 1. 오랑캐, 북방(北方) 오랑캐 2. 악공(樂工), 낮은 관리(官吏) 3.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4. 꿩의 깃 5. 뛰는 모양 6. 사악하다(邪惡--) 7. 깎다, 도려내다... [부수]犭(개사슴록변)
踣 넘어질 북,넘어질 복,넘어질 부 1. 넘어지다 2. 넘어뜨리다 3. 엎어지다 4. 전복시키다 5. 기울다 6. 망하다(亡--), 멸망하다(滅亡--) 7. 밟다 8. 효수하다(梟首--: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다) a. 넘어지다 (복) b. 넘어뜨리다... [부수]𧾷(발족변)
筌 통발 전 1. 통발(筒-: 대오리로 엮어 만든 고기를 잡는 제구) [부수]竹(대죽)
蹄 굽 제 1. 굽(짐승의 발 끝에 있는 두껍고 단단한 발톱) 2. 발 3. 올무(짐승의 발목을 옭는 그물) 4. 차다 5. 밟다 [부수]𧾷(발족변)
兎 토끼 토 1. 토끼 2. 달(달 속에 토끼가 있다는 뜻에서 달의 별칭이 됨) [부수]儿(어진사람인발)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2 (0) | 2016.12.30 |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1 (0) | 2016.12.29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10 (0) | 2016.12.28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9 (0) | 2016.12.27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8 (0) | 2016.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