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1


318` 자신의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일 (잡편:31.어부,1) 

집단` 단체`적 힘`없이 권력`없이 경재력`없이 꿈`이 크면  도전`하면 고난` 갈등` 사명` 

320 까지 계속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1]- 

공자가 우거진 숲 속을 가다가 살구나무가 있는 높은 단에 앉아 쉬고 있었다. 제자들은 책을 읽고, 공자는 노래를 부르며 거문고를 타고 있었다. 타던 곡조가 채 반도 끝나기 전에 한 어부가 배에서 내려왔다. 수염과 눈썹은 새하얗고 머리칼을 풀어 헤친 채 소매를 휘저으며 강가의 둔덕으로 올라와 발을 멈추었다. 그리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고 오른손으로는 턱을 괸 채 듣고 있었다. 곡이 끝나자 자공과 자로 두 사람을 불러 세우고는 공자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 사람은 무엇을 하는 사람입니까?” 

자로가 대답했다. “노나라의 군자입니다.” 

어부가 물었다. “성씨가 무엇입니까?” 

자로가 대답했다. “성은 공씨입니다.” 

어부가 물었다. “공씨는 무슨 일을 하는 사람입니까?” 

자로가 대답하기 전에 자공이 대답을 했다. 

“공씨는 본성이 충성과 믿음을 지키고 있으며, 몸은 어짊과 의로움을 실행하고, 예의와 음악을 꾸며 놓고, 인륜을 정해 놓았습니다. 위로는 임금께 충성을 다하고, 아래로는 모든 백성을 교화하여 천하를 이롭게 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공씨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어부가 다시 물었다. “그는 영토를 가지고 있는 임금입니까?” 

자공이 말했다. “아닙니다.” 

“그럼 제후와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입니까?” “아닙니다.” 

그러자 어부는 웃으며 돌아서 가면서 중얼거렸다. 

어진 것이 어진 것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그 몸은 화를 면치 못하겠구나. 마음을 괴롭히고 몸을 지치게 하여 자신의 참모습을 위태롭게 하는구나. 아아! 그는 도에서 멀리도 떨어져 있구나!”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1]- 

孔子遊於緇帷之林, 休坐乎杏壇之上. 弟子讀書, 孔子絃歌鼓琴, 奏曲未半. 

有漁父者, 下船而來, 須眉交白, 被髮揄袂, 行原以上, 距陸而止, 左手據膝, 右手持頤以聽. 曲終而招子貢子路, 二人俱對. 

客指孔子曰:「彼何爲者也?」 

子路對曰:「魯之君子也.」 

客問其族. 子路對曰:「族孔氏.」 

客曰:「孔氏者何治也?」 

子路未應, 子貢對曰:「孔氏者, 性服忠信, 身行仁義, 飾禮樂, 選人倫, 上以忠於世主, 下以化於齊民, 將以利天下. 此孔氏之所治也.」 

又問曰:「有土之君與?」 

子貢曰:「非也.」 

「侯王之佐與?」 

子貢曰:「非也.」 

客乃笑而還, 行言曰:「仁則仁矣, 恐不免其身. 苦心勞形以危其眞. 嗚呼, 遠哉其分於道也!」 

(공자유어치유지림, 휴좌호행단지상. 제자독서, 공자현가고금, 취곡미반.

유어부자, 하선이래, 수미교백, 피발요몌, 행원이상, 거륙이지, 좌수거슬, 우수지이이청. 골종이소자공자로, 이인구대.

객지공자왈:[피하위자야?]

자로대왈:[노지군자야.]

객문기족. 자로대왈:[족공씨.]

객왈:[공씨자하치야?]

자로미응. 자공대왈:[공씨자, 성복충신, 신행인의, 식례악, 선인륜, 상이충어세주, 하이화어제민, 장이리천하. 차공씨지소치야.]

우문왈:[유사지군여?]

자공왈:[비야.]

[후왕지좌여?]

자공왈:[비야.]

객내소이환, 행언왈:[인즉인의, 공불면기신. 고심로형이위기진. 오호, 원재기분어도야!])


緇 검을 치  1. 검다 2. 검게 물들다, 검게 물들이다 3. 검은 비단(緋緞) 4. 검은빛 5. 검은 옷 6. 승려(僧侶) 7. 승복 [부수]糹(실사변)

帷 휘장 유  1. 휘장(揮帳: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2. 덮다 3. 가리다 [부수]巾(수건건)

甾 꿩 치/장군 치, 재앙 재  부수田 (밭전, 5획)

杏 살구 행  1. 살구(살구나무, 개살구나무 따위의 열매) 2. 살구나무 3. 은행나무 [부수]木(나무목)

壇 단 단,평탄할 탄,소제할 선  1. 단, 제단(祭壇) 2. 마루 3. 터, 기초(基礎) 4. 강단(講壇) 5. 사회 6. 장소(場所) 7. 특수 사회의 구성원 8. 뜰(집 안의 앞뒤나 좌우로 가까이 딸려 있는 빈터), 안뜰 a. 평탄하다(平坦--) (탄) b.... [부수]土(흙토)

絃 줄 현  1. 줄(무엇을 묶거나 동이는 데에 쓸 수 있는 가늘고 긴 물건) 2. 끈, 줄 3. 현악기(絃樂器) 4. 현악기(絃樂器)의 소리 5. 활시위(활대에 걸어서 켕기는 줄) 6. 부부(夫婦)의 인연(因緣) 7. (현악기를)타다,... [부수]糹(실사변)

鼓 북 고  1. 북(타악기의 하나) 2. 북소리 3. 맥박(脈搏), 심장의 고동(鼓動) 4. 시보(時報), 경점(更點: 북이나 징을 쳐서 알려 주던 시간) 5.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6. 무게의 ... [부수]鼓(북고)

琴 거문고 금  1. 거문고(우리나라 현악기의 하나) 2. 거문고 타는 소리 3. (거문고를)타다 4. 심다 [부수]王(구슬옥변)

奏 아뢸 주  1. 아뢰다(말씀드려 알리다), 여쭈다 2. 바치다, 드리다 3. 이루다, (공을)세우다 4. 모이다 5. 달리다, 향하여 가다 6. 연주하다(演奏--), 취주하다(吹奏--) 7. 상소(上疏) 8. 곡조(曲調) [부수]大(큰대)

須 모름지기 수,수염 수  1. 모름지기(사리를 따져 보건대 마땅히) 2. 틀림없이 3. 결국(結局) 4. 마침내 5. 드디어 6. 반드시 7. 잠깐 8. 본래 9. 원래 10. 수염 11. 마땅히 ~해야 한다 12. 반드시 ~하여야 한다 13. 필요하다... [부수]頁(머리혈)

眉 눈썹 미  1. 눈썹 2. 노인(老人), 눈썹 긴 사람 3. 언저리 4. 가장자리 5. 둘레 6. 미녀(美女) 7. 알랑거리다 8. 교태(嬌態)를 부리다 [부수]目(눈목)

被 입을 피  1. (옷을)입다 2. 당하다(當--) 3. 씌우다, 덮다 4.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5. 더하다,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6. 받다, 받아 가지다... [부수]衤(옷의변)

距 상거할 거,막을 거  1. 상거하다(相距--: 서로 떨어져 있다), 떨어지다 2. 떨어져 있다 3. 걸터앉다 4.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5. 막다, 거부하다(拒否--) 6. 거절하다(拒絶--), 물리치다 7.... [부수]𧾷(발족변)

陸 뭍 륙,뭍 육  1. 뭍(지구의 표면에서 바다를 뺀 나머지 부분. 섬이 아닌 본토) 2. 육지(陸地) 3. 땅 4. 언덕 5. 길 6. 높고 평평(平平)한 땅 7. 여섯(六과 통용) 8. 뛰다 9. 두텁다 10. 어긋나다 [부수]阝(좌부변)

據 근거 거  1. 근거(根據) 2. 근원(根源) 3. 증거(證據) 4. 의지(依支)할 데 5. 기댈 곳 6. 의지하다(依支--) 7. 의탁하다(依託ㆍ依托--) 8. 믿고 의지하다(依支--) 9. 의거하다(依據--) 10. (증거로)삼다 11. 웅.. [부수]扌(재방변)

膝 무릎 슬  1. 무릎 [부수]月(육달월)

持 가질 지  1. 가지다, (손에)쥐다, 잡다 2. 지니다 3. 버티다, 견디어내다, 대립하다(對立--) 4. 보전하다(保全--), 보존하다(保存--) 5. 지키다, 유지하다(維持--) 6. 균형(均衡)이 깨지지 아니하다, 형편(形便)에... [부수]扌(재방변)

頤 턱 이  1. 턱(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2. 아래턱 3. 괘(卦)의 이름 4. 기르다 5. 보양하다(保養--: 잘 보호하여 기르다) 6. 부리다 7. 이사하다(頤使--: 턱으로 부리다. 사람을 마음대로 부리다) [부수]頁(머리혈)

飾 꾸밀 식,경계할 칙  1. 꾸미다 2. 단장하다(丹粧--) 3. 위장하다(僞裝--), 거짓으로 꾸미다 4. 씻다 5. 꾸밈 6. 장식(粧飾) 7. 보물(寶物) 8.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a. 경계하다(警戒--)... [부수]飠(밥식변)

佐 도울 좌  1. 돕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2. 권하다(勸--) 3. 다스리다 4. 도움, 돕는 사람 5. 속료(屬僚), 속관(屬官) 6. 부차적(副次的)인 것 [부수]亻(사람인변)

嗚 슬플 오  1. 슬프다 2. 흐느껴 울다, 목메어 울다 3. 탄식하다(歎息ㆍ嘆息--), 애달파하다 4. 탄식(歎息ㆍ嘆息)하는 소리 5. 노랫소리 6. 새 소리 [부수]口(입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