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2
319` 공자 어부에게 가르침을 청하다 (잡편:31.어부,2)
318 에서 연속 내용 273 도전 사명` 대인` 포부` 꿈` 그릇` 뜻` 큼`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2]-
자공이 돌아와 공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니, 공자는 거문고를 밀쳐놓고 일어나 말했다.
“그는 성인일 것이다.”
그리고는 곧 내려가 그를 뒤쫓아 못가에 이르니 어부는 막 삿대를 집고 배를 띄우려는 참이었다.
공자를 돌아보고는 몸을 돌려 그를 향해 마주섰다. 공자는 뒷걸음질쳐 두 번 절하고는 앞으로 나아갔다.
어부가 물었다.
“그대는 내게 무슨 볼 일이 있으십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조금 전에 선생께서는 채 말씀을 다 안 해 주시고 떠나셨습니다. 저는 어리석어 말씀을 알아들을 수가 없습니다. 마음 속으로 선생을 모시고 아랫자리에 앉아, 다행히 선생의 말씀을 들을 수 있다면 제게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어부가 말했다. “허허 그대는 배우는 것을 무척 좋아하시는군요.”
공자가 두 번 절하고 일어나면서 말했다.
“저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배우기를 좋아하여 이제 예순아홉 살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극한 가르침은 듣지 못했습니다. 어찌 감히 마음을 비우고 선생의 가르침을 기다리지 않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2]-
子貢還, 報孔子. 孔子推琴而起曰:「其聖人與!」 乃下求之, 至於澤畔, 方將杖拏而引其船, 顧見孔子, 還鄕而立. 孔子反走, 再拜而進.
客曰:「子將何求?」
孔子曰:「曩者先生有緖言而去, 丘不肖, 未知所謂, 竊待於下風, 幸聞咳唾之音以卒相丘也.」
客曰:「嘻! 甚矣子之好學也!」
孔子再拜而起曰:「丘少而修學, 以至於今, 六十九歲矣, 无所得聞至敎, 敢不虛心!」
(자공환, 보공자. 공자추금이기왈:[기성인여!] 내하구지, 지어택반, 방장장라이인기선, 고견공자, 환향이립. 공자반주, 재배이진.
객왈:[자장하구?]
공자왈:[낭자선생유서언이거, 구불초, 미지소위, 절대어하풍, 행문해타지음이졸상구야.]
객왈:[희! 심의자지호학야!]
공자재배이기왈:[구소이수학, 이지어금, 육십구세의, 무소득문지교, 감불허심!])
畔 밭두둑 반,배반할 반 1. 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坢) 2.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3. 물가(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 4. 배반하다(背反ㆍ背叛--)(=叛) 5. 어그러지다 6. 피하다(避--) 7. 발호하다(跋扈--:... [부수]田(밭전)
拏 붙잡을 나,붙잡을 라 1. 붙잡다 2. 맞당기다, 잡아당기다 3. 체포하다(逮捕--) 4. 비비다, 뒤섞다 5. 누르다 [부수]手(손수)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曩 접때 낭 1. 접때(오래지 아니한 과거의 어느 때) 2. 앞서 3. 전에 4. 성(姓)의 하나 [부수]日(날일)
緖 실마리 서,나머지 사 1. 실마리 2. 첫머리, 시초(始初) 3. 차례(次例), 순서(順序) 4. 차례(次例)를 세워 선 줄 5. 계통(系統), 줄기 6. 사업(事業), 일 7. 나머지 8. 마음 9. 찾다 a. 나머지 (사) [부수]糹(실사변)
肖 닮을 초,같을 초,꺼질 소 1. 닮다 2. 모양이 같다 3. 본받다 a. 꺼지다 (소) b. 쇠약하다(衰弱--) (소) c. 쇠하다(衰--) (소) d. 흩어지다 (소) e. 작다 (소) [부수]月(육달월)
不肖 불초 ①못나고 어리석음, 또는 그런 사람. 어버이의 덕행(德行)이나 사업(事業)을 이을 만한 능력(能力)이 없음, 또는 그런 사람 ②자기(自己)를 겸손(謙遜)하여 이르는 말
竊 훔칠 절 1. 훔치다 2. 도둑질하다 3. 절취하다 4. 도둑 5. 도둑질 6. 살짝 7. 남몰래 8. 마음속으로 9. 슬그머니 [부수]穴(구멍혈)
咳 어린아이 웃을 해,기침 해 1. 어린아이가 웃다 2. 방긋 웃다 3. 포괄하다(包括--) 4. 기침을 하다 5. 기침 [부수]口(입구)
唾 침 타 1. 침(무색의 끈기 있는 소화액) 2. 침을 뱉다 3. 토하다(吐--), 게우다 4. 읊다 [부수]口(입구)
咳唾 ①기침과 침 ②어른의 말씀
嘻 화락할 희,아 의 1.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2. 웃다 3. 억지로 웃다 4. 자득하다 5. 신칙하다(申飭--: 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다) a. 아(감동하여 내는 소리) (의) [부수]口(입구)
虛 빌 허 1. 비다, 없다 2. 비워 두다 3. 헛되다 4. 공허하다(空虛--) 5. 약하다(弱--) 6. 앓다 7. 살다, 거주하다(居住--) 8. 구멍 9. 틈, 빈틈 10. 공허(空虛), 무념무상(無念無想) 11. 마음 12. 하늘 13. 폐허(廢墟)... [부수]虍(범호엄)
虛室生白 방을 비우면 빛이 그 틈새로 들어와 환하다는 뜻으로, 무념무상(無念無想)의 경지(境地)에 이르면 저절로 진리(眞理)에 도달(到達)할 수 있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4 (0) | 2017.03.16 |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3 (0) | 2017.03.15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1 (0) | 2017.03.13 |
莊子(雜篇) ; 第30篇 說劒 2 (0) | 2017.03.09 |
莊子(雜篇) ; 第30篇 說劒 1 (0) | 2017.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