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 총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寵(총)사랑할,(룡)현이름/辱(욕)욕될/若(약)같을,(야)반야,[ ruò ] 만일, 만약, ~와 같다,~인듯하다, 너, 당신/驚(경)놀랄/贵 [guì]
是謂寵辱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시위총욕약경 하위귀대환약신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급오무신 오유하환
故貴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 若可託天下.
고위이신위천하 약가기천하 애이신위천하 약가탁천하
寄(기)부칠,[ jì ]부치다, 보내다, 전하다, 맡기다, 기대다/託(탁)부탁할
- 중국어 읽기 :
宠(chǒng)辱(rǔ)若(ruò)惊(jīng),
贵(guì)大(dà)患(huàn)若(ruò)身(shēn).
何(hé)谓(wèi)宠(chǒng)辱(rǔ)若(ruò)惊(jīng)?
宠(chǒng)为(wéi)下(xià)
得(de)之(zhī)若(ruò)惊(jīng),失(shī)之(zhī)若(ruò)惊(jīng),
是(shì)谓(wèi)宠(chǒng)辱(rǔ)若(ruò)惊(jīng).
何(hé)谓(wèi)贵(guì)大(dà)患(huàn)若(ruò)身(shēn)?
吾(wú)所(suǒ)以(yǐ)有(yǒu)大(dà)患(huàn)者(zhě),
为(wéi)吾(wú)有(yǒu)身(shēn),及(jí)吾(wú)无(wú)身(shēn),
吾(wú)有(yǒu)何(hé)患(huàn)?
故(gù)贵(guì)以(yǐ)身(shēn)为(wéi)天(tiān)下(xià)者(zhě),
则(zé)可(kě)以(yǐ)寄(jì)於(yū)天(tiān)下(xià),
爱(ài)以(yǐ)身(shēn)为(wéi)天(tiān)下(xià)者(zhě),
乃(nǎi)可(kě)以(yǐ)托(tuō)於(yū)天(tiān)下(xià).
- 참고 :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놀란 듯 하라. 큰 어려움을 네 몸과같이 대하라.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놀란 듯 하라'는 말은 무엇인가? 사랑받음은 곧 그것을 잃게된다는 말이니 그것을 얻어도 놀란 듯 하고 그것을 잃어도 놀란듯 하라. 이것이 바로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놀란 듯 하라’라는 말이다.
'큰 어려움을 네 몸과같이 대하라'는 말은 무엇인가? 내가 큰 어려움을 가지게되는 까닭은 몸을 가지고있기 때문이다. 내게 몸이 없다면 내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몸과같이 천하를 아낀다면 그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다. 몸과 같이 천하를 아낀다면 그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다
- 참고2: 寵爲下 아래에 들어가(신하가 되어) 총애를 받다 (?)
- 참고자료 : 총애를 받으나 욕을 받으나 다 같이 놀란 것 같이 하라. 큰 걱정을 귀하게 여기기를 내 몸과 같이 하라. 총애를 받으나 욕을 받으나 다 같이 놀란 것 같이 하란 말은 무엇을 일컬음인가? 총애는 항상 욕이 되기 마련이니 그것을 얻어도 놀란 것처럼 할 것이요, 그것을 잃어도 놀란 것처럼 할 것이다. 이것을 일컬어 총애를 받으나 욕을 받으나 늘 놀란 것 같이 하란 것이다. 큰 걱정을 귀하게 여기기를 내 몸과 같이 하란 말을 무엇을 일컬음인가? 나에게 큰 걱정이 있다는 까닭은 내가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몸이 없는데 이르러면 나에게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자기 몸을 귀하게 여기는 것처럼 천하를 귀하게 맡길 수 있는 것이다. 자기 몸을 아끼는 것처럼 천하를 아끼는 자에겐 정녕코 천하를 맡길 수 있는 것이다.
* 복이 화가 되고 또 화가 복이 되는 것은 그 변화가 불측하여 그 끝을 알 수가 없고, 그 이치가 깊고 깊어 이루다 헤아릴 수가 없다. 이는 고사성어 ‘회남자’의 새옹지마의 유래가 됨.
* 내일의 보상이 있기 때문에 오늘의 고난을 인내하고 극복한다는 것은 지극히 자기 기만적인 편협한 생각이다. 오늘의 나의 고난 자체가 가만히 잘 생각해보면 내가 스스로 지어낸 고난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진짜 고난이 아닐 수도 있다.
* 아름다움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추함이 될 수가 있고, 선함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선하지 않음이 될 수도 있다. 고통과 환난과 아픔을 극복하려하지 말라. 그것을 내 몸과 같이 귀하게 여기어라.
- 준이해석 : 총애를 받고 모욕을 받는 것을 놀라듯이 하라. 큰 우환을 귀히 하기를 몸처럼 하라. 어찌하여 총애를 받고 모욕을 받는 것을 놀라듯이 하라고 이야기 하는가. 아래에 들어가(신하가 되어)총애를 받는 것, 그것을 얻음에 놀라듯이 하고 그것을 잃음에 놀라듯이 하라 이것이 총애를 받고 모욕을 받는 것을 놀라듯이 하라는 말이다. 큰 우환을 (자신의) 몸처럼 귀히하라는 말은 어째서인가. 내가 이른바 큰 우환을 가지고 있다치면 나를 위해 (내) 몸이 있는 것이고 이내 내가 몸이 없다면 내가 무슨 우환을 가지겠는가, 고로 몸으로써 천하를 위해 귀히 여기고, 천하에 기대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몸을 천하를 위해 사랑하고 천하를 맡기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되는 것이다.
- 준이생각 : 총애를 받고 모욕을 받는 것은 말 그대로 남(바깥)에게서 나에게로 오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이는 내가 의도하든 의도치 않든 상관없이 나에게 닥치는 것이기에 이러한 일을 당함에 들뜨거나 낙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를 밑으로 가서 총애를 받고 또 모욕을 당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직원이나 신하의 일처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허나 우환이라는 것은 바로 내가 내 몸을 가지고 이 세상에 살아 있기에 바로 나에게 생기는 일이니 이는 마치 내 몸처럼 귀히 여기라는 것인데, 이는 이러한 우환이 바로 나 자신의 몸과 마음을 수양하는 가장 중요한 기폭제가 될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렇기에 내가 천하를 위하여 몸으로서 귀히 여긴다면 천하를 맡기고 천하에 의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 구절도 내 오감에 느껴지는 것들에도 그 실체와 근본이 있는 것과 요란하지만 무의미한 것(허)도 있으니 이를 잘 가려라는 의미가 아닐까 한다. 가물하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15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0) | 2015.12.18 |
---|---|
道德經 - 14 [視之不見] (0) | 2015.12.16 |
道德經 - 12 [五色令人目盲] (0) | 2015.12.14 |
道德經 - 11 [三十輻共一轂] (0) | 2015.12.11 |
道德經 - 10 [載營魄抱一] (0) | 201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