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焉若冬涉川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예언약동섭천

豫(예)미리,(서)펼,[ yù ] 편안하다, 즐겁다/犹豫 [yóuyù] 머뭇거리다. 주저하다. 망설이다./涉[ shè ]건널 섭, 건너다, 경험하다


猶兮若畏四隣 儼兮其若容 渙兮若氷之將釋 敦兮其若樸 曠兮其若谷 混兮其若濁

유혜약외사린 엄혜기약용 환혜약빙지장석 돈혜기약복 광혜기약곡 혼혜기약탁

猶(유)오히려,움직일/兮(혜)어조사[ xī ]감탄 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함,‘啊(à)’와 비슷함./儼[ yǎn ]俨,의젓할 엄, 정중하다, 마치~같다/容[ róng ]얼굴 용, 받아들이다,용서하다,허락하다,용모,표정,상황,아마,혹시/渙(환)흩어질,흩어지다, 풀리다, 찬란하다, 빛나다/氷(빙)얼음,(응)엉길/釋(석)풀,(역)기뻐할/敦(돈)도타울,(퇴)다스릴,(대)제기,(단)모일,(조)아로새길,(도)덮을,[ dūn ]성실하다, 진실하다, 독촉하다/樸(박)순박할,(복)빽빽할/曠(광)빌, 밝을,旷[ kuàng ]텅비고 넓다, 광활하다, 탁트이다, 느긋하다, 오래다, 느슨하다, 태만하다/混(혼)섞을,혼탁하다, 흐리다, 맞추다, 가장하다, 속이다, 되는대로 살다,(곤)오랑캐/濁(탁)흐릴,더럽다, 어지럽다, 바보스럽다,우둔하다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動之徐生 保此道者 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숙능탁이정지제청 숙능안이구동지제생 보차도자 불욕영 부유불영 고능별불신성

孰(숙)누구,익을/徐(서)천천히 할, 평온하다, 조용하다, 모두/蔽(폐)덮을, (별)닦을, 총괄하다, 개괄하다, 판단하다, 도달하다, 해지다, 발, 울타리



- 참고 : 옛날에, 도를 잘 행하는 자는 꼼꼼하고 묘하며 그윽하고 열린 사람이라 깊이를 알 수 없었다. 알 수 없으나 억지로 말해본다. 머뭇거리니 겨울개울을 건너는 듯 하고, 주저하니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하다. 준엄하니 손님 같고, 풀어지니 얼음이 녹으려는 듯 하며도타우니 통나무 같고, 비어있으니 계곡 같으며, 혼란하니 탁한 물과 같다. 누가 혼탁함을 고요히 하여 천천히 맑게 할 수 있는가? 누가 편안함을 끊임없이 움직여 천천히 생동하게 할 수 있는가? 이 도를 가진 이는 가득 채우려 하지 않으니, 채우지 아니하여 능히 낡게 하고 새로움을 만들지 않는다. 



- 참고자료 : 예부터 도를 잘 실천하는 자는 세미하고 묘하며 가믈하고 통한다. 너무깊어 헤아릴 길이 없다. 대저 오로지 헤아릴 길 없어 억지로 다음과 같이 형용한다. 머뭇거리네, 겨울에 살얼음 냇갈을 건너는 것 같고. 쭈물거리네 사방의 주위를 두려워 살피는 것 같다. 근엄하도다 그것이 손님의 모습과 같고, 흩어지도다 녹으려하는 얼음과 같다. 도탑도다 그것이 질박한 통나무 같고, 텅비었도다 그것이 빈 계곡같네. 혼돈스런 모습이여 그것이 흐린 물과도 같도다! 누가 능히 자기를 흐리게 만들어 더러움을 가라앉히고 물을 맑게 할 수 있겠는가? 누가 능히 자기를 안정시켜 오래가게 하며 천천히 움직여서 온갖 것을 생하게 할 수 있겠는가? 이 도를 보존하는 자는 채우려 하지 않는다. 대저 오로지 채우려하지 않기에 그러므로 능히 자기를 낡게하면서 새로이 이루지 아니할 수 있는 것이다.


* 노자의 인격적 깊이를 느끼게 해준다. 생생한 느낌, 개념적이 아니면서, 아주 개인의 삶의 태도와 직결되어 있는 어떤 수양론적 메세지를 담고 있다. 걸레는 자신을 더럽히면서 주변을 정리한다. 나의 깨끗함과 고고함이 이 사회를 깨끗하고 고고하게 만드는 유래는 없다. 나의 깨끗함과 고고함 자체가 이 사회의 더러움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준이해석 : 예부터 선비(士,하나를(一) 배우면 열을(十) 깨우치는 사람이라는 데서 '선비'를 뜻함)가 되려고 열심히 한 사람은, 미묘하고 가물한 도를 통한 사람이다. 깊어 알 수 없고, 그는 오직 알 수 없음에도, 고로 애써 그 용모를 위(표현)하자면, 머뭇거림이 겨울에 개울을 건너는 듯 하고, 움직임이 주변을 두려워 하는 듯 하고, 엄숙함이 용서해 주는 듯 하며, 빛남이 얼음이 장차 풀리는 듯하다. 도타움이 빽빽한 숲과 같고, 넓고 텅 빈 것이 계곡과 같고, 흐림이 뒤섞인 것 같다. 누가 능히 흐리면서 그것을 맑게 하고 모두를 생하게 할수 있는가.누가 능히 편안히 그것을 영구히 움직이면 모두가 생하게 할 수 있는가. 이러한 도를 지키는 자는, (가득) 채우려 하지 않는다, 그는 오직 (가득)채우지 않고서, 그리하여 새로움이 만들어짐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만들어지지 않음에 도달하다)


- 준이생각 : 미묘현통微妙玄通한 사람이란 그 미묘하고 가물한 도를 통한 사람이다. 미묘하다는 것은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물리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뚜렷이 파악이 되었다 싶으면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인과관계를 설명하려 하면 수많은 변수와 그 시간과 공간사이의 상호작용을 차마 다 풀어 낼 수 없어, 거뭇하게 아롱거리는 그 실체, 공이며 혼돈이며 무위의 세상의 이치가 아니겠는가? 이를 통한 사람은 이러하다라고 노자는 이야기 하고 있다. 우리처럼 모르는 사람의 눈에는 머뭇거리듯이, 두려워 하듯이, 엄숙하듯이, 혼란에 빠진 듯이, 그리고 도타운 듯이, 텅 비어 깊은 듯이, 그리하여 스스로 혼란함에 몸을 빠뜨려 세상(모든 생물)을 정화 시키고 움직이고.... 이 사람은 가득 채우려 하는 욕심이 없음에, 완전히 없던 새로운 것(아마도 세상의 무위, 혼돈, 공허는 태초부터 있던 것들의 움직임일 터, 완전히 새로운 것은 그렇지 않은 것, 몸으로 치면 암같은 것이 아닐까 한다)이 생겨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런 뜻이 아닐까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