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14 天運 4
144` 처지와 시대에 맞아야 한다 (외편:14.천운,4)
- 장자(외편) ; 제14편 천운[4]-
공자가 서쪽 위나라로 여행을 갔을 때, 안연이 사금에게 물었다.
“선생님의 이번 여행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금이 말했다. “애석하게도 당신의 선생님은 궁지에 몰리게 될 것입니다.”
안연이 물었다. “왜 그렇습니까?”
사금이 말했다. “무당이 쓰는 개허수아비는 귀신 앞에 진열되기 전에는 상자에 담겨지고 무늬를 수놓은 보자기에 싸여집니다. 시동과 축관은 제계를 하고 그것을 신에게 바칩니다. 그러나 그것을 바치고 난 다음에는 길가는 사람들이 그 머리와 등을 짓밟고, 풀 베는 사람이 그것을 가져다 아궁이에 불쏘시개로 때게 됩니다. 그렇지 않고 누군가 다시 그것을 가져다가 상자에 담고 무늬가 수놓인 보자기에 싸놓고 그 곁에서 자고 눕고 한다면, 그가 악몽을 꾸게 되거나 자주 가위에 눌리게 된다고들 합니다.
지금 당신의 선생님은 옛 임금들이 이미 사용한 개허수아비를 가져다 제자들을 모아놓고 함께 그 곁에 노닐면서 자고 눕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송나라에서는 나무를 베어 넘기는 협박을 당하였고, 위나라에서는 발자국까지 지우며 다녀야 할 정도로 쫓기며 두 나라에서 궁지에 몰렸었습니다. 이것이 악몽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를 당하여 칠일동안이나 익힌 음식을 먹어보지도 못하고, 죽음과 삶 사이에서 지냈습니다. 이것이 가위눌리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물 위를 여행하기에는 배를 이용하는 것보다 좋은 것이 없고, 땅 위를 여행하는 데는 수레를 이용하는 것보다 좋은 것이 없습니다. 배로 물 위를 여행할 수 있다고 해서 땅 위에서도 배를 저어가려 한다면 평생을 가도 얼마 나아가지 못할 것입니다. 옛날과 지금이란 물이나 육지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주나라와 노나라는 배나 수레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지금 주나라의 방식을 노나라에 행하려고 하는 것은 마치 육지 위에서 배를 밀고 가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힘들기만 하지 아무런 성과도 없을 것이며 자신에게 반드시 재앙이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저들은 방향이 없는 작용이 사물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궁지에 몰리는 일이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선생께서는 무거운 추를 달아놓은 두레박틀을 보지 못하셨습니까? 끌어올리면 내려가고 놓으면 올라갑니다. 그것은 사람이 끌어당기는 것이지 사람을 끌어당기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내려가든 올라가든 사람에게 책잡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삼황오제의 예의와 법도는 모두 공통됨을 숭상하지 않고 세상을 다스리는 것을 숭상했습니다. 그러니 삼황오제의 예의와 법도를 비유로 들면 마치 돌배와 배와 귤과 유자나 같은 것입니다. 그 맛은 모두 틀리지만 모두가 입에 넣으면 맛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의와 법도라는 것은 시대를 따라서 변해야 되는 것입니다.
원숭이에게 주공의 옷을 입혀준다면 원숭이는 반드시 물어뜯고 찢어발겨 모두 벗어야 만족을 할 것입니다. 옛날과 지금의 차이를 보면 마치 원숭이가 주공과는 다른 것이나 같습니다.
아름다운 서시가 가슴이 아파서 그의 동네에서 얼굴을 찌푸리고 다니자, 그 동네에 사는 못난 여자가 그것을 보고 아름답게 생각하고는 돌아와서 자기도 역시 가슴에 두 손을 얹고서 남이 보는 데서 얼굴을 찌푸렸습니다. 그 마을의 부자는 그를 보고는 문을 굳게 닫아걸고서 나가지 않았고, 가난한 사람들은 그를 보고는 처자를 거느리고 다른 고장으로 달아났다고 합니다. 그 여자는 아름다운 얼굴에 찌푸림이 있음만을 알았지 얼굴을 찌푸리는 것이 아름다운 이유는 몰랐던 것입니다. 애석하게도 당신의 선생님도 이와 같은 궁지에 몰리게 될 것입니다.”
- 莊子(外篇) ; 第14篇 天運[4]-
孔子西遊於衛. 顔淵問師金曰:「以夫子之行爲奚如?」
師金曰:「惜乎, 而夫子其窮哉!」
顔淵曰:「何也?」
師金曰:「夫芻狗之未陳也, 盛以筴衍, 巾以文繡, 尸祝齊戒以將之. 及其已陳也, 行者踐其首脊, 蘇者取而爨之而已. 將復取而盛以筴衍, 巾以文繡, 遊居寢臥其下, 彼不得夢, 必且數眯焉. 今而夫子, 亦取先王已陳芻狗, 聚弟子游居寢臥其下. 故伐樹於宋, 削迹於衛, 窮於商周, 是非其夢邪? 圍於陳蔡之間, 七日不火食, 死生相與隣, 是非其夢邪?
「夫水行莫如用舟, 而陸行莫如用車. 以舟之可行於水也而求推之於陸, 則沒世不行尋常. 古今非水陸與? 周魯非舟車與? 今蘄行周於魯, 是猶推舟於陸也, 勞而无功, 身必有殃. 彼未知夫无方之傳, 應物而不窮者也.
「且子獨不見夫桔橰者乎? 引之則俯, 舍之則仰. 彼, 人之所引, 非引人也, 故俯仰而不得罪於人. 故夫三皇五帝之禮義法度, 不矜於同而矜於治, 故譬三皇五帝之禮義法度, 其猶柤 梨橘柚邪! 其味相反而皆可於口.
「故禮義法度者, 應時而變者也. 今取猨狙而衣以周公之服, 彼必齕齧挽裂, 盡去而後慊. 觀古今之異, 猶猨狙之異乎周公也. 故西施病心而矉其里, 其里之醜人見之而美之, 歸亦捧心而矉其里. 其里之富人見之, 堅閉門而不出, 貧人見之, 挈妻子而去走. 彼知矉美, 而不知矉之所以美. 惜乎, 而夫子其窮哉!」
(공자서유어위. 안연문사금왈:[이부자지행위해여?]
사금왈:[석호, 이부자기궁재!]
안연왈:[하야?]
사금왈:[부추구지미진야, 성이협연, 건이문수, 호축제계이장지. 급기이진야, 행자천기수척, 소자취이찬지이이. 장복취이성이협연, 건이문수, 유거침와기하, 피부득몽, 필차수미언. 금이부자, 역취선왕이진추구, 취제자유거침와기하. 고벌수어송, 삭적어위, 궁어상주, 시비기몽야? 위어진채지간, 칠일불화식, 사생상여린, 시비기몽야?
[부수행막여용주, 이륙행막여용차. 이주지가행어수야이구추지어륙, 즉몰세불행심상. 고금비수륙여? 주노비주차여? 금기행주어노, 시유추주어륙야, 로이무공, 심신유앙. 피미지부무방지전, 응물이불궁자야.
[차자독불견부길고자호? 인지즉부, 사지즉앙. 피, 인지소인, 비인인야, 고부앙이부득죄어인. 고부삼황오제지례의법도, 불긍어동이긍어치, 고비삼황오제지예의법도, 기유사 리귤유야! 기미상반이개가어구.
[고예의법도자, 응시이변자야. 금취원저이의이주공지복, 피필흘설만렬, 진법이후겸. 관고금지이, 유원저지이호주공야. 고서시병심이빈기리, 기리지추인견지이미지, 귀역봉심이빈기리. 기리지복인견지, 견폐문이불출, 빈인견지, 설처자이거주. 피지빈미, 이부지빈지소이미. 석호, 이부자기궁재!])
衛 지킬 위 1. 지키다 2. 보위하다(保衛--) 3. 호위하다(護衛--) 4. 막다 5. 아름답다 6. 좋다 7. 의심하다(疑心--) 8. 경영하다(經營--) 9. 덮다 10. 지킴 11. 경영(經營) 12. 나라의 이름 13. 성(姓)의 하나 [부수]行(다닐행)
芻狗 ①쓸데없이 되어 버린 물건(物件)의 비유(比喩ㆍ譬喩) ②짚으로 만든개
芻 꼴 추 1.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2. 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3. 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4. 풀 먹는 짐승 5. 기르다 [부수]艹(초두머리)
狗 개 구 1. 개(작은 개) 2. 강아지 3. 범 새끼 4. 곰 새끼 5. 개새끼(행동이 나쁜 사람 비유) 6. 별 이름 [부수]犭(개사슴록변)
筴 낄 협,점대 책 1. 끼다 2. 집다 3. 기뻐하다 4. 집게 a.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책) b. 대쪽 (책) c. 계책(計策) (책) d. 꾀 (책) e. 꾀하다 (책) [부수]竹(대죽)
衍 넓을 연 1. 넓다 2. 넓히다, 확충하다(擴充--) 3. 넘치다, 흐르다 4. 남다 5. 넉넉하다, 풍부하다(豐富--) 6. 지나다 7. 펴다, 산개하다(散開--), 배치하다(配置--) 8. 이끌다, 초빙하다(招聘--) 9. (널리)퍼지다... [부수]行(다닐행)
繡 수놓을 수 1. 수놓다(繡--) 2. 오색을 갖추다 3. 수 4. 비단(緋緞) 5. 비단(緋緞) 조각 [부수]糸(실사)
踐 밟을 천 1. 밟다 2. (발로)디디다 3. 짓밟다, 유린하다(蹂躪ㆍ蹂躙ㆍ蹂蹸--) 4. 이행하다(履行--) 5. 실행하다(實行--), 실천하다(實踐--) 6. 소홀(疏忽)히 하다 7. 베다 8. 손상하다(損傷--) 9. 해치다, 다치다...
脊 등마루 척 1. 등마루(등골뼈가 있는 두두룩하게 줄진 곳) 2. 등골뼈 3. (일이 이루어져 나가는)조리(條理) 4. 어지러워지다 [부수]月(육달월)
蘇 되살아날 소,차조기 소 1. 되살아나다 2. 소생하다(蘇生ㆍ甦生--), 깨어나다 3. (잠에서)깨다 4. 깨닫다 5. 찾다, 구하다(求--) 6. 잡다, 취하다(取--) 7. 거스르다, 역행하다(逆行--) 8. 그르치다, 틀리다 9. 소홀(疏忽)히 하다... [부수]艹(초두머리)
爨 부뚜막 찬,부뚜막 촌 1. 부뚜막, 아궁이 2. 부엌 3. 별 이름 4. 불 때다 5. 밥을 짓다 6. 부글부글 끓으려 하다 a. 부뚜막, 아궁이 (촌) b. 부엌 (촌) c. 별 이름 (촌) d. 불 때다 (촌) e. 밥을 짓다 (촌) f. 부글부글 끓으려... [부수]火(불화)
巾 수건 건 1. 수건(手巾) 2. 헝겊, 피륙 3. 두건(頭巾) 4. 공포(功布: 관을 닦는 데 쓰는 삼베 헝겊) 5. 책을 넣어 두는 상자(箱子) 6. 덮다, 덮어 가리다 7. 입히다 [부수]巾(수건건)
眯 눈에 티가 들어갈 미 1. 눈에 티가 들어가다 2. 가위눌리다(움직이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다) 3. 애꾸눈(한쪽이 먼 눈) [부수]目(눈목)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부수]耳(귀이)
伐 칠 벌 1. 치다, 정벌하다(征伐--) 2. 베다 3. (북을)치다 4. 찌르다, 찔러 죽이다 5. 비평하다(批評--) 6. 모순되다(矛盾--), 저촉되다(抵觸--) 7. 무너지다 8. 자랑하다 9. 치료하다(治療--) 10. 방패(防牌ㆍ旁牌)...[부수]亻(사람인변)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 (초) [부수]刂(선칼도방)
迹 자취 적 1.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발자취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부수]辶(책받침)
圍 에워쌀 위,나라 국 1. 에워싸다 2. 둘러 싸다 3. 포위하다 4. 두르다 5. 지키다 6. 사냥하다 7. 둘레 8. 경계(境界) 9. 포위 10. 아름(양 팔을 벌려 낀 둘레) a. 나라, 국가(國家) (국) b. 서울, 도읍(都邑) (국) c. 고향(故鄕)... [부수]囗(큰입구몸)
蔡 성씨 채,내칠 살 1. 성(姓)의 하나 2. 풀 3.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4. 법(法) 5. 나라의 이름 6. 먼지 7. 쇠약해지다(衰弱---) 8. 줄이다 9. (풀이)흐트러지다 a. 내치다 (살) b. 추방하다(追放--) (살) [부수]艹(초두머리)
舟 배 주 1. 배, 선박(船舶) 2. 반(제기(祭器)인 준을 받쳐놓는 그릇) 3. 성(姓)의 하나 4. (몸에)띠다 5. 배 타고 건너다 6. 싣다 [부수]舟(배주)
沒 빠질 몰
1. (물에)빠지다, 가라앉다 2. 잠수하다(潛水--), 무자맥질하다(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다) 3. 다하다, 끝나다, 바닥나다(돈이나 물건을 다 써서 없어지다) 4. 마치다 5. 죽다(=歿) 6....[부수]氵(삼수변)
尋 찾을 심 1. 찾다, 캐묻다 2. 탐구하다(探求--), 연구하다(硏究--) 3. 쓰다, 사용하다 4. 치다, 토벌하다(討伐--) 5. 잇다, 계승하다(繼承--) 6. 첨가하다, 거듭하다 7. 생각하다 8. 높다 9. 길다 10. 깊다 11.... [부수]寸(마디촌)
蘄 풀 이름 기,재갈 기,당귀 근 1. 풀 이름 2. 신감채(辛甘菜: 승검초.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3. 재갈(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 4. 나무의 이름 5. 구하다(求--) 6. 바라다 a. 당귀(當歸: 신감채의...[부수]艹(초두머리)
桔 도라지 길 1. 도라지 2. 두레박틀 3. 높고 험준(險峻)한 모양 4. 두레박질하다 [부수]木(나무목)
橰 두레박 고 1. 두레박 2. 나무의 이름 [부수]木(나무목)
桔橰 길고. 돌을 매달아 그 무게로 물을 긷게 돈 두레박 틀
俯 구부릴 부 1. 구부리다 2. (고개를)숙이다 3. 눕다, 드러눕다 4. 숨다, 잠복하다 5. 가지런하지 아니하다 [부수]亻(사람인변)
仰 우러를 앙 1. 우러러보다, 경모하다(景慕--), 앙모하다(仰慕--) 2. 의지하다(依支--), 의뢰하다(依賴--) 3. 머리를 쳐들다 4. 높다 5. 마시다 6. 명령(命令) [부수]亻(사람인변)
罪 허물 죄 1. 허물, 죄 2. 잘못, 과실(過失) 3. 죄인(罪人) 4. 재앙(災殃), 온갖 불행한 일 5. 그물 6. (허물을)탓하다, 떠넘기다 7. 죄를 주다 [부수]罒(그물망머리)
矜 자랑할 긍,창 자루 근,앓을 관 1. 자랑하다 2. 불쌍히 여기다 3. 괴로워하다 4. 아끼다 5. 엄숙하다(嚴肅--) 6. 공경하다(恭敬--) 7.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8. 숭상하다(崇尙--) 9. 위태하다(危殆--) a. 창(槍) 자루(끝에... [부수]矛(창모)
譬 비유할 비 1. 비유하다(比喩ㆍ譬喩--), 설명하다(說明--) 2. 깨우치다, 인도하다(引導--) 3. 깨닫다 4. 비유(比喩ㆍ譬喩) 5. 비유컨대 [부수]言(말씀언)
猶 오히려 유,움직일 요 1. 오히려 2. 가히 3. 다만 4. 이미 5. 크게, 지나치게 6. ~부터 7. 그대로 8. 마땅히 9. 원숭이 10. 태연(泰然)한 모양 11. 허물 12. 꾀하다 13. 망설이다 14. 머뭇거리다 15. 말미암다(=由) 16. 같다,...[부수]犭(개사슴록변)
柤 풀명자나무 사,도마 조 1. 풀명자나무(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관목) 2. 아가위나무(산사나무) 3. (나무로 만든)난간(欄干ㆍ欄杆) 4. 방죽(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둑 5. 보(洑: 논에 물을 대기 위한 수리... [부수]木(나무목)
橘 귤 귤 1. 귤 2. 귤나무 3. 달 이름 [부수]木(나무목)
柚 유자 유,바디 축 1. 유자(柚子: 유자나무의 열매) 2. 유자나무(柚子--) 3. 대나무의 이름 a. 바디(베틀, 가마니틀, 방직기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축) [부수]木(나무목)
猨 원숭이 원 1. 원숭이 2. 짐승 이름 [부수]犭(개사슴록변)
狙 원숭이 저,엿볼 저 1. (긴팔)원숭이 2. 엿보다 3. 노리다 4. 교활하다(狡猾--) 5. 찾다 [부수]犭(개사슴록변)
齕 깨물 흘 1. 깨물다 2. 씹다 [부수]齒(이치)
齧 물 설 1. 물다 2. 깨물다 3. 침식하다(侵蝕--: 세력이나 범위 따위가 점점 줄어들다) 4. 씹다 5. 갉아먹다 [부수]齒(이치)
挽 당길 만 1. 당기다, 잡아당기다 2. 끌다 3. 말다, 말아 올리다 4. 짜다, 짜서 얽어매다 5. 애도하다 6. 만사(輓詞ㆍ挽詞: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는 말) [부수]扌(재방변)
裂 찢을 렬,찢을 열 1. 찢다, 찢어지다 2. 쪼개다, 분할하다(分割--) 3. 터지다 4. 해지다, 무너지다 5. 마르다(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재단하다(裁斷--) 6. 거열(車裂: 수레에 사지를 묶어 찢던... [부수]衣(옷의)
慊 찐덥지 않을 겸,혐의 혐,만족스러울 협 1. 찐덥지 않다 2. 마음에 차지 않다 3. 앙심(怏心)을 품다 4. 불만스럽다 5. 가난하다 6. 정성(精誠), 성의(誠意) a. 혐의(=嫌) (혐) b. 의심하다(疑心--) (혐) c. 꺼리다 (혐) d. 만족스럽다(滿足---)...[부수]忄(심방변)
矉 찡그릴 빈 1. 찡그리다 2. 노려보다 3. 급하다(急--) [부수]目(눈목)
醜 추할 추 1. (용모(容貌)가)추하다(醜--) 2. 못생기다 3. 밉다 4. 못되다 5. 나쁘다 6. 미워하다 7. 부끄러워하다 8.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9. 유사하다 10. 이름(人名, 地名)... [부수]酉(닭유)
捧 받들 봉 1. 받들다 2. 섬기다 3. 의지하다(依支--), 기대다 4. 끌어안다 5. 부축하다 6. (돈이나 물건을)바치다 [부수]扌(재방변)
挈 손에 들 설,새길 계 1. 손에 들다, 휴대하다(携帶--) 2. 거느리다, 이끌다 3. 이루다, 다스리다 4. 전하다(傳--), 나타내 보이다 5. 돕다 6. 알다, 총명하다(聰明--) 7. 급(急)한 모양 a. 새기다, 파서 새기다 (계) b. 끊다,... [부수]手(손수)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14 天運 6 (0) | 2016.07.16 |
---|---|
莊子 - 外篇 14 天運 5 (0) | 2016.07.15 |
莊子 - 外篇 14 天運 3 (0) | 2016.07.13 |
莊子 - 外篇 14 天運 2 (0) | 2016.07.07 |
莊子 - 外篇 14 天運 1 (0) | 2016.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