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2 知北游 2
212` 도란 말이나 인위로 이루어질 수 없다 (외편:22.지북유,2)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2]-
“도는 말로써 이르게 할 수 없고, 덕은 인위로써 이르게 할 수 없다. 인은 그대로 행하여도 괜찮지만, 의는 사람들을 해치는 것이고, 예는 사람들을 속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를 잃은 뒤에야 덕이 중시되고, 덕을 잃은 뒤에야 인이 중시되고, 인을 잃은 뒤에야 의가 중시되고, 의를 잃은 뒤에야 예가 중시된다. 예라는 것은 도의 열매 없는 꽃과 같은 것이며 혼란의 시발점이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를 닦는 사람은 쓸데없는 일은 매일같이 버려야 한다. 그것을 버리고 또 버림으로써 무위에 이르러야 한다. 무위하게 됨으로써 모든 변화와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지금 이미 물건으로써 존재하고 있으면서 근본으로 되돌아가려고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그것을 쉽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위대한 사람뿐이다.”
- 莊子(外篇) ; 第22篇 知北游[2]-
道不可致, 德不可至. 仁可爲也, 義可虧也, 禮相僞也. 故曰:‘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禮者, 道之華而亂之首也.’ 故曰:‘爲道者日損, 損之又損之以至於无爲, 无爲而无不爲也.’ 今已爲物也, 欲復歸根, 不亦難乎! 其易也, 其唯大人乎!
(도불가치, 덕불가지. 인가위야, 의가휴야, 예상위야. 고왈:’실도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우례. 례자, 도지화이난지수야.’ 고왈:’위도자일손, 손지우손지이지어무위, 무위이무불위야.’ 금이위물야, 욕복귀근, 불역난호! 기이야, 기유대인호!)
致 [zhì] 1.[동사] (감정 등을) 표시하다. 나타내다.
招手致意 손을 흔들어 경의를 표하다.
2.[동사] (정력을) 다하다. (의지를) 집중하다.
专心致志 전심전력으로 몰두하다.
3.[동사] 주다. 보내다.
致电道贺 전보를 쳐서 축하하다.
4.[동사] 초래하다. …에 이르다. …의 결과를 가져오다.
导致 초래하다.
5.[동사] 실현하다. 이룩하다.
勤劳致富 부지런히 노력하여 부자가 되다.
6.[명사] 흥취. 정취.
错落有致 부조화의 매력이 있다.
情致 정취.
7.[형용사] 정밀하다. 주밀하다. 세밀하다.
细致 세밀하다.
精致 정밀하다.
이를 치,빽빽할 치 1.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2. 다하다 3. 이루다 4. 부르다 5. 보내다 6. 그만두다 7. 주다, 내주다 8.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9. 꿰매다 10. 빽빽하다 11.... [부수]至(이를지)
亏 [kuī] (虧) 손해 볼 휴 1.[동사] 손해 보다. 잃어버리다. 손실되다. 2.[동사] 부족하다. 모자라다. 기울다. 3.[동사] 저버리다. 배신하다. 손해를 보게 하다. 밑지게 하다. 이지러질 휴획순보기 재생 부수虍 (범호엄, 6획)
1. 이지러지다(불쾌한 감정 따위로 얼굴이 일그러지다) 2. 부족하다(不足--), 모자라다 3. 줄다, 기울다, 이울다 4. 탄식하다(歎息ㆍ嘆息--) 5. 저버리다, 배신하다(背信--), 해 입히다 6. 손해(損害) 7. 유감스럽게도 8. ~이면서도 9. 실례하지만, 무례(無禮)임을 알지만 10. 다행(多幸)히, 덕분(德分)에
僞 거짓 위,잘못 될 와 1. 거짓 2. 사투리(=訛) 3. 잘못 4. 작위(作爲: 의식적으로 꾸며서 하는 행위) 5. 속이다 6. 그릇 되게 바뀌다 7. 그런양 나타내 보이다 a. 잘못 되다 (와) b. 틀리다 (와) c. 고치다, 변화시키다(變化---)... [부수]亻(사람인변)
損者三友 손자삼우 사귀면 손해(損害)가 되는 세 가지 친구(親舊)로서, 무슨 일에나 안이(安易)한 길만을 취(取)하는 사람, 남에게 아첨(阿諂)하는 사람, 입에 발린 말 뿐이고 성의가 없는 사람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4 (0) | 2016.09.29 |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3 (0) | 2016.09.28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 (0) | 2016.09.28 |
莊子 - 外篇 21 田子方 10 (0) | 2016.09.27 |
莊子 - 外篇 21 田子方 9 (0) | 2016.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