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2 知北游  5


215` 우주만물의 존재와 변화는 도에 의한 것이다 (외편:22.지북유,5)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5]- 

하늘과 땅은 위대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말하지 않고, 사계절은 밝은 법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논의하지 않고, 만물은 생성의 원리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설명하지 않는다. 

성인이란 하늘과 땅의 아름다움을 근원으로 삼고 있고 만물의 원리에 통달한 사람이다. 

지인은 무위하며 위대한 성인은 작위가 없는데 하늘과 땅의 원리에 달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의 신령스럽고 밝은 도는 지극히 정묘하여 자연만물의 변화와 물건과 우리들이 죽고 살며 모나고 둥근 형체를 갖게 하고 있지만 그 근원에 대하여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모든 만물은 옛날부터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우주가 크다고 하지만 도의 내부를 떠나지 못한다. 가을 짐승의 털이 작다고 하지만 그 또한 도에 의하여 형체가 이루어진 것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가라앉았다 떠올랐다 변화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그대로 있지 않는다. 음양과 사철은 올바로 운행되어 모두가 그 질서를 잃지 않는다. 어두컴컴하여 없는 듯하면서도 존재하며, 자욱하니 형체가 없으면서도 신령스러운 것이 도이다. 

만물은 도에 의하여 자라고 있지만 알지 못하고 있다. 이것을 근본이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하여 자연을 달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22篇 知北游[5]- 

天地有大美而不言, 四時有明法而不議, 萬物有成理而不說. 聖人者, 原天地之美而達萬物之理, 是故至人无爲, 大聖不作, 觀於天地之謂也. 

合彼神明至精, 與彼百化, 物已死生方圓, 莫知其根也, 扁然而萬物自古以固存. 六合爲巨, 未離其內. 秋毫爲小, 待之成體. 天下莫不沈浮, 終身不顧. 陰陽四時運行, 各得其序. 惛然若亡而存, 油然不形而神, 萬物畜而不知. 此之謂本根, 可以觀於天矣. 

(천지유대미이불언, 사시유명법이불의, 만물유성리이불설. 성인자, 원천지지미이달만물지리, 시고지인무위, 대성부작, 관어천지지위야.

합피신명지정, 여피백화, 물이사생방원, 막지기근야, 편연이만물자고이고존. 육합위거, 미리기내. 추호위소, 대지성체. 천하막불침부, 종신불고. 음양사시운행, 각득기서. 혼연약망이존, 유연불형이신, 만물휵이부지. 차지위본근, 가이관어천의.)


六合 천지(天地)와 사방(四方)

離 떠날 리,떠날 이,붙을 려,붙을 여,교룡 치  1. 떠나다 2. 떼어놓다, 떨어지다 3. 갈라지다 4. 흩어지다, 분산하다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6. 늘어놓다 7. 만나다, 맞부딪다 8. 잃다, 버리다 9. 지나다, 겪다 10. 근심 11. 성(姓)의 하나 13.... [부수]隹(새추)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惛 흐릴 혼,번민할 민  1. 흐리다 2. 혼모하다(昏耄--: 늙어서 정신이 흐릿하다) 3. 마음이 밝지 아니하다, (사리에)어둡다 4. 어지럽다, 시끄럽게 어수선하다 5. 어리석다 6. 정신(精神)이 흐릿한 모양, 늙어서 혼모한 모양... [부수]忄(심방변)

惛怓 마음이 어수선함

畜 짐승 축,쌓을 축,기를 휵  1. 짐승, 가축(家畜) 2. 개간(開墾)한 밭 3. 비축(備蓄) 4. 쌓다, 모으다 5. 쌓이다, 모이다 6. 간직하다, 소장하다(所藏--) 7. 제지하다(制止--), 말리다 a. 기르다, 양육하다(養育--) (휵) b. 먹이다,... [부수]田(밭전)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7  (0) 2016.09.30
莊子 - 外篇 22 知北游 6  (0) 2016.09.30
莊子 - 外篇 22 知北游 4  (0) 2016.09.29
莊子 - 外篇 22 知北游 3  (0) 2016.09.28
莊子 - 外篇 22 知北游 2  (0) 2016.09.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