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3 庚桑楚 3

230` 마음을 번거롭게 쓰지 말아라 (잡편:23.경상초,3)
- 장자(잡편) ; 제23편 경상초[3]-
경상초의 제자 남영주가 크게 감동하여 자리를 고쳐 앉으며 말했다.
“저처럼 이미 나이가 든 사람은 어떻게 수양을 해야 말씀하신 것처럼 될 수 있겠습니까?”
경상초가 말했다.
“자신의 육체를 완전히 하고 자신의 삶을 보전하며, 자신의 생각을 이리저리 쓰지 마십시오. 그렇게 삼 년만 지내면 내가 말한 것처럼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남영주가 말했다.
“눈의 형체를 두고 말하자면 제가 보기에는 장님도 우리와 다를 바 없지만, 장님은 보지 못합니다. 귀의 형체를 두고 말하자면 제가 보기에는 귀머거리도 우리와 다를 바 없지만 귀머거리는 듣지 못합니다. 마음의 형체를 두고 말하자면, 제가 보기에는 미친 사람도 우리와 다를 바가 없지만 미친 사람은 바른 생각을 할 수가 없습니다.
형체와 형체들은 서로 비슷합니다. 그런데도 기능에는 차이가 나는 것은 어떤 물건이 그들 사이에 간격을 만들기 때문인 것입니까?
도를 추구해 보려 해도 도를 터득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 제게 말씀하시기를「형체를 완전히 하고, 삶을 보전하며, 생각을 이리저리 쓰지 마라」라고 하셨는데, 저는 억지로 도에 관하여 듣기는 하였지만 겨우 귀에만 들렸을 뿐 마음으로 깨우치지는 못했습니다.”
경상초가 말했다.
“말로는 다 설명되었습니다. 작은 나나니벌은 큰 벌레를 자기 새끼로 길러내지 못하고, 작은 닭은 큰고니의 알을 부화시키지 못하지만, 큰 닭은 그것이 가능하다 했습니다. 닭과 닭을 놓고 볼 때 그 덕은 모두가 같습니다. 그런데 한편은 가능하고 한편은 가능하지 못한 것은 그들의 재능에 본시부터 크고 작은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나의 재능은 작아서 당신을 교화시킬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남쪽으로 가서 노자를 만나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23篇 庚桑楚[3]-
南榮
蹴然正坐曰:「若之年者已長矣, 將惡乎託業以及此言邪?」
庚桑子曰:「全汝形, 抱汝生无使汝思慮營營. 若此三年, 則可以及此言矣.」
南榮
曰:「目之與形, 吾不知其異也, 而盲者不能自見. 耳之與形, 吾不知其異也, 而聲者不能自聞. 心之與形, 吾不知其異也, 而狂者不能自得. 形之與形亦矣, 而物或間之邪, 欲相求而不能相得? 今謂曰:‘全汝形, 抱汝生, 勿使汝思慮營營.’ 勉聞道耳矣!」
庚桑子曰:「辭盡矣. 奔蜂不能化藿
, 越鷄不能伏鵠卵, 魯鷄固能矣. 鷄之與鷄, 其德非不同也, 有能與不能者, 其才固有巨小也. 今吾才小, 不足以化子. 子胡不南見老子!」
(남영주축연정좌왈:[약주지년자이장의, 장악호탁업이급차언야?]
경상자왈:[전여형, 포여생무사여사려영영. 약차삼년, 즉가이급차언의.]
남영주왈:[목지여형, 오부지기이야, 이맹자불능자견. 이지여형, 오부지기이야, 이성자불능자문. 심지여형, 오부지기이야, 이광자불능자득. 형지여형역피의, 이물혹간지야, 욕상구이불능상득? 금위주왈:’전여형, 포여생, 물사여사려영영.’ 주면문도이의!]
경상자왈:[사진의. 분봉불능화곽촉, 월계불능복곡란, 노계고능의. 계지여계, 기덕비부동야, 유능여불능자, 기재고유거소야. 금오재소, 부족이화자. 자호불남견노자!])

蹴 찰 축 1. (발로)차다 2. 밟다 3. 감축하다(減縮--), 줄이다 4. 다가가다 5. 쫓다, 뒤쫓다 6.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7. 불안(不安)해 하다 8. 공경(恭敬)하는 모양 [부수]
(발족변)
抱 안을 포,던질 포 1. 안다, 품다 2. 둘러싸다, 위요하다(圍繞--: 어떤 지역이나 현상을 둘러싸다) 3. 가지다, 손에 넣다 4. 지키다 5. 받들다 6. 던지다, 버리다 7. 되돌리다, 되돌아오다 9. 아름 10. 품, 가슴 11. 마음,... [부수]
(재방변)
慮 생각할 려,생각할 여,사실할 록,사실할 녹 1. 생각하다 2. 이리저리 헤아려 보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4. 걱정하다 5. 어지럽게 하다 6. 맺다, 연결하다 7. 꾀하다 8. 흩뜨리다(흩어지게 하다) 9. 생각 10. 계획(計劃ㆍ計
)... [부수]心(마음심)
營 경영할 영 1. 경영하다(經營--) 2. 짓다 3. 꾀하다 4. 계획하다(計劃ㆍ計
--) 5. 두려워하다 6. 변명하다(辨明--) 7. 오락가락하다 8. 재다 9. 현혹하다(眩惑--) 10. 갈다 11. 고을 이름 12. 별 이름 13. 진영 14....[부수]火(불화)
營營 세력(勢力)이나 이익(利益) 등(等)을 얻으려고 골똘함  ②또는, 그 꼴
奔 달릴 분 1. 달리다 2. 급(急)히 가다 3. 빠르다 4. 향해 가다, 급(急)히 향해 가다 5. 달아나다, 도망쳐 내닫다, 패주하다(敗走--) 6. 도망가다(逃亡--) 7. 예를 갖추지 않고 혼인하다(婚姻--) 8. 야합하다(野合--),... [부수]大(큰대)
蜂 벌 봉 1. 벌 2. 꿀벌 3. 봉망(鋒
: 창, 칼 따위의 뾰족한 끝) 4. 크다(=封) 5. 날카롭다(=鋒) [부수](벌레훼)
辭말씀 사 1. 말씀 2. 문체(文體) 이름 3. 핑계 4. 사퇴하다 5. 알리다 6. 청하다(請--) 7. 타이르다 8. 사양하다(辭讓--) [부수]辛(매울신)
盡 다할 진 1. 다하다 2. 완수하다(完遂--) 3. 극치(極致)에 달하다(達--) 4. 최고에 달하다(達--) 5. 다 없어지다 6. 사망하다(死亡--) 7. 죽다 8. 모든 9. 전부의(全部-) 10. ~만 11. 다만 ~뿐 [부수]皿(그릇명)
藿 콩잎 곽,미역 곽,낙화 깔릴 수 1. 콩잎 2. 곽향(藿香: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3. 풀 이름(향초의 하나) 4. 미역(갈조류 미역과의 한해살이 바닷말) a. 낙화(落花)가 깔리다 (수) b. 낙화(落花)가 흩어져 깔리는 모양 (수) [부수]
(초두머리)
나비 애벌레 촉 1. 나비의 애벌레 [부수](벌레훼)
鵠 고니 곡,과녁 곡,클 호,학 학 1. 고니, 백조(오릿과의 물새) 2. 따오기(저어샛과의 겨울 철새) 3. 과녁 4. 정곡(正鵠: 과녁의 한가운데가 되는 점) 5. 흰빛 6. 희다 a. 크다 (호) b. 넓다 (호) c. 학(鶴) (학) [부수]鳥(새조)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3 庚桑楚 5  (0) 2016.10.24
莊子 - 外篇 23 庚桑楚 4  (0) 2016.10.22
莊子 - 外篇 23 庚桑楚 2  (0) 2016.10.19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  (0) 2016.10.18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7  (0) 2016.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