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3 庚桑楚 5
232` 자아를 버리고 어린아이처럼 되어라 (잡편:23.경상초,5)
- 장자(잡편) ; 제23편 경상초[5]-
남영주는 노자 밑에 머물기를 자청하여, 그가 좋다고 생각하는 도덕을 추구하고, 자기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을 버리자 열흘만에 근심이 멎었다. 그리고 나서 노자를 만나니 노자가 말했다.
“당신은 스스로의 마음을 깨끗이 씻어서 푹 익은 기운이 서리어 있는 듯하군요. 그러나 아직도 마음속에 얼마간의 악한 기운이 남아 있는 듯합니다. 밖의 일에 마음이 얽매어 있는 자는 마음이 번거로워 자제를 할 수 없을 것이니, 안으로 마음의 작용을 닫아 놓아야 합니다. 자기 안의 마음에 얽매어 있는 사람은 생각이 뒤엉키어 자제를 할 수 없을 것이니, 밖으로 보고 듣는 것을 닫아버려야 합니다. 밖이나 안으로 얽매여 있는 자는 도덕을 지닐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니 어찌 위대한 도를 따라 행동할 수 있겠습니까?”
남영주가 말했다. “마을 사람이 병들어 다른 마을 사람이 문병을 갔을 때, 앓고 있는 사람이 그의 병에 대하여 얘기할 수 있다면, 그의 병은 아직 대단한 병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선생님께 위대한 도에 대하여 듣는다는 것은, 비유를 하자면 마치 약을 먹음으로써 병을 도지게 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저는 삶을 보양하는 방법에 대하여 듣고 싶을 따름입니다.”
노자가 말했다.
“삶을 보양하는 방법이란 위대한 도 하나를 지니는 것이며, 자기 본성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점치는 것에 의하여 자기의 길흉을 판단하려 들지 않아야 하고, 자기 분수를 지킬 줄 알아야 하고, 인위적인 행위를 그만둘 수 있어야 합니다. 남에 대한 관심을 버리고 자기를 충실히 지닐 수 있어야 합니다.
행동은 자연스러워야 하고, 마음은 거리낌이 없어야 하고, 아이처럼 순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는 하루 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데, 그것은 지극히 자연과 조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 하루 종일 주먹을 쥐고 있어도 손이 저리지 않는데 그것은 자연의 덕과 일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 종일 보면서도 눈을 깜빡이지 않는데 밖의 물건에 대하여 치우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길을 가도 가는 곳을 알지 못하고, 앉아 있어도 할 일을 알지 못합니다. 밖의 물건에 순응하고 자연의 물결에 자신을 맡깁니다. 이것이 삶을 보양하는 방법입니다.”
남영주가 말했다.
“그렇다면 이것이 지극한 사람의 덕이라는 것입니까?”
노자가 말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른바 어름이 풀려 물로 되돌아가는 것과 같은 상태를 얘기한 것입니다. 지인이란 사람들과 더불어 땅 위에 함께 어울려 살고, 자연을 함께 즐기는 사람입니다. 사람과 물건이나 이익과 피해 때문에 남과 다투지 않으며, 남들에 비해 괴상한 짓을 하지도 않고, 어떤 모의도 하지 않고, 어떤 일도 이루려 들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갔다가 아무 거리낌없이 돌아옵니다. 이것을 삶을 보양하는 방법이라고도 말합니다.”
남영주가 말했다.
“그러면 그것으로 극치에 이른 것이라 할 수 있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아직 충분하지 못합니다. 내가 이미 당신에게 얘기하기를 아이와 같을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아이란 움직이지만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고, 걷지만 자기가 가는 곳을 알지 못합니다. 몸은 마른 나무의 가지와 같고, 마음은 식은 재와 같습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재난도 닥칠 수 없고, 행복도 찾아올 수 없습니다. 재난도 행복도 있지 않은데 어찌 사람의 재해가 있을 수 있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23篇 庚桑楚[5]-
南榮趎請入就舍, 召其所好, 去其所惡, 十日自愁, 復見老子.
老子曰:「汝自酒濯, 熟哉鬱鬱乎! 然而其中津津乎猶有惡也. 夫外韄者不可繁而捉, 將內揵. 內韄者不可繆而捉, 將外揵. 外內韄者, 道德不能持, 而況放道而行者乎!」
南榮趎曰:「里人有病, 里人問之, 病者能言其病, 然其病病者, 猶未病也. 若趎之聞大道, 譬猶飮藥以加病也, 趎願聞衛生之經而已矣.」
老子曰:「衛生之經, 能抱一乎? 能勿失乎? 能无卜筮而知吉凶乎? 能止乎? 能已乎? 能舍諸人而求諸己乎? 能翛然乎? 能侗然乎? 能兒子乎? 兒子終日嗥而嗌不嗄, 和之至也. 終日握而手不掜, 共其德也. 終日視而目不瞚, 偏不在外也. 行不知所之, 居不知所爲, 與物委蛇, 而同其波. 是衛生之經已.」
南榮趎曰:「然則是至人之德已乎?」
曰:「非也. 是乃所謂氷解凍釋者, 能乎? 夫至人者, 相與交食乎地而交樂乎天, 不以人物利害相攖, 不相與爲怪, 不相與爲謀, 不相與爲事, 翛然而往, 侗然而來. 是謂衛生之經已.」
曰:「然則是至乎?」
曰:「未也. 吾固告汝曰:‘能兒子乎?’ 兒子動不知所爲, 行不知所之, 身若槁木之枝而心若死灰. 若是者, 禍亦不至, 福亦不來. 禍福无有, 惡有人災也!」
(남영주청입취사, 소기소호, 거기소악, 십일자수, 복견노자.
노자왈:[여자주탁, 숙재울울호! 연이기중진진호유유악야. 부외혁자불가번이착, 장내건. 내혁자불가무이착, 장외건. 외내혁자, 도덕불능지, 이황방도이행자호!]
남영주왈:[리인유병, 리인간지, 병자능언기병, 연기병병자, 유미병야. 약주지문대도, 비유음약이가병야, 주원문위생지경이이의.]
노자왈:[위생지경, 능포일호? 능물실호? 능무복서이지길흉호? 능지호? 능이호 ? 능사제인이구제기호? 능소연호? 능동연호? 능아자호? 아자종일호이익불사, 화지지야. 종일악이수불예, 공기덕야. 종일시이목불순, 편부재외야. 행부지소지, 거부지소위, 여물위타, 이동기파. 시위생지경이.]
남영주왈:[연즉시지인지덕이호?]
왈:[비야. 시내소위빙해동석자, 능호? 부지인자, 상여교식호지이교락호천, 불이인물리해상영, 불상위여괴, 불상여위모, 불상여위사, 소연이왕, 동연이래. 시위위생지경이.]
왈:[연즉시지호?]
왈:[미야, 오고고여왈:’능아자호?’ 아자동부지소위, 행부지소지, 신약고목지지이심약사재. 약시자, 화역부지, 복역불래. 화복무유, 악유인재야!])
就 나아갈 취,관대할 여 1. 나아가다 2. 이루다 3. 좇다, 따르다 4. 마치다, 끝내다 5. (길을)떠나다 6. (한바퀴)돌다 7. 좋다, 아름답다 8. 곧, 이에 9. 만일(萬一), 가령(假令) 10. 잘, 능(能)히, 능(能)하게 a. 관대하다(寬大--)... [부수]尢(절름발이왕)
舍 집 사,버릴 사,벌여놓을 석 1. 집, 가옥(家屋) 2. 여관 3. 버리다 4. 포기하다(抛棄--) 5. 폐하다(廢--) 6. 내버려 두다 7. 개의(介意)하지 않다 8. 기부하다(寄附--) 9. 희사하다(喜捨--) 10. 바치다 11.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부수]舌(혀설)
召 부를 소,대추 조 1. 부르다 2. 초래하다(招來--), 불러들이다 3. 알리다 4. 청하다(請--) 5. 부름 a. 대추 (조) b. 땅 이름 (조) [부수]口(입구)
愁 근심 수,모을 추 1. 근심, 시름 2.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시름겹다, 시름겨워하다 3. 얼굴빛을 바꾸다 4. 슬퍼하다 5. 원망하다(怨望--) 6. 괴롭히다 a. 모으다 (추) [부수]心(마음심)
自 부수自 (스스로자, 6획)획수총6획[사성음] zì (zì)1. 스스로, 몸소, 자기(自己) 2. 저절로, 자연히(自然-) 3. ~서부터 4. 써 5. 진실로(眞實-) 6. 본연(本然) 7. 처음, 시초(始初) 8. 출처(出處) 9. 코(=비(鼻)의 고자(古字)) 10. 말미암다, ~부터 하다 11. 좇다, 따르다 12. 인하다(因--: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13. 사용하다(使用--), 쓰다
酒 술 주 1. 술 2. 잔치, 주연(酒宴) 3. 술자리, 주연(酒筵) 4. 무술(제사 때 술 대신에 쓰는 맑은 찬물) 5. (술을)마시다 [부수]酉(닭유)
濯 씻을 탁,상앗대 도 1. 씻다, 빨다(주물러서 때를 없애다) 2. 빛나다 3. 크다, 성대하다(盛大--) 4. 민둥민둥하다 5. 밝고 깨끗한 모양 6. 밝게 빛나는 모양 7. 민둥민둥한 모양 8. 살찐 모양 9. 목욕(沐浴)한 물 a. 상앗대(배질을... [부수]氵(삼수변)
熟 shú, shóu (shú) 익을 숙 1. 익다 2. 여물다 3. 무르익다 4. 익히다 5. 무르게 되다 6. 숙련하다(熟鍊ㆍ熟練--) 7. 익숙하다 8. 정통하다 9. 면밀(綿密)하게 10. 상세히 11. 깊이 12. 곰곰이 13. 익히 14. 정련(精鍊)한 15. 정제(精製)한 [부수]灬(연화발)
鬱 yù (yù) 답답할 울,울창할 울 1. 답답하다 2. 우울하다(憂鬱--) 3. 울적하다(鬱寂--) 4. 울창하다(鬱蒼--) 5. 우거지다 6. 무성하다(茂盛--) 7. 향기롭다(香氣--) 8. 화려하다(華麗--) 9. 찬란하다(燦爛ㆍ粲爛--) 10. 아름답다 11.... [부수]鬯(울창주창)
津 나루 진 1. 나루, 나루터 2. 언덕, 물가, 강기슭 3. 연줄, 인연(因緣) 4. 진액(津液), 침, 땀 5. 직위(職位), 지위(地位) 6. 은하(銀河) 7. 경로(經路), 수단(手段) 8. 넘치다 9. 윤택하다(潤澤--) 10. 전하다(傳--),... [부수]氵(삼수변)
韄 칼집 끈 획,칼 장식 호 1. 칼집에 달린 끈 2. 칼 장식(裝飾) 3. 칼자루에 감은 가죽 4. 묶다 a. 칼 장식(裝飾) (호) [부수]革(가죽혁)
繁 번성할 번,뱃대끈 반,흴 파,날렵할 민 1. 번성하다(蕃盛ㆍ繁盛--) 2. 많다, 무성하다(茂盛--) 3. 번거롭다, 복잡하다(複雜--) 4. 잦다(잇따라 자주 있다) 5. 뒤섞이다 6. 바쁘다 7. 대개(大槪: 대부분) 8. 풀 이름 a. 뱃대끈(마소의 배에 걸쳐... [부수]糸(실사)
捉 잡을 착 1. 잡다, 쥐다 2. 체포하다(逮捕--), 사로잡다 3. 지키다 4. 부리다, 지탱하다(支撐--) [부수]扌(재방변)
揵 멜 건 1. 메다 2. 들다 3. 막다 4. 닫다 5. 둑(물막이) [부수]扌(재방변)
繆 얽을 무,사당치레 목,틀릴 류,틀릴 유,목맬 규,꿈틀거릴 료,꿈틀거릴 요 1. 얽다 2. 묶다 3. 삼(參) 열 단 a. 사당치레(祠堂--) (목) b. 깊이 생각하는 모양 (목) c. 성(姓)의 하나 (목) d. 틀리다 (류) e. 어그러지다, 위배하다 (류) f. 어긋나다 (류) g. 속이다 (류) h. 잘못... [부수]糸(실사)
譬 비유할 비 1. 비유하다(比喩ㆍ譬喩--), 설명하다(說明--) 2. 깨우치다, 인도하다(引導--) 3. 깨닫다 4. 비유(比喩ㆍ譬喩) 5. 비유컨대 [부수]言(말씀언)
卜筮 ①길흉(吉凶)을 알기 위(爲)하여 점(占)을 침 ②또는 그 점(占)
卜점 복,무 복,짐바리 짐 1. 점(占) 2. 점괘(占卦) 3. 점쟁이 4. 점치다(占--) 5. 갚다 6. 주다 7. 상고하다(詳考--) 8. 헤아리다 9. 무(십자화과의 채소) a. 짐바리(마소로 실어 나르는 짐) (짐) [부수]卜(점복)
筮 점 서 1. 점(占: 앞날의 운수, 길흉 따위를 미리 판단하는 일) 2.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3. 점치다(占--) [부수]竹(대죽)
翛 날개 찢어질 소,빠를 유,빨리 나는 모양 숙 1. 날개가 찢어지다 2. 날개가 찢어진 모양 3. 날개 치는 소리 a. 빠르다 (유) b. 빠른 모양 (유) c. 빨리 나는 모양 (숙) [부수]羽(깃우)
侗 정성 동,클 통 1. 정성(精誠) 2. 거짓이 없음 3. 참되다 4. 곧다 a. 크다 (통) b. 키가 크다 (통) c. 어리석다 (통) d. 미련하다 (통) e. 무지하다(無知--) (통) f. 유치하다 (통) g. 경박하다(輕薄--) (통) h. 아프다... [부수]亻(사람인변)
嗥 울부짖을 호 1. (짐승이)울부짖다 2. (짐승이)으르렁거리다 3. 부르짖다 4. 울다, 울어대다 [부수]口(입구)
嗌 목구멍 익,목 멜 애,웃는 소리 악 1. 목구멍 2. 아첨(阿諂)하는 소리 a. 목이 메다 (애) b. 웃는 소리 (악) c. 웃는 모양 (악) [부수]口(입구)
嗄 잠길 사,목맬 애,먹을 하 1. (목이)잠기다 2. 목메다 3. (목이)막히다 a. 목메다 (애) b. (울어서 목이)쉬다 (애) c. 밥을 먹다 (하) d. 반찬(飯饌) (하) [부수]口(입구)
握 쥘 악,작을 옥 1. 쥐다 2. 손아귀 3. 손잡이 4. 주먹 5.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6. 장막(帳幕) 7. 휘장(揮帳: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8. 악수(握手) a. 작다 (옥) b. 악착스럽다(齷齪---)... [부수]扌(재방변)
掜 비길 예 1. 비기다,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2. 땅기다, 켕기다(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다) 3. 이기다, 반죽하다 [부수]扌(재방변)
瞚 깜작일 순 1. (눈을)깜작이다 2. 현기증이 나다 [부수]目(눈목)
委蛇 미꾸라지. 미꾸릿과의 민물고기
委 맡길 위 1. 맡기다, 맡게 하다 2. 버리다, 내버려 두다 3. 자세하다(仔細ㆍ子細--) 4. 쌓다, 쌓이다 5. 의젓하다 6. 옹용하다(雍容--: 마음이 화락하고 조용하다) 7. 시들다, 쇠퇴하다(衰退ㆍ 頹--) 8. 굽다,... [부수]女(계집녀)
蛇 긴 뱀 사,구불구불 갈 이 1. 긴 뱀 2. 자벌레 3. 별 이름 a. 구불구불 가다 (이) b. 느긋하다, 자유롭다 (이) c. (생각이)천박하다(淺薄--), 얕다 (이) d. 구불구불 가는 모양 (이) [부수]虫(벌레훼)
氷 얼음 빙,엉길 응 1. 얼음, 고체(固體) 2. 기름 3. 지방(脂肪) 4. 전동(箭桐) 뚜껑 5. 식히다, 서늘하게 하다 6. 얼다 7. 깨끗하다, 투명하다(透明--) a.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응) b. 얼어붙다 (응) [부수]水(물수)
解 풀 해 1. 풀다, 벗다, 깨닫다, 설명하다(說明--) 2. 풀이하다 3. 깨닫다 4. 통달하다(通達--)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떼어내다 6. 느슨해지다 7. 떨어지다, 빠지다 8. 벗기다 9. 흩어지다, 떠나가다 10....[부수]角(뿔각)
凍 얼 동 1. 얼다 2. 춥다, 차다 3. 얼음 4. 소나기 [부수]冫(이수변)
釋 풀 석,기뻐할 역 1. 풀다 2. 설명하다(說明--) 3. 풀리다, 깨닫다 4. (의심이나 오해가)사라지다, 벗다 5. 용서하다(容恕--) 6. 놓아주다, 석방하다(釋放--) 7. 내놓다, 내버리다 8. 쫓기다, 추방하다(追放--) 9. (쌀을)씻다... [부수]釆(분별할변)
攖 얽힐 영 1. 얽히다 2. 어지럽다 3. 구속하다(拘束--) 4. 묶다 5. (잡아당겨)매다 6. 집다 7. 다가서다 8. 접근하다(接近--) [부수]扌(재방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3 庚桑楚 7 (0) | 2016.10.26 |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6 (0) | 2016.10.25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4 (0) | 2016.10.22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3 (0) | 2016.10.21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2 (0) | 2016.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