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3 庚桑楚 4
231` 지혜 어짊 의로움은 자신을 괴롭힌다 (잡편:23.경상초,4) 정의` 의분` 갈등`
- 장자(잡편) ; 제23편 경상초[4]-
남영주가 양식을 챙겨 짊어지고, 칠일 밤낮이 걸려 노자가 있는 곳에 도착했다.
노자가 그에게 말했다. “당신은 경상초가 있는 곳에서 오지 않았습니까?”
남영주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어째서 함께 온 사람들이 그리도 많습니까?”
남영주는 놀라며 그의 뒤를 돌아보았다.
노자가 말했다. “내 말의 뜻을 모르겠습니까?”
남영주는 고개를 숙이고 부끄러워 하다가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말했다.
“지금 저는 대답할 말을 잊었습니다. 그래서 질문하려던 말도 잊었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무슨 뜻입니까?”
남영주가 말했다.
“제게 지혜가 없으면 사람들은 저에게 어리석다고 말할 것이고, 지혜가 많으면 도리어 저 자신을 괴롭힐 것입니다. 어질지 않으면 곧 남을 해치게 될 것이고, 어질면 도리어 저 자신을 괴롭히는 결과가 될 것입니다. 의롭지 않으면 남에게 해를 가할 것이고, 의롭고 보면 도리어 저 자신을 괴롭히는 결과가 될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이런 처지를 면할 수 있겠습니까? 이 세 가지가 제가 걱정하는 문제입니다. 경상초의 소개로 선생님께 이것을 여쭈려고 왔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좀전에 나는 당신의 두 눈썹 사이를 보고 당신의 문제를 알았습니다. 당신의 말을 듣고 나의 추측이 확실하게 되었습니다. 당신은 골똘히 앉아서 고민하기를 자기 부모를 여읜 것처럼 하고, 장대를 들고서 바다 깊이를 재려는 사람처럼 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자기 본성을 잃은 사람입니다. 멍하니 당신은 당신의 성정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지만 어떻게 할지를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안되었습니다.”
- 莊子(雜篇) ; 第23篇 庚桑楚[4]-
南榮趎贏糧, 七日七夜至老子之所.
老子曰:「子自楚之所來乎?」 南榮趎曰:‘唯.’
老子曰:「子何與人偕來之衆也?」 南榮趎懼然顧其後.
老子曰:「子不知吾所謂乎?」
南榮趎俯而慙, 仰而歎曰:「今者吾忘吾答, 因失吾問.」
老子曰:「何謂也?」
南榮趎曰:「不知乎? 人謂我朱愚. 知乎? 反愁我軀. 不仁則害人, 仁則反愁我身. 不義則傷彼, 義則反愁我己. 我安逃此而可? 此三言者, 趎之所患也, 顧因楚而問之.」
老子曰:「向吾見若眉睫之間, 吾因以得汝矣, 今汝又言而信之. 若規規然若喪父母, 揭竿而求諸海也. 女亡人哉, 惘惘乎! 汝欲反汝情性而无由入, 可憐哉!」
(남영주영량, 칠일칠야지놀자지소.
노자왈:[자자초지소래호?] 남영주왈:’유.’
노자왈:[자하여인개래지중야?] 남영주구연고기후.
노자왈:[자부지오소위호?]
남영주부이참, 앙이탄왈:[금자오망오답, 곤실오문.]
노자왈:[하위야?]
남영주왈:[부지호? 인위아주우. 지호? 반수아구. 불인즉해인, 인즉반수아신. 불의즉상피, 의즉반수아기. 아안도차이가? 차삼언자, 주지소환야, 고인초이문지.]
노자왈:[향오견약미첩지간, 오인이득여의, 금여우언이신지. 약규규연약상부모, 게간이구제해야. 여망인재. 망망호! 여욕반여정성이무유입, 가련재!])
贏 남을 영 1. 남다 2. 돈을 벌다 3.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4. 넘치다, 가득 차다 5. 자라다, 성장하다(成長--) 6. 지나치다, 과도하다(過渡--) 7. 이기다, 낫다 8. 나아가다 9. 풀리다, 펴지다... [부수]貝(조개패)
糧 양식 량,양식 양 1. 양식(糧食) 2. 먹이 3. 급여(給與) 4. 구실(온갖 세납을 통틀어 이르던 말) [부수]米(쌀미)
懼 두려워할 구 1. 두려워하다, 두렵다 2. 걱정하다 3. 염려하다(念慮--) 4.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위협하다(威脅--) 5. 경계하다(警戒--), 조심하다 6. 두려움 [부수]忄(심방변)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俯 구부릴 부 1. 구부리다 2. (고개를)숙이다 3. 눕다, 드러눕다 4. 숨다, 잠복하다 5. 가지런하지 아니하다 [부수]亻(사람인변)
慙 부끄러울 참 1. 부끄럽다, 부끄러워하다 2. 부끄럽게 여기다 3. 부끄러움 4. 수치 [부수]心(마음심)
朱 붉을 주 1. 붉다, 붉게 하다 2. 둔하다(鈍--), 무디다 3. 연지(臙脂: 입술이나 뺨에 찍는 붉은 빛깔의 염료), 화장(化粧) 4. 붉은빛 5. 주목(朱木) 6. 줄기, 그루터기(풀이나 나무 따위의 아랫동아리) 7. 적토(赤土)... [부수]木(나무목)
愁 근심 수,모을 추 1. 근심, 시름 2.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시름겹다, 시름겨워하다 3. 얼굴빛을 바꾸다 4. 슬퍼하다 5. 원망하다(怨望--) 6. 괴롭히다 a. 모으다 (추) [부수]心(마음심)
軀 몸 구 1. 몸, 신체(身體) 2. 좌(座: 불상을 세는 말) 3. 허우대 4. (말을 몰아 앞으로)나아가다 [부수]身(몸신)
逃 도망할 도 1. 도망하다(逃亡--), 달아나다 2. 벗어나다, 면하다(免--) 4. 피하다(避--), 회피하다(回避--) 5. 숨다 6. (진실을)숨기다 7. 떠나다 8. (눈을)깜빡이다 [부수]辶(책받침)
向 향할 향,성씨 상 1. 향하다(向--) 2. 나아가다 3. 길잡다 4. 바라보다 5. 대하다(對--) 6. 대접(待接)을 받다 7. 누리다 8. 권하다(勸--) 9. 흠향하다(歆饗--) 10. 메아리 치다 11. 제사(祭祀) 지내다 12. 방향(方向) 13.... [부수]口(입구)
眉睫 ①눈썹과 눈. 미목(眉目) ②미첩간(眉睫間)
眉 눈썹 미 1. 눈썹 2. 노인(老人), 눈썹 긴 사람 3. 언저리 4. 가장자리 5. 둘레 6. 미녀(美女) 7. 알랑거리다 8. 교태(嬌態)를 부리다 [부수]目(눈목)
睫 속눈썹 첩,깜작일 섭 1. 속눈썹 2. 안목(眼目) a. (눈을)깜작이다 (섭) b. (눈을)감다 (섭) c. 눈 움직이는 모양 (섭) [부수]目(눈목)
揭 높이 들 게,걸 게,질 갈,세울 걸 1. 높이 들다 2. 걸다 3. 걷다 4. 추다 5. 현(縣) 이름 a. 지다 (갈) b. 기다란 모양 (갈) c. 높은 모양 (갈) d. 표시(表示), 표지(標識: 표시나 특징으로 다른 것과 구분함) (갈) e. 풀 이름 (갈) f....[부수]扌(재방변)
竿 낚싯대 간 1. 낚싯대 2. 장대(長-: 긴 막대기) 3. 횃대 4. 상앗대(배질을 할 때 쓰는 긴 막대) 5. 죽간(竹簡: 글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 6. 그루(대나무를 세는 단위) 7. 화살대 8. 매달다 9. 구하다(求--),...[부수]竹(대죽)
惘 멍할 망 1. 멍하다 2. 심심하다 3. 황급하다(遑急--) 4. 멍한 모양 [부수]忄(심방변)
憐 불쌍히 여길 련,불쌍히 여길 연,이웃 린,이웃 인 1. 불쌍히 여기다 2. 가엾게 여기다 3. 어여삐 여기다 4. 귀여워하다 5. 사랑하다 6. 동정(同情) 7. 사랑 a. 이웃 (린) [부수]忄(심방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3 庚桑楚 6 (0) | 2016.10.25 |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5 (0) | 2016.10.24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3 (0) | 2016.10.21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2 (0) | 2016.10.19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