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3 庚桑楚 8
235` 도에 어긋나면 살아 있어도 죽은 것과 같다 (잡편:23.경상초,8)
- 장자(잡편) ; 제23편 경상초[8]-
도는 만물에 통하면서도 그 분별을 이룩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것도 무너지는 것도 모두 도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다만 분별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은 분별됨으로써 모든 것이 자기에게 갖추어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자기에게 갖추어지기를 바라는 것이 나쁘다는 것은 밖에 존재하는 것이 자기에게만 모두 갖추어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밖으로만 나가고 자기 본성으로 되돌아오지 않으면, 그는 죽어 귀신이 될 것이다. 밖으로만 나가고도 얻는 것이 있다면, 바로 죽음을 얻는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그의 본성이 멸망되었다면 실제로 살고 있어도 이미 죽어 귀신이 되어 있는 것과 같다. 형체가 있는 몸으로써 형체가 없는 도를 본받아야만 안정되게 되는 것이다.
만물이 태어나지만 그 근본은 없는 것이며, 이승을 떠나는 것도 들어가는 구멍이 있는 것이 아니다. 존재하고는 있지만 차지할 장소는 무한하고, 영원히 존재하여 시작과 끝이 없는 것이다. 태어나기는 하지만 들어갈 구멍이 없기 때문에 존재가 있는 것이다. 존재는 하고 있지만 차지할 장소는 무한하다는 것은 상하사방의 공간을 뜻한다. 영원히 존재하며 시작과 끝이 없다는 것은 예부터 지금까지 계속되는 시간을 뜻한다.
도는 삶에도 작용하고 죽음에도 작용하며, 생겨나는 데도 작용하고 없어져버리는 데도 작용한다. 없어지고 생겨나게 하면서도 그 형체는 드러나지 않는데, 이것을 천문(天門)이라 부른다. 천문이란 존재로서는 무(無)인 것이다. 만물은 존재가 무인 데서 생겨난다. 존재는 존재로부터 존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없다. 반드시 존재가 무에서 생겨났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존재가 무인 것은 한결같이 존재가 무인 것이다. 성인은 이 경지에 몸을 두고 있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3篇 庚桑楚[8]-
道通. 其分也成也, 其成也毁也. 所惡乎分者, 其分也以備. 所以惡乎備者, 其有以備. 故出而不反, 見其鬼. 出而得, 是謂得死. 滅而有實, 鬼之一也. 以有形者象无形者而定矣.
出无本, 入无竅. 有實而无乎處, 有長而无乎本剽, 有所出而無竅者有實. 有實而无乎處者, 宇也. 有長而无本剽者, 宙也. 有乎生, 有乎死, 有乎出, 有乎入, 入出而无見其形, 是謂天門. 天門者, 无有也, 萬物出乎无有. 有不能以有爲有, 必出乎无有, 而无有一无有. 聖人藏乎是.
(도통. 기분야성야, 기성야훼야. 소악호분자, 기분야이비. 소이악호비자, 기유이비. 고출이불반, 견기귀. 출이득, 시위득사. 멸이유실, 귀지일야. 이유형자상무형자이정의.
출무본, 입무규. 유실이무호처, 유장이무호본표, 유소출이무규자유실. 유실이무호처자, 우야. 유장이무본표자, 주야. 유호생, 유호사, 유호출, 유호입, 입출이무견기형. 시위천문. 천문자, 무유야, 만물출호무유, 유불능이유위유, 필출호무유, 이무유일무유. 성인장호시.)
竅 구멍 규 1. 구멍 2. 중요(重要)한 부분(部分) 3. 관건(關鍵) 4. 요령 5. 비결(祕訣) 6. 요점(要點) 7. 구멍을 뚫다 8. 통하다(通--) [부수]穴(구멍혈)
九竅 눈ㆍ코ㆍ입ㆍ귀의 일곱 구멍과 똥ㆍ오줌 구멍을 합(合)하여 모두 아홉 구멍을 일컬음
剽 겁박할 표 1. 겁박하다(劫迫--: 으르고 협박하다) 2. 위협하다(威脅--), 협박하다(脅迫--) 3. 사납다, 표독하다(慓毒--), 거칠다 4. 깎다, 자르다 5. 찌르다, 치다 6. 도둑질하다, 벗기다, 훔치다 7. 빠르다, 재빠르다... [부수]刂(선칼도방)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3 庚桑楚 10 (0) | 2016.10.28 |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9 (0) | 2016.10.27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7 (0) | 2016.10.26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6 (0) | 2016.10.25 |
莊子 - 外篇 23 庚桑楚 5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