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4 徐無鬼 15


257` 감각이나 능력이 오히려 불행을 초래할 수도 있다 (잡편:24.서무귀,15) 

- 장자(잡편) ; 제24편 서무귀[15]- 

얻는 것이 생이고, 잃는 것이 사일 수도 있지만, 얻는 것이 사이고 잃는 것이 생일 수도 있다. 약이라는 것은 그 내용물을 보면, 오두나 도라지나 계옹이나 시령 같은 것으로 지어지고, 이것들이 때에 따라 번갈아 가며 주된 약제의 구실을 하는 것이다. 어떻게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월나라 임금 구천은 싸움에 패하여 삼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회계산으로 도망했다. 그 때 월나라 대부 종만이 지금은 망했지만 다시 부흥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종도 그 자신에게 불운이 닥칠 근거가 됨은 알지 못했다. 

그러므로「올빼미의 눈은 낮에는 보이지 않지만 밤에는 잘 보이고, 학의 다리에는 긴 마디가 있지만 이것을 없애주면 슬퍼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또 말하기를「바람이 불어가면서 강물을 말리고, 햇볕도 비치면서 강물을 말리고 있다. 그러나 바람과 햇볕이 언제나 강물을 지키고 있음에도 강물은 처음부터 그들과 충돌하지 않고 있다. 그것은 강물은 근원이 있고 흘러가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본시 물이 흙을 적셔줌에는 빈틈이 없고, 그림자가 사람을 따르는 것에도 빈틈이 없고, 물건과 물건의 관계에도 빈틈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눈의 시력은 위태롭고, 귀의 청력도 위태롭고, 마음의 작용도 위태롭기만 한 것이다. 모든 능력은 그것을 지니고 있다해도 위태로운  것이다. 본성으로부터 떠나서 위태로움이 이루어지면 고칠 겨를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재화는 자라서 더욱 불어나기만 하는 것이다. 그런 것을 본성으로 되돌려 보내려고 하면 많은 공이 들며 그 결과는 오랜 시간이 지나야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그런 능력을 자신의 보물로 생각하고 있으니 또한 슬프지 않은가? 그러므로 나라를 망치고, 백성들을 살육하는 일이 그치지 않고 있는데도 그 원인을 추구할 줄 모르고 있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4篇 徐無鬼[15]- 

得之也生, 失之也死. 得之也死, 失之也生. 

藥也, 其實菫也, 桔梗也, 鷄廱也, 豕零也, 是時爲帝者也, 何可勝言! 

句踐也以甲楯三千棲於會稽. 唯種也能知亡之所以存, 唯種也不知其身之所以愁. 故曰, 鴟目有所適, 鶴脛有所節, 解之也悲. 

故曰, 風之過河也有損焉, 日之過河也有損焉. 請只風與日相與守河, 而河以爲未始其攖也, 恃源而往者也. 故水之守土也審, 影之守人也審, 物之守物也審. 

故目之於明也殆, 耳之於聰也殆. 心之於殉也殆. 凡能其於府也殆, 殆之成也不給改. 禍之長也玆萃, 其反也緣功, 其果也待久. 而人以爲己寶, 不亦悲乎! 故有亡國戮民无已, 不知問是也. 

(득지야생, 실지야사. 득지야사, 실지야생.

약야, 기실근야, 길경야, 계옹야, 시령야, 시시위제자야, 하가승언!

구천야이갑순삼천서어회계. 유종야능지망지소이존, 유종야부지기신지소이수. 고왈, 치목유소적, 학경유소절, 해지야비.

고왈, 풍지과하야유손언, 일지과하야유손언. 청지풍여일상여수하, 이하이위미시기영야, 시원이왕자야. 고수지수토야번, 영지수인야번, 물지수물야번.

고목지어명야태, 이지어총야태. 심지어순야태. 범능기어부야태, 태지성야불급개. 화지장야자췌, 기반야록공, 기과야대구. 이인이위기보, 불역비호! 고유망국륙민무이, 부지문시야.)


菫 진흙 근,조금 근,제비꽃 근  1. (노란)진흙 2. 찰흙 3. 때, 시기(時期) 4. 조금, 약간 5. 제비꽃, 오랑캐꽃 6. (흙을)바르다, 칠하다 [부수]艹(초두머리)

桔 도라지 길  1. 도라지 2. 두레박틀 3. 높고 험준(險峻)한 모양 4. 두레박질하다 [부수]木(나무목)

梗 줄기 경,막힐 경  1. 줄기, 가지 2. 가시나무 3. 가시 4. 산느릅나무 5. 도라지 6. 재앙(災殃), 병폐(病弊) 7. 인형(人形), 우인(偶人) 8. 대강(大綱), 대략(大略) 9. 굳세다, 강경하다(剛勁ㆍ剛硬--) 10. 막히다, 통하지... [부수]木(나무목)

桔梗 도라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鷄 닭 계  1. 닭(꿩과의 새) 2. 화계(花鷄: 되새. 되샛과의 겨울 철새) 3. 폐백(幣帛)의 하나 4. 성(姓)의 하나 5. 현(縣) 이름 6. 산(山) 이름 7. 물의 이름 [부수]鳥(새조)

廱 학교 옹  1. 학교(學校) 2. 벽옹(辟雍: 고대 중국의 대학) 3.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4. 막히다 5. 막다 [부수]广(엄호)

豕 돼지 시  1. 돼지 [부수]豕(돼지시)

零 떨어질 령,떨어질 영,영 령,영 영,종족 이름 련,종족 이름 연  1. 떨어지다 2. 비 오다 3. 부슬부슬 내리다 4. 나머지(우수리) 5. 영, 수(數)가 없음(기호는 0) 6. 나이 a. 종족(種族) 이름(=先零) (련) [부수]雨(비우)

踐 밟을 천  1. 밟다 2. (발로)디디다 3. 짓밟다, 유린하다(蹂躪ㆍ蹂躙ㆍ蹂蹸--) 4. 이행하다(履行--) 5. 실행하다(實行--), 실천하다(實踐--) 6. 소홀(疏忽)히 하다 7. 베다 8. 손상하다(損傷--) 9. 해치다, 다치다... [부수]𧾷(발족변)

楯 난간 순,책상 준  1. 난간(欄干ㆍ欄杆) 2. 방패(防牌ㆍ旁牌) 3. 잡아 뽑다 4. 빼내다 a. 책상(冊床) (준) [부수]木(나무목)

棲 깃들일 서  1. 깃들이다 2. 살다, 거처하다(居處--) 3. 쉬다, 휴식하다(休息--) 4. 쌓다, 저장하다(貯藏--) 5. 집, 보금자리 6. 평상(平牀ㆍ平床), 침상(寢牀) 7. 바쁜 모양 8. 고적(孤寂)한 모양 [부수]木(나무목) 

稽 상고할 계  1. 상고하다(詳考--), 조사하다(調査--) 2. 헤아리다 3. 논의하다(論議--), 상의하다(相議ㆍ商議--) 4. 묻다, 점을 치다 5. 셈하다, 세다 6.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부수]禾(벼화)

愁 근심 수,모을 추  1. 근심, 시름 2.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시름겹다, 시름겨워하다 3. 얼굴빛을 바꾸다 4. 슬퍼하다 5. 원망하다(怨望--) 6. 괴롭히다 a. 모으다 (추) [부수]心(마음심)

鴟 올빼미 치  1. 올빼미(올빼밋과의 새) 2. 수리부엉이(올빼밋과의 새) 3. 솔개(수릿과의 새) 4. 술 부대, 술 단지(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5. 가벼이 여기다 [부수]鳥(새조)

只 다만 지,외짝 척  1. 다만, 단지(但只) 2. 뿐, 오직 3. 겨우, 한갓 4. 그러나 5. 오직 ~하여야만 6. 오직 ~밖에 없다 7. 이, 이것 8. 어조사(語助辭) 9. 짧은 거리(距離) a. 외짝 (척) b. 하나 (척) c. 새 한 마리 (척)... [부수]口(입구)

攖 얽힐 영  1. 얽히다 2. 어지럽다 3. 구속하다(拘束--) 4. 묶다 5. (잡아당겨)매다 6. 집다 7. 다가서다 8. 접근하다(接近--) [부수]扌(재방변)

殉 따라 죽을 순  1. 따라 죽다, 순사하다(殉死--) 2. 순장하다(殉葬--) 3. (목숨을)바치다 4. 따르다 5. 추구하다(追求--), 탐하다(貪--) 6. 경영하다(經營--) 7. 돌다, 순행하다(巡行--) 8. 순장(殉葬)할 사람 [부수]歹(죽을사변)

給 줄 급  1. 주다 2. 대다, 공급하다(供給--) 3. 제때에 대다 4. 더하다, 보태다 5. 넉넉하다 6. 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7. (말을)잘하다 8. 갖추어지다 9. 급여(給與) 10. 보탬... [부수]糸(실사)

玆 이 자,검을 자,검을 현  1. 이, 이에 2. 여기 3. 이때 4. 지금 5. 검다 6. 흐리다 a. 검다 (현) b. 흐리다 (현) [부수]玄(검을현)

萃 모을 췌  1. 모으다, 모이다 2.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3. 기다리다 4. 야위다, 초췌해지다(憔悴ㆍ顦顇---) 5. 그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모임 8. 64괘의 하나 9.... [부수]艹(초두머리)

戮 죽일 륙,죽일 육  1. 죽이다 2. 육시하다(이미 죽은 사람을 사형에 처함) 3. (힘을)합하다(合--), 합치다(合--) 4. 욕보이다(辱---) 5. 욕되다(辱--) 6. (죄를)짓다 7. 벌, 형벌(刑罰) 8. 욕(辱), 치욕(恥辱) 9. 죽음 10.... [부수]戈(창과)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1  (0) 2016.11.18
莊子 - 外篇 24 徐無鬼 16  (0) 2016.11.17
莊子 - 外篇 24 徐無鬼 14  (0) 2016.11.15
莊子 - 外篇 24 徐無鬼 13  (0) 2016.11.15
莊子 - 外篇 24 徐無鬼 12  (0) 2016.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