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2


272` 모든 일은 때와 경우에 알맞아야 한다 (잡편:26.외물,2)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2]- 

장자가 집이 가난하여 감하후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감하후가 말했다. “빌려드리지요. 내가 영지의 세금을 거두어들인 다음 선생에게 삼백금을 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떻습니까?” 

장자는 화가나 얼굴빛이 변하며 말했다. 

“내가 어제 이곳에 오는데 도중에 나를 부르는 자가 있었습니다. 돌아다보니 수레바퀴자국 가운데에 있는 붕어였습니다. 

「붕어야, 너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이냐?」 

붕어가 대답했습니다. 「저는 동해의 물결을 타는 용왕의 신하입니다. 선생께 한 말이나 몇 됫박의 물이 있으면 저를 살려주십시오.」 

 내가 말했습니다. 

 「그런가, 내가 남쪽의 오나라와 초나라의 임금을 설득시켜 서강의 물을 끌어다가 너를 맞이하도록 하겠다. 어떠냐?」 

붕어는 성이 나서 얼굴빛이 변하며 말했습니다. 

「저는 제가 늘 필요로 하는 물을 잃고 있어서 당장 몸 둘 곳이 없습니다. 저는 한 말이나 몇 됫박의 물만 있으면 살 수 있습니다. 선생께서 말씀하시는 대로하다가는 차라리 저를 건어물 가게에 가서 찾는 것만 못하게 될 것입니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2]- 

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監河侯曰:「諾.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可乎?」 

莊周忿然作色曰:「周昨來, 有中道而呼者. 周顧視車轍中, 有鮒魚焉. 周問之曰:‘鮒魚來! 子何爲者邪?’ 對曰:「我, 東海之波臣也.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 周曰:‘諾. 我且南遊吳越之土, 激西江之水而迎子, 可乎?’ 鮒魚忿然作色曰:‘吾失我常與, 我无所處. 吾得斗升之水然活耳, 君乃言此, 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 

(장주가빈, 고왕대속어림하후. 림하후왈:[낙. 아장득읍금, 장대자삼백금, 가호?]

장주분연작색왈:[주작래, 유중도이호자. 주고시차철중, 유부어언. 주문지왈:’부어래! 자하위자야?’

대왈:[아, 동해지파신야. 군기유두승지수이활아재?’ 주왈:[낙. 아차남유오월지사, 격서강지수이영자, 가호?’ 부어분연작색왈:[오실아상여, 아무소처. 오득두승지수연활이, 군내언차, 승불여조색아어고어지사!’]]


粟 조 속  1. 조, 오곡(五穀)의 하나 2. 오곡(五穀) 3. 겉곡식(-穀食) 4. 좁쌀 5. 과립(顆粒) 6. 식량(食糧), 양식(糧食) 7. 녹(祿), 녹봉(祿俸: 벼슬아치에게 주던 급료) 8. 소름 9. 공경하다(恭敬--) [부수]米(쌀미)

諾 허락할 낙,허락할 락  1. 허락하다(許諾--), 승낙하다(承諾--) 2. 대답하다(對答--) 3. 동의하다(同意--) 4. 따르다, 순종하다(順從--) 5. 허락(許諾) 6. 승낙(承諾) 7. 허가(許可)의 서명(署名) [부수]言(말씀언)

邑 고을 읍,아첨할 압  1. 고을 2. 마을 3. 도읍(都邑), 도성(都城) 4. 나라 5. 봉지(封地), 영지(領地) 6. 읍(행정 구역 단위) 7. 우울(憂鬱)한 모양 8. (도읍을)닦다 9. 영유하다(領有--: 자기의 것으로 차지하여 가지다) 10.... [부수]邑(고을읍)

昨 어제 작  1. 어제 2. 옛날 3. 지난날, 이전 [부수]日(날일)

轍 바퀴 자국 철  1. 바퀴 자국 2. 궤도(軌道) 3. 차도(車道) 4. 흔적(痕跡ㆍ痕迹) 5. 노선(路線) 6. 진로 7.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부수]車(수레거)

鮒 붕어 부  1. 붕어(잉엇과의 민물고기) 2. 즉어(鯽魚) [부수]魚(물고기어)

豈 어찌 기,개가 개  1. 어찌 2. 어찌하여 3. 그(=其) a. 개가(凱歌) (개) b. 승전악(勝戰樂) (개) c.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개) [부수]豆(콩두)

斗升 ①말과 되  ②어떤 사물(事物)을 헤아리는 기준(基準)을 일컫는 말  ③근소(僅少)함의 뜻

激 격할 격  1. 격하다, 심하다(甚--: 정도가 지나치다) 2. 빠르다 3. 세차다 4. 격렬하다(激烈--) 5. (기가)높아지다 6. 과격하다(過激--), 직언하다(直言--) 7. (물결이)부딪쳐 흐르다 8. (물결이)부딪치다 9. (... [부수]氵(삼수변)

早 이를 조  1. 이르다(앞서거나 빠르다) 2. 서두르다 3. 젊다 4. 일찍 5. 서둘러, 급(急)히, 빨리 6. 젊어서, 젊었을 때에 7. 새벽, 이른 아침 [부수]日(날일)

肆 방자할 사  1. 방자하다(放恣--) 2. 늘어놓다 3. 늦추다 4. 시험하다(試驗--) 5. 곧다 6. 찌르다 7. 마구간(馬廏間) 8. 가게 9. 넉 10. 드디어 [부수]聿(붓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