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7


294` 분수에 맞게 편하게 지낼 줄 알아야 한다 (잡편:28.양왕,7) 분수`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7]- 

초나라의 소왕이 오나라와의 싸움에 져 나라를 잃고 도망했을 때, 양을 잡는 백정인 열이라는 자도 소왕을 따라 도망쳤다. 뒤에 소왕이 나라로 돌아와 그를 따랐던 사람들에게 상을 줄 때에 열의 차례가 되었다. 이때 열이 말했다.  

“대왕께서 나라를 잃었을 때, 저 역시 양을 잡는 일을 잃었습니다. 대왕께서 돌아오시어 저 역시 양을 잡는 일로 돌아왔습니다. 저의 벼슬과 녹은 이미 되찾은 셈입니다. 또 무슨 상을 논하신다는 말씀이십니까?” 

임금은 억지로라도 그에게 상을 내리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양백정 열이 말했다. 

“대왕께서 나라를 잃었던 것은 저의 죄가 아니었기에 감히 그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대왕께서 돌아오신 것 역시 저의 공로가 아니기에 감히 그 상을 받지 못하겠습니다.” 

임금이 신하들을 시켜 그를 보자고 했다. 그러자 양백정 열이 말했다. 

“초나라의 법도에 의하면 무거운 상이나 큰공을 세운 자라야 임금을 뵙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저의 지혜는 나라를 보존하기에는 부족하고, 저의 용기는 적 앞에서 죽음을 무릅쓰기에 부족합니다. 그래서 오나라 군대가 우리 영 땅을 침범했을 때, 저는 환난을 피해 도망쳤을 뿐, 대왕 때문에 따라 간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대왕께서 국법을 어기고 규약을 깨뜨리면서까지 저를 만나려 하시니. 그리되면 저는 천하의 사람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게 될 것입니다.” 

소왕이 사마인 자기에게 말했다.  

“양백정인 열은 미천한 신분에 있으나 사리를 헤아리는 데 있어서는 높은 식견을 갖고 있소. 그대는 나를 위해 그를 데려다가 삼공의 지위에 앉혀주시오.” 

양백정 열이 그 말을 듣고 말했다. 

“삼공의 지위가 양 백정의 지위보다는 존귀하다는 것은 저도 알고 있습니다. 만종의 녹이 양백정을 함으로써 얻는 이득보다 훨씬 많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찌 벼슬과 녹을 탐하여 우리 임금으로 하여금 함부로 상을 내리신다는 말을 듣게 하겠습니까! 바라건대 저를 양 잡는 백정의 일로 돌아가게 해 주십시오” 

그리고는 끝내 상을 받지 않았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7]- 

楚昭王失國, 屠羊說走而從於昭王. 昭王反國, 將賞從者, 及屠羊說. 屠羊說曰:「大王失國, 說失屠羊. 大王反國, 說亦反屠羊. 臣之爵祿已復矣, 又何賞之有哉!」 

王曰:「見之!」 

屠羊說曰:「楚國之法, 必有重賞大功而後得見, 今臣之知不足以存國而勇不足以死寇. 吳軍入郢, 說畏難而避寇, 非故隨大王也. 今大王欲廢法毁約而見說, 此非臣之所以聞於天下也.」 

王謂司馬子綦曰:「屠羊說居處卑賤而陳義甚高, 子其爲我延之以三旌之位.」 

屠羊說曰:「失三旌之位, 吾知其貴於屠羊之肆也. 萬鍾之祿, 吾知其富於屠羊之利也. 然豈可以貪爵祿而使吾君有妄施之名乎! 說不敢當, 願復反吾屠羊之肆.」 遂不受也. 

(초소왕실국, 도양열주이종어송왕. 소왕반국, 장상종자, 급도양열. 도양열왈:[대왕싥구, 열실도양. 대오아반국, 열역반도양. 신지작록이복의, 우하상지유재!]

왕왈:[견지!]

도양열왈:[초국지법, 필유중상대공이후득견, 금신지지부족이존국이용부족이사구. 오군입영, 열외난이피구, 비고수대왕야. 금대왕욕폐법훼약이견열, 차비신지소이문어천하야.]

왕위사마자기왈:[도양열거처비천이진의심고, 자기위아연지이삼정지위.]

도양열왈:[실삼정지위, 오지기귀어도양지사야. 만종지록, 오지기부어도양지리야. 연기하이탐작록이사오군유망시지명호! 열불감당, 원복반오도양지사.] 수불수야. 


屠 죽일 도,흉노 왕의 칭호 저  1. 죽이다 2. (짐승을)잡다 3. 무찌르다 4. 짐승을 찢다, 찢어 죽이다 5. 앓다 6. 백정(白丁: 가축을 잡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7. 도수장(屠獸場: 도살장) 8. 지명 a. 흉노 왕의 칭호(稱號) (저) [부수]尸(주검시엄)

說 말씀 설,달랠 세,기뻐할 열,벗을 탈  1. 말씀 2. 문체(文體) 이름 3. 제사(祭祀) 이름 4. 말하다 5. 이야기하다 6. 서술하다(敍述--), 진술하다(陳述--) 

a. 달래다 (세) b. 유세하다(遊說--) (세) 

c. 기뻐하다, 기쁘다 (열) d. 즐거워하다 (열) e. 즐기다 (열) f. 공경하다(恭敬--) (열) g. 따르다, 복종하다(服從--) (열) h. 아첨하다(阿諂--) (열) i. 쉽다, 용이하다(容易--) (열) j. 헤아리다 (열) k. 기쁨, 희열(喜悅) (열) l. 수(數) (열) 

m. 벗다 (탈) n. 놓아주다 (탈) o. 빼앗기다 (탈) p. 제거하다(除去--) (탈) q. 용서하다(容恕--) (탈) [부수]言(말씀언)

走 달릴 주  1. 달리다 2. 달아나다 3. 걷다 4. 가다 5. 떠나가다 6. 나아가다 7. 길짐승 8. 종, 노비(奴婢), 하인(下人) 9. 심부름꾼 10. 종종걸음 11. 저, 자신(自身)의 겸칭(謙稱) 12. 달리기의 등급(等級) [부수]走(달릴주)

寇 도적 구  1. 도적(盜賊: 도둑) 2. 떼도둑 3. 외적 4. 원수(怨讐) 5. 난리(亂離) 6. 병기(兵器) 7. 성(姓)의 하나 8. 약탈하다(掠奪--) 9. 침범하다(侵犯--) 10. 노략질하다(擄掠---) 11. 해치다 12. 쳐들어오다... [부수]宀(갓머리)

郢 초나라 서울 영   1. 초나라(楚--) 서울 2. 땅의 이름 3. 절기(節氣) 이름 4. 가다 [부수]阝(우부방)

綦 연둣빛 비단 기  1. 연둣빛 비단(緋緞) 2. 무늬 비단(緋緞) 3. 빛깔 이름 4. 들메끈(신을 발에 동여매는 끈) 5. 바탕 6. 신 자국 7. 물의 이름 8. 끝가다 9. 지극하다(至極--) [부수]糸(실사)

旌 기 정  1. 기(새털로 장식한 기) 2.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表示)로 주던 기 3. 천자(天子)가 사기를 고무할 때 쓰던 기 4. 절(節) 5. 나타내다 6. 밝히다 [부수]方(모방)

肆 방자할 사  1. 방자하다(放恣--) 2. 늘어놓다 3. 늦추다 4. 시험하다(試驗--) 5. 곧다 6. 찌르다 7. 마구간(馬廏間) 8. 가게 9. 넉 10. 드디어 [부수]聿(붓율)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