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5


307` 공자의 가르침이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잡편:29.도척,5)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5]- 

너는 달콤한 말로 자로를 설복시켜 자기를 따르게 하고, 그가 쓰고 있던 높은 관을 벗기고, 그가 차고 있던 길 칼을 풀어놓게 한 뒤, 네 가르침을 받게 했다. 천하에서는 모두 말하기를, 공구는 난폭한 행동을 금지시키고 그릇된 행동을 금할 수 있다고들 한다. 그러나 결국  자로는 위나라 임금을 죽이려다가 일을 성사시키지 못하고 위나라의 동문 밖에서 사형을 받아 그의 몸이 소금에 절여지게 되었다. 이것은 너의 가르침이 불충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너는 스스로 재사니, 성인이니 하고 자처하지만, 노나라에서 추방되었고, 제나라에서는 궁지에 몰렸었고, 진과 채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를 당했으니, 천하에 몸둘 곳이 없게 되었지 않느냐? 너는 자로로 하여금 처형을 당해 몸이 소금에 절여지게 만들었으니, 결국 환난으로 말미암아, 위로는 몸을 보전할 길이 없고, 아래로는 사람 노릇을 할 수 없게 만든 것이다. 너의 도를 어찌 귀한 것이라 하겠느냐? 

세상에서 덕이 높다고 한다면, 황제보다 더한 이가 없지만, 그 황제도 덕을 온전히 지킬 수가 없어 탁록의 들에서 싸워 백리 사방을 피로 물들였다. 요임금은 자애심이 없었고, 순임금은 효를 다하지 못했으며, 우임금은 일을 하느라 깡말랐고, 탕왕은 그 주군을 내쳤으며, 무왕은 주왕을 죽였고, 문왕은 유리에 유폐되었다. 이 여섯 사람은 세상에서 높이는 인물들이다. 그러나 엄격하게 논하자면, 모두가 이익 때문에 그 진실에 대해 미혹됨으로써 억지로 그 성정을 거슬렀던 사람들이다. 이들의 행동이야말로 심히 수치스럽다 할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5]- 

子以甘辭說子路而使從之, 使子路去其危冠, 解其長劍, 而受敎於子, 天下皆曰孔丘能止暮禁非. 其卒之也, 子路欲殺衛君而事不成, 身菹於衛東門之上, 是子敎之不至也. 子自謂才士聖人邪? 則再逐於魯, 削跡於衛, 窮於齊, 圍於陳蔡, 不容身於天下. 子敎子路菹此患, 上无以爲身, 下无以爲人, 子之道豈足貴邪? 

「世之所高, 莫若黃帝, 黃帝尙不能全德, 而戰涿鹿之野, 流血百里. 堯不慈, 舜不孝, 禹偏枯, 湯放其主, 武王伐紂, 此六子者, 世之所高也, 孰論之, 皆以利惑其眞而强反其情性, 其行乃甚可羞也. 

(자이감사설자로이사종지, 사자로거기위관, 해기장검, 이수교어자, 천하개왈공구능지모금비. 기졸지야, 자로욕살위군이사불성, 신저어위동문지상, 시자교지부지야. 자자위재사성인야? 즉재축어노, 삭적어위, 궁어제, 위어진제, 불용신어천하. 자교자로저차환, 상무이위신, 하무이위인, 자지도기족귀야?

[세지소고, 막약약황제, 황제상불능전덕, 이전탁록지야, 류혈백리. 요부자, 순불효, 우편고, 탕방기주, 무왕벌주, 차육자자, 세지소고야, 숙론지, 개이리혹기진이강반기정성. 기행내심가수야.])


菹 김치 저,늪 자  1. 김치(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 따위를 양념에 버무린 뒤 발효를 시킨 음식) 2. 절이다 a. 늪 (자) [부수]艹(초두머리)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칼의 몸을 꽂아 넣어 두도록... [부수]刂(선칼도방)

跡 발자취 적  1. 발자취,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부수]𧾷(발족변)

豈 어찌 기,개가 개  1. 어찌 2. 어찌하여 3. 그(=其) a. 개가(凱歌) (개) b. 승전악(勝戰樂) (개) c.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개) [부수]豆(콩두)

涿 칠 탁  1. 치다, 두드리다 2. 쪼다 [부수]氵(삼수변)

偏 치우칠 편  1. 치우치다, 쏠리다, 기울다 2. 편향되다(偏向--), 편중되다(偏重--) 3. 먼저 실례하다(失禮--) 4. 속이다 5. 나부끼다 6. 곁, 가 7. 반, 절반(折半) 8. 한쪽, 한편 9. 하나, 한 사람 10. 보좌(補佐ㆍ輔佐)... [부수]亻(사람인변)

羞 부끄러울 수  1. 부끄러워하다 2. 수줍어하다 3. 두려워하다, 겁내다 4. 미워하다, 싫어하다 5. (음식을)올리다 6. 드리다 7. 나가다 8. 추천하다(推薦--), 천거하다(薦擧--) 9. 부끄럼 10. 수치(羞恥) 11. 치욕(恥辱),... [부수]羊(양양)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