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3
305` 공자 도척을 설득하기 위하여 말하다 (잡편:29.도척,3)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3]-
도척은 그를 보자 크게 노하여 그의 양발을 떡 벌리고, 칼자루를 어루만지며 눈을 부릅뜬 채, 마치 새끼를 거느린 호랑이 같이 말했다.
“구야, 앞으로 나오너라. 네가 하는 말이 내 뜻에 맞으면 살 것이되, 거스른다면 죽을 것이다.”
공자가 말했다.
“제가 듣건대, 천하에는 세 가지 덕이 있는데, 태어나면서부터 키가 크고 체격이 늠름하며, 용모가 아름다워 아무에게도 비길 수 없고, 늙은이도 젊은이도 고귀한 이도 미천한 이도 모두 그를 좋아하는 것, 이것이 첫째가는 덕입니다. 그 지혜는 천지를 뒤덮고, 능력은 모든 사물의 이치를 헤아리고 있는 것, 이것이 중간치의 덕입니다. 용기가 있어 과감하며 많은 부하를 거느리는 것, 이것이 제일 낮은 덕입니다. 대개 누구라도 이 가운데 한가지 덕만 갖추고 있으면 제후라 칭하기에 충분합니다. 그런데 장군께서는 이 세 가지 덕을 함께 갖추고 계십니다. 키는 여덟자두치나 되고, 얼굴과 눈에서는 빛이 나며, 입술은 진한 붉은 색이고, 이는 조개를 가지런히 한 듯하고, 목소리는 황종의 음에 들어맞습니다. 그런데도 도척이라 불리고 계시니 저는 마음속으로 장군님을 위해 이를 심히 부끄럽고 애석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장군께서 제 말을 따르실 의향이 있으시면, 저는 남쪽으로는 오나라와 월나라, 북쪽으로는 제나라와 노나라, 동쪽으로는 송나라와 위나라, 서쪽으로는 진나라와 초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그들로 하여금 장군을 위해 수 백 리 사방으로 큰 성을 만들어 수십만 호의 봉읍을 만들며, 장군을 제후로 삼게 하고자 합니다. 그리하면 천하와 더불어 이 난세를 혁파하고, 병사들을 쉬게 하며, 형제들을 거두어 보양해주고, 다같이 조상에게 제사를 드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성인이나 재사들의 행위인 동시에 천하가 바라는 바이옵니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3]-
孔子趨而進, 避席反走, 再拜盜跖.
盜跖大怒, 兩展其足, 案劍瞋目, 聲如乳虎, 曰:「丘來前! 若所言, 順吾意則生, 逆吾心則死.」
孔子曰:「丘聞之, 凡天下人有三德:生而長大, 美好无雙, 少長貴賤見而皆說之, 此上德也. 知維天地, 能辯諸物, 此中德也. 勇悍果敢, 聚衆率兵, 此下德也. 凡人有此一德者, 足以南面稱孤矣. 今將軍兼此三者, 身長八尺二寸, 面目有光, 脣如激丹, 齒如齊貝, 音中黃鍾, 而名曰盜跖, 丘竊爲將軍恥不取焉. 將軍有意聽臣, 臣請南使吳越, 北使齊魯, 東使宋衛, 西使晉楚, 使爲將軍造大城數百里, 立數十萬戶之邑, 尊將軍爲諸侯, 與天下更始, 罷兵休卒, 收養昆弟, 共祭先祖. 此聖人才士之行, 而天下之願也.」
(공자추이진, 피석반주, 재배도척.
도척대로, 양전기족, 안검진목, 성여유호, 왈:[구래전! 약소언, 순오의즉생, 역오심즉사.]
공자왈:[구문지, 범천하인유삼덕:생이장대, 미호무쌍, 소장귀천견이개열지, 차상덕야. 지유천지, 능변제물, 자중덕야. 용한과감, 취중졸병, 차하덕야. 범인유차일덕야, 족이남면칭고의. 금장군겸차삼자, 신장팔척이촌, 면목유광, 순여격단, 치여제구, 음중황종, 이명왈도척, 구절위장군치불취언. 장군유의청신, 신청남사오월, 북사제노, 동사송위, 서사진초, 사위장군조대성수백리, 립수십만호지읍, 존장군위제후, 여천하갱시, 파병휴졸, 수양곤제, 공제선조. 차성인재사지행, 이천하지원야.])
趨 달아날 추,재촉할 촉 1. 달아나다 2. 달리다, 달려가다 3. 뒤쫓다, 추구하다(追求--) 4. 따라 행하다(行--) 5. 종종걸음치다 6. 빨리 걷다, (걸음이)빠르다 7. 붙쫓다 8. 추창하다(趨蹌--: 예도(禮度)에 맞게 허리를 굽히고... [부수]走(달릴주)
展 펼 전 1. 펴다 2. 늘이다, 벌이다 3. 구르다, 뒹굴다 4. 나아가다 5. 기록하다(記錄--) 6. 참되다, 진실되다(眞實--) 7. 살피다, 살펴보다 8. 발달하다(發達--), 더 나아지다 9. 가지런히 하다, 정돈하다(整頓--)...[부수]尸(주검시엄)
瞋 부릅뜰 진 1. (눈을)부릅뜨다 2. 성내다 [부수]目(눈목)
乳 젖 유 1. 젖 2. 젖 같은 액 3. 젖꼭지, 젖 모양의 것 4. 유방(乳房) 5. 어머니, 어버이 6. 갓 태어난, 젖먹이의 7. 젖을 먹이다, 수유하다(授乳--) 8. 기르다 9. 낳다, 생식하다(生殖--) 10. 부화하다(孵化--),... [부수]乙(새을)
孤犢觸乳 고독촉유 「어미 없는 송아지가 젖을 먹기 위(爲)해 어미를 찾는다」는 뜻으로, 연고(緣故) 없는 고독(孤獨)한 사람이 구원(救援)을 바람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雙 두 쌍,쌍 쌍 1. 두, 둘 2. 한 쌍(雙) 3. 짝수 4. 밭의 면적(面積) 5. 돛(배 바닥에 세운 기둥에 매어 펴 올리고 내리고 할 수 있도록 만든 넓은 천) 6. 성(姓)의 하나 7.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부수]隹(새추)
維 벼리 유 1. 벼리(그물 코를 꿴 굵은 줄ㆍ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2. 바(밧줄) 3. 구석 . 오직 5. 발어사(發語辭) 6. 조사(助詞) 7. 생각하다 8. 유지하다 9. 매다 [부수]糹(실사변)
悍 사나울 한 1. 사납다, 억세고 모질다 2. 세차다, 빠르다 3. 날래다 4. 성급하다(性急--) 5. 날카롭다 6. (눈을)부릅뜨다 [부수]忄(심방변)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부수]耳(귀이)
稱 일컬을 칭,저울 칭 1. 일컫다 2. 부르다 3. 칭찬하다(稱讚--) 4. 저울질하다 5. 무게를 달다 6. 드러내다 7. 들다, 거행하다(擧行--) 8. 걸맞다, 부합하다(符合--: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 9. 알맞다... [부수]禾(벼화)
孤 외로울 고 1. 외롭다, 의지(依支)할 데가 없다 2. 떨어지다, 멀다 3. (고아로)만들다 4. (불쌍히 여겨)돌보다, 염려하다(念慮--) 5. 버리다, 벌하다(罰--) 6. 저버리다, 배반하다(背反ㆍ背叛--) 7. 다 8. 고루(固陋)하고... [부수]子(아들자)
南面稱孤 남면칭고 임금이 됨을 이르는 말, 고(孤)는 왕이 자신(自身)을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激 격할 격 1. 격하다, 심하다(甚--: 정도가 지나치다) 2. 빠르다 3. 세차다 4. 격렬하다(激烈--) 5. (기가)높아지다 6. 과격하다(過激--), 직언하다(直言--) 7. (물결이)부딪쳐 흐르다 8. (물결이)부딪치다 9. (... [부수]氵(삼수변)
丹 붉을 단,정성스러울 란,정성스러울 난 1. 붉다 2. 붉게 칠하다 3. 성심(誠心: 정성스러운 마음) 4. 신약 5. 단사(丹沙ㆍ丹砂: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6. 붉은빛 7. 남쪽(南-) a. 정성스럽다(精誠---) (란) b. 거란(契丹) (란) c. 모란(牡丹)... [부수]丶(점주)
竊 훔칠 절 1. 훔치다 2. 도둑질하다 3. 절취하다 4. 도둑 5. 도둑질 6. 살짝 7. 남몰래 8. 마음속으로 9. 슬그머니 [부수]穴(구멍혈)
恥 부끄러울 치 1. 부끄러워하다, 부끄럽게 여기다 2. 욕보이다(辱---), 창피(猖披)를 주다 3. 부끄럼 4. 남에게 당한 부끄러움 5. 욕(辱), 치욕(恥辱) [부수]心(마음심)
罷 마칠 파,고달플 피 1. 마치다 2. 그만두다 3. 놓다 4. 놓아주다 5. 내치다 6. 방면하다(放免--) 7. 물러가다 8. 덜다 a. 고달프다 (피) b. 둔하다(鈍--) (피) [부수]罒(그물망머리)
昆 맏 곤,벌레 곤,뒤섞일 혼 1. 맏, 형(=晜) 2. 자손(子孫), 후예 3. 벌레(=蜫) 4. 산(山)의 이름(=崑) 5. 종족(種族)의 이름 6. 같이, 함께 7. 뒤, 다음, 나중 8. 많다, 잡다하다(雜多--) 9. 같다 a. 뒤섞이다, 뒤얽히다(=渾, 混)... [부수]日(날일)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5 (0) | 2017.02.22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4 (0) | 2017.02.21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2 (0) | 2017.02.17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 (0) | 2017.02.15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5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