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5
322` 발자국을 없애려고 달려가는 사람 (잡편:31.어부,5) 거짓말` 과격` 포기` 무관심` 체념` 중용`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5]-
공자는 슬픈 듯이 탄식하며 두 번 절하고 일어나 말했다.
“저는 노나라에서 두 번이나 쫓겨나고, 위나라에서도 추방당하고, 송나라에서는 나무를 베어 넘겨 저를 죽이려 하였고,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를 당했었습니다. 저는 제가 잘못한 것을 알지 못하겠는데도 이러한 네 가지 고통을 겪었던 것은 어찌해서입니까?”
어부는 슬픈 듯이 얼굴빛을 바꾸면서 말했다.
“선생은 정말 깨우칠 줄을 모르시는군요. 어떤 사람이 자기 그림자가 두렵고 자기 발자국이 싫어서 이것들을 떠나 달아나려 하였는데, 발을 빨리 놀릴수록 발자국은 더욱 많아졌고, 아무리 빨리 뛰어도 그림자는 그의 몸을 떠나지 않았다 합니다. 그래도 그 자신은 아직도 느리게 뛰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쉬지 않고 질주하다가 결국에는 힘이 다해 죽고 말았다 합니다. 그는 그늘 속에 쉬면 그림자가 사라지고, 고요히 있으면 발자국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 못했던 것입니다. 어리석음이 지나쳤던 것입니다.
그런데 선생은 어짊과 의로움의 뜻을 자세히 알고 있고, 사리가 같고 다른 한계를 잘 살피고 있고, 움직이고 고요히 있는 변화를 잘 관찰하고 있고, 받고 주는 정도를 적절히 할 줄 알고,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을 잘 다스릴 줄 알고, 기쁨과 노여움의 절도를 조화시킬 줄 알지만 아무리 애를 써도 화를 면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자기 몸을 삼가 닦고 그 진실함을 신중히 지켜 명예 같은 외물은 사람들에게 되돌려 주면 아무런 환란도 없을 것입니다. 지금 몸을 닦지 않고서 남에게 그 이유를 묻고 있으니 이것은 사실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5]-
孔子愀然而歎, 再拜而起曰:「丘再逐於魯, 削迹於衛, 伐樹於宋, 圍於陳蔡. 丘不知所失, 而離此四謗者何也?」
客悽然變容曰:「甚矣子之難悟也! 人有畏影惡迹而去之走者, 擧足愈數而迹愈多, 走愈疾而影不離身, 自以爲尙遲, 疾走不休, 絶力而死. 不知處陰以休影, 處靜以息迹, 愚亦甚矣! 子審仁義之間, 察同異之際, 觀動靜之變, 適受與之度, 理好惡之情, 和喜怒之節, 而幾於不免矣. 謹修而身, 愼守其眞, 還以物與人, 則无所累矣. 今不修之身而求之人, 不亦外乎!」
(공자초연이탄, ㅈ배이기왈:[구재축어노, 삭적어위, 벌수어송, 위어진살. 구부지소실, 이리차사방자하야?]
객초연변용왈:[심의자지난오야! 인유외영악적이거지주자, 거족유수이적유다, 주유질이영불리신, 자이위상지, 질주불휴, 절력이사. 부지처음이휴영, 처정이휴적, 우역심의! 자번인의지간, 찰동이지제, 관동정지변, 적수여지도, 리호악지정, 화희로지절, 이기어불면의. 근수이신, 진수기진, 환이물여인, 즉무소루의. 금불수지신이구지인, 불역회호!])
愀 근심할 초,쓸쓸할 추 1.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2. 발끈하다 3.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4. 정색하다 5. 얼굴빛을 바꾸다 6. 근심하는 모양 7. 삼가는 모양 8. 안색이 변하는 모양 9. 태도(態度)를... [부수]忄(심방변)
逐 쫓을 축,돼지 돈,급급한 모양 적 1. 쫓다, 쫓아내다 2. 뒤쫓다, 뒤따라가다 3. 도망가다(逃亡--) 4. 달리다 5. 구하다(求--), 찾다, 추구하다(追求--) 6. 다투다 7. 따르다 8. 방탕하다(放蕩--) 9. 하나하나, 차례대로(次例--) a. 돼지... [부수]辶(책받침)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칼의 몸을 꽂아 넣어 두도록... [부수]刂(선칼도방)
迹 자취 적 1.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발자취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부수]辶(책받침)
迹門 법화경(法華經) 28품의 전반 (서품(序品)에서 안락 행품(安樂行品)에 이르는 14품)에서, 석가(釋迦) 세존이 어떻게 일체(一切) 중생(衆生)을 일승(一乘)에 회입(會入)시키는 방법(方法)을 강(講)했는 가를, 땅 위에 발자취를 남긴 사실(史實)에 의(依)하여 설한 부분(部分). 제자(弟子)들의 성불(成佛)을 밝힘
蔡 성씨 채,풀 채,내칠 살 1. 성(姓)의 하나 2. 풀 3.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4. 법(法) 5. 나라의 이름 6. 먼지 7. 쇠약해지다(衰弱---) 8. 줄이다 9. (풀이)흐트러지다 a. 내치다 (살) b. 추방하다(追放--) (살) [부수]艹(초두머리)
謗 헐뜯을 방 1. 헐뜯다 2. 나무라다 3. 비방하다(誹謗--) 4. 대답하다(對答--) 5. 헐뜯는 말 [부수]言(말씀언)
悽 슬퍼할 처,바쁠 서 1. 슬퍼하다, 구슬픈 생각이 들다 2. 야위다 3. 차갑다, (추위로 오싹)소름이 끼치다 4. 굶주려 괴로워 하는 모양 a. 바쁘다 (서) b. 바쁜 모양 (서) c. 마음의 안정(安定)을 잃은 모양 (서) d. 입은 ... [부수]忄(심방변)
焄蒿悽愴훈호처창 향기(香氣)가 서려 올라 사람의 기분(氣分)을 오싹하게 한다는 뜻으로, 귀신(鬼神)의 분위기(雰圍氣)가 서림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悟 깨달을 오 1. 깨닫다 2. 깨우쳐 주다 3. 슬기롭다 4. 총명하다(聰明--) 5. 계발하다(啓發--) 6. 눈 뜨다 7. 깨달음 [부수]忄(심방변)
愈 나을 유,구차할 투 1. (남보다)낫다, 뛰어나다 2. (병이)낫다 3. 고치다 4. 유쾌하다(愉快--) 5. 즐기다 6.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괴로워하다 7. 근심하는 모양 8. 더욱, 점점 더 a. 구차하다(苟且--) (투) [부수]心(마음심)
影 그림자 영 1. 그림자 2. 환상(幻像), 가상(假象) 3. 형상(形象ㆍ形像), 모습, 자태 4. 초상(肖像), 화상(畫像) 5. 햇볕, 햇살 6. 빛, 불빛 7. 음덕(陰德), 도움 [부수]彡(터럭삼)
尙 오히려 상 1. 오히려 2. 더욱이 3. 또한 4. 아직 5. 풍습(風習) 6. 풍조 7. 숭상하다(崇尙--) 8. 높다 9. 높이다 10. 자랑하다 11. 주관하다(主管--) 12. 장가들다 13. 꾸미다 14. 더하다 [부수]小(작을소)
遲 더딜 지,늦을 지 1. 더디다 2. 늦다 3. 느리다 4. 지체하다(遲滯--) 5. 천천히 하다 6. 굼뜨다 7. 둔하다(鈍--) 8. 오래다 9. 기다리다 10. 무렵 11. 이에 12. 이리하여 [부수]辶(책받침)
際 즈음 제,가 제 1. 즈음 2. 가, 끝 3. 변두리 4. 사이 5. 때 6. 닿다 7. 만나다 8. 사귀다 [부수]阝(좌부변)
察 살필 찰 1. 살피다 2. 알다, 살펴서 알다 3. 상고하다(詳考--) 4. 자세하다(仔細ㆍ子細--), 밝고 자세하다 5. 조사하다(調査--), 생각하여 보다 6. 드러나다, 널리 알려지다 7. 깨끗하다, 결백하다(潔白--) 8.... [부수]宀(갓머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7 (0) | 2017.03.20 |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6 (0) | 2017.03.20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4 (0) | 2017.03.16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3 (0) | 2017.03.15 |
莊子(雜篇) ; 第31篇 漁父 2 (0) | 2017.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