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분다 (2013)

The Wind Rises 
5.1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출연
안노 히데아키, 타키모토 미오리, 니시지마 히데토시, 니시무라 마사히코, 스티븐 알버트
정보
애니메이션, 드라마 | 일본 | 127 분 | 2013-09-05
글쓴이 평점  


국내 개봉시 일본의 제국주의를 미화했다는 이야기도 좀 있었고 지브리의 다른 작품에 비해 별로 인기도 없었던 작품이었는데, 이번에 보게 되었다.

다음의 영화 평점도 별로 좋지 않네.


이번 작품은 지브리의 다른 작품과 틀린게 여럿 눈에 띈다.

과감히 키스 장면을 넣었다는 점, 그리고 Hug 도 들어 있고 (이런 부분에서는 확실히 이 영화는 성인용으로 분류 되어야 할 듯.) 지금까지의 대충의 '사랑'이라는 감정을 이야기 하던 것과는 틀리게 특정 남 녀의 사랑을 이야기 했었다.

그리고 일본의 제국주의, 과학자의 양심, 이런 것을 감히 이야기에 올려 놓았다. 확실한 결론을 주지는 않은 것 같다. 하지만 무엇을 진정 원하는지는 영화에 속속들이 녹아 들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지브리의 작품이다. 아름다운 화면속에 사람과 자연에 대한 사랑이 듬뿍 듬뿍 녹아 있고 단조로운 일상속에 부대끼며 살아 가며 자신도 모르게 잊고 사는 꿈을 이야기 한다. 꿈을 잊지 말고 살자고...

어릴적 부터 비행기 설계가 꿈이었던 지로. 지로가 자신의 꿈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 그 사이 결핵에 걸려 일찍 세상을 떠나야만 하는 나호코. 이 둘의 만남과 안타까운 사랑의 순간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불태워 나가는 지로.

자신이 그토록 꿈꾸어 왔던 비행기가 전투기가 되고 폭격기가 되는 것. 그럴 바에는 차라리 비행기를 만들지 않았다기 보다는 그것을 승객용으로 쓰던 전쟁용으로 쓰던간에 자신은 가장 아름다운 가장 좋은 비행기를 만들고자 했던 이 지로에게 넌 제국주의자의 손발이었다고 욕하고 전범 재판을 하고 말고는, 하야오 감독은 신경쓰지는 않았다. 나호코가 죽고(죽음에 대한 암시), 하지만 자신의 꿈의 결정체는 하늘을 날고, '바람은 불고, 어쨌던 살아 가야 하는 것이었다'


하야오는 일본인이다. 제국주의국가의 어찌보면 귀족집안의 사람이다. 하지만 보편적 인도주의(그런게 있다면)의 관점에서 그의 작품을 본다면 이 작품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번 느낄수 있지 않을까 싶다. 우리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을 학살 하고 있는데고 침묵하고 있지 않나. 전혀 다른 문제가 아니다.  차라리 우리 주위에서 일제시대 앞잡이 역할을 하고 다시 미군정에 충성을 하면서 자신의 재산과 권력을 키워 온 사람들에게 훨씬더 분노를 느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신앙이 없어도 양심에 따르면 된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자신의 종교를 믿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양심을 따르라는 이 말. 이 말속에 난 범 인류적 가치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sing Arizona, 1987"  (0) 2014.08.13
[Huozhe, 인생, 1995]을 보고  (0) 2014.08.04
[Noah, 2014]를 보고  (0) 2014.07.29
[Talk to her, 2002]를 보고  (0) 2014.07.21
'장미없는 꽃집(2008, 일드)'를 보고  (0) 2014.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