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持而盈之,不如其已. 揣而銳之,不可長保. 金玉滿堂,莫之能守.

   지이영지 불여기이  추이예지 불가장보  금옥만당 막지능수

持(chí)가질지, 쥐다, 잡다, 가지다, 주장하다, 주관하다, 억누르다, 유지하다, 지키다, 대치하다/已(이)이미/揣(췌,취)헤아릴,(추)때릴,(단)뭉칠,[ chuāi ]품을 췌, 품다, 감추다, 임신하다,[ chuǎi ]잴 췌,헤아리다,가늠하다/莫[ mò ]없을 막, ~않다, 못하다, ~하지마라, 혹시~란 말인가, 아무(것)도 없다


富貴而驕,自遺其咎. 功遂身退,天之道.

부귀이교 자유기구  공수신퇴 천지도

驕(교)교만할,骄[ jiāo ] 강렬하다, 왕성하다, 방종하다, 제멋대로 하다, 총애를 받는/咎(구)허물,(고)큰북,咎[ jiù ]재앙,흉사, 과실,나무라다/遂[ suì ]이룰 수, 성공하다, 이루다, 마음대로 되다, 순조롭게 이루어지다, 그래서, 곧, 드디어/退[ tuì ]물러날 퇴, 물러나다, 물리다, 철회하다, 파기하다/遺(유)남길, (수)따를


- 참고 : 계속해서 채우는 것은 그만 두느니만 못하며, 두드려 날을 세우면 오래 간직할 수 없다.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하면 결코 지키지 못하며, 돈과 명예가 있어도 건방지면 자연히 허물을 남기게 된다. 이루었을 때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도이다.


- 참고자료 : 지니고서 그것을 채우는 것은 때에 그침만 같지 못하다. 갈아 그것을 날카롭게 하면 오래 보존할 길이 없다. 금과 옥이 집을 가득 메우면 그를 지킬 길 없다. 돈 많고 지위 높다 교만하면 스스로 그 허물을 남길 뿐이다. 공이 이루어지면 몸은 물러나는 것, 하늘의 길이다. 


- 준이해석 : 지니고서 그것을 가득 채우면, 그것의 원래(채우기 전)만 못하고, 때려서 예리하게 만들면 오래 보전 할수 없다. 금옥이 집을 가득 채우면 그것을 능히 지켜 낼 수 없으며, 부귀하나 교만하면 자신에게 그 허물을 남긴다. 공을 이루고 자신은 물러나는 것이 천지의 도이다.


- 준이생각 : 허에 대한 이야기인 듯 하다. 무엇이든 적당히 비어 있는 상태, 적당히 덜 되어 있는 상태, 너무 심하게 치우쳐 있지 않은 것... 그리고 무언가를 완전히 이루었으면 얼른 빨리 물러나서 새로운 계획이나 목표를 세워야지 그 안에 어물쩡 있다가는 채우지 아니함만 못한 경우를 당하게 된다는 것이 요지가 아닐까 싶다. 살면서 느끼는 것은 만족의 순간이 주는 행복은 짧다. 실은 신퇴를 하지 아니 하여도 주변 상황이 순식간에 바뀌어져 버려서 다시 허로 돌아 가는 것이 이 세상의 섭리가 아닌가 싶다. 나도 그리 해야 하지만 천지도 이미 그리 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