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천장지구 천지소이능장차구자 이기부자생 고능장생
且(차)또,(저)공경스러울, (조)도마,(qiě)잠시, 당분간, ~하면서~하다, 다시금, 또한,~마저도, 한참동안,/而且 게다가 뿐만 아니라, 또한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 故能成其私.
시이성인후기신이신선 외기신이신존 비이기무사사 고능성기사
邪(xié)사악할 사, 그릇되다, 나쁘다, 비정상이다, 재앙, 병을 일으키는 원인
- 참고 : 하늘은 넓고 땅은 오래간다. 천지가 넓고 오래가는 것은, 자기만이 살겠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 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성인은 자신을 뒤에 두나 오히려 앞서고, 자신을 밖에 두고도 결국 남는다.
이는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 아니겠는가? 그렇게 결국 사사로움마저 이룰 수 있다.
- 참고자료 : 하늘은 너르고 땅은 오래간다. 하늘과 땅이 너르고 또 오래갈 수 있는 것은, 자기를 고집하여 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래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하므로 성인은 그 몸을 뒤로하기에 몸이 앞서고, 그 몸을 밖으로 던지기에 몸이 안으로 보존된다. 이것은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오히려 그 사사로움을 이루게 되는 것이니.
* 하늘이라는 시간 속엔 땅이란 공간이 들어 있고, 땅이라는 공간속엔 하늘이라는 시간이 들어 있는 것이다. 천지(天地)가 장구(長久)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천지가 자기를 고집해서 생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스로 그러한 대로 자기를 맡길 뿐이다.
* 인간의 “멋”이란 “손해 볼 줄 아는 것”, “희생할 줄 아는 것”에서 생겨난다. 스스로 생한다 하는 것은 사물과 더불어 다툰다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스로 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모든 사물이 저절로 그리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사로움이 없다는 것은 즉, 내 몸에 있어서 함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억지로 강해지려고 하면 오히려 강함을 잃어버린다 함을 말한다.
* 공이라 하는 것은 취할 수 없는 것이요, 아름다움이라 하는 것은 쓸 수가 없는 것이다.
- 준이해석 : 하늘은 오래되고, 땅은 영구하다.(長, 久 두 글자 모두 시간의 오래됨 또는 영구함을 말함). 천지는 이른바 오래되고 게다가 영구할 수 있다. 그 스스로 살지 않음(스스로 살려고 발버둥 침 ?)으로서 고로 장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성인이 자신의 몸을 뒤로 둠으로서 몸을 앞으로 하고, 자신의 몸을 바깥에 둠으로서 몸을 존속케(위험을 피하는) 하는 방법이다. 사사로운 것을 없게 하려는 것이 아닌가 ? 고로 그 사사로움을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이다.
- 준이생각 : 천장지구라는 말이 생겨난 구절이다. 세상은 천지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이에 물이 있다. 물은 때로는 땅의 품에 안기어 있고 때로는 하늘의 품속에 안기어 있기도 하면서 계속 변화한다. 이 하늘과 땅 사이에 세상의 만물은 존재 하고 있으면 ‘생명’을 가진 것도 대를 이어 가며 그 속에서 다른의미의 영생을 하고 있고 변화 무쌍하면서도 변치 않은 것, 이 전체를 일컬어 자연이라고 한다. 천지가 왜 장구한 것인가 ? 이는 스스로 살려고 버둥대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성인(아마도 여기서 말하는 성인은 신선쯤이 아닌가 싶다)이 자신의 몸을 낮추고, 자신의 몸을 사리지 않기에 더욱 올라서게 되고 더욱 오래가는 것과 같은 이치다. 자신의 것을 탐하지 않기에 능히 자신의 것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쓰고도 뜻이 가물 가물 하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09 [持而盈之,不如其已] (0) | 2015.12.10 |
---|---|
道德經 - 08 [上善若水] (0) | 2015.12.09 |
道德經 - 06 [谷神不死,是謂玄牝] (0) | 2015.12.08 |
道德經 - 05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0) | 2015.12.08 |
道德經 - 04 [道,沖而用之, 或不盈] 20151210 (0) | 2015.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