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오  고기어도

爭(zhēng)다툴쟁/幾(jǐ,き)몇 기, 아깝다, 거의, 낌새, 징조, 바라다/善(shàn) 착할 선, 착하다, 선량하다, 사이 좋다, 훌륭하다, 익숙하다, 잘,~하기 쉽다,~에 소질이 있다, ~을 잘하다, 선행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언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부쟁  고무우

尤(yóu)더욱 우, 두드리지다, 특출하다, 원망하다, 비난하다, 유달리, 한층, 과실,허물



- 참고 :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여 다투지 않게 하고, 모두가 싫어하는 곳에 머문다. 그래서 도에 가깝다. 낮은 곳에 머물고, 마음은 고요하며, 사귐에 어질고, 말이 듬직하고, 올곧아 잘 다스리고, 일을 잘 처리하고, 때맞춰 움직인다. 그저 다투지 않으니, 허물도 없다.



- 참고자료 :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잘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는다.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처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살 때는 낮은 땅에 처하기를 잘하고, 마음 쓸 때는 그윽한 마음가짐을 잘하고, 벗을 사귈 때는 어질기를 잘하고, 말 할 때는 믿음직하기를 잘하고, 다스릴 때는 질서 있게 하기를 잘하고, 일 할 때는 능력 있기를 잘하고, 움직일 때는 바른 때를 타기를 잘한다. 대저 오로지 다투지 아니하니 허물이 없어라.


* 혼돈이야 말로 선이다. 혼돈은 결코 무질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혼돈은 질서의 가능태이다. 그것은 질서의 허(虛)이다. 질서는 분명 아름다운 것이다.


* 물은 자신을 낮추며 흐른다. 물은 항상 자신을 겸손하게 낮춘다. 자신을 항상 낮추면서도 무소부재(無所不在,어느 곳에도 존재하는)한 신의 능력을 과시한다. 물은 다투지 않으면서도 가는 곳마다 모두를 이롭게 한다. 물은 곧 생명이요, 신이다. 다투지 아니하면서 모든 것을 이롭게 하고 모든 것에 생명을 부여하며, 무소부재 한 것! 하느님의 모습이 아니고 무엇이랴! 하느님이 곧 도요, 도가 곧 하느님인 것이다. 물은 이미 하나의 상징체계이며, 그러한 상징체계는 끊임없이 상징체계를 벗어나 있는 도 즉, 무의 세계에 끊임없이 근접할 수 있을지언정 영원히 일치될 수는 없다.


- 준이해석 : 상선(上善,지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는다. 모든 사람이 싫어 하는 곳에 거처하니, 고로 거의 도와 같다. 거居할때는 땅을 좋아하고, 마음은 깊음을 좋아 하고, 어울림에는 인을 좋아 하고, 말할 때는 믿음을 좋아 하고, 다스림에는 바르고, 일처리는 능력이 있고, 움직임에는 시기를 잘 맞춘다. 이는 오직 싸우지 아니 하니, 고로 근심거리가 없다.


- 준이생각 : 노자는 상선을 물로 보았다. 물은 그 가진 천성으로 많은 사람들이 칭송을 한거 같다. 물은 항상 낮은 데 임한다. 그 낮은 곳이란 데가 사람들은 싫어하는 곳이리라. 그래서 흡사 도와 같다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善은 ‘잘한다’,‘선호한다’같은 의미로 봐야 할 거라고 판단되는데, 땅에 살기 좋아 하고 마음은 깊이, ...하는 물의 성질을 마치 사람인양 표현하여 ‘그것은 오직 싸우지 않음으로 근심또한 없다‘라는 멋진 말로 물을 이야기 하듯, 이렇게 사는 것이 어떻냐고 노자선생은 이야기 하신다. 夫唯不爭, 故無尤.그리고 오늘 공부를 하면서 한자의 여러 뜻과 용례를 문맥에 매끄럽게 이해 하기 위해서 지금처럼 한자사전, 중국어 사전 뿐만 아니라, 일본어 사전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