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太上 下知有之 其次 親而譽之 其次畏之 其次侮之 信不足焉 

   태상 부지유지 기차 친이예지 기차외지 기차모지 신부족언

譽(예)기릴,명예,기리다, 찬양하다/侮(모)업신여길, 조롱하다


有不信焉 悠兮 其貴言 功成事遂 百姓皆謂我自然.

유불신언 유혜 기귀언 성공사수 백성개위아자연

悠(유)멀, 아득하다, 근심하다, 한가하다, 그리워하다, 나부끼다, 많다/遂(수)드디어, 따를, 마침내, 두루, 널리, 수로, 이루다, 생장하다, 끝나다, 가다, 떠나가다, 나아가다, 답습하다, 오래되다, 멀다, 아득하다,



- 참고 : 가장 좋은 지도자는 있는지도 모르겠는 자이며, 그 다음은 부모같고 기림받는 자이고, 그 다음은 두려운 자이며, 그 다음은 업신여겨지는 자이다. 믿음이 부족하면, 믿음을 얻지 못할 뿐이다. 넉넉하구나, 그 말을 아낌이여, 일이 잘 풀리면 백성들은 모두 자기가 한 것이라 말한다.


- 참고자료 : 가장 좋은 다스림은 밑에 있는 사람들이 다스리는 자가 있다는 것만 알 뿐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을 친하게 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을 두려워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에게 모멸감을 주는 것이다. 믿음이 부족한 곳엔 반드시 불신이 있게 마련이다. 그윽하도다. 그 말 한마디를 귀하게 여기는 모습이여. 공이 이루어지고 일이 다 되어도 백성들은 모두 한결 같이 일컬어 나 스스로 그러할 뿐이라 하는도다!


* 인간세의 정부형태를 자기의 철학적 입장에서 가치 위계적으로 논한 대목이다. 노자가 말하는 이상적인 정치는 무위(無爲)의 다스림이요, 불인(不仁)의 다스림이요, 자연(自然)의 다스림이요, 억지가 없는 다스림이다.


* 무위정치 > 인의 정치 > 법제정치 > 공포정치의 순서는 곧 신(信)의 타락의 과정을 의미한다. 다스리는 자와 다스려지는 자 사이의 정령조차도 충분한 믿음이 성립하지 않는데, 어찌 그러한 정령조차 필요 없는 무위의 정치를 논구할 수 있으리오? 공이 이루어지고 일이 이루어져도 백성들은 모두 한결 같이 말한다. 나 스스로 그러할 뿐이다.



- 준이해석 : 가장 높기로는 그가 있는지를 모르는 것이고, 그 다음은 다정하여 그를 기리는 것이고, 그 다음은 그를 두려워 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그를 업신여기는 것이다. 믿음이 부족하다면 불신이 있다. 아득하구나, 그 귀한 말, 성공스런 일이 따르면 백성은 모두 자신이 스스로 그러하다고 말하는 구나. 


- 준이생각 : 노자는 맹자의 인의의 정치 위에 하나 더 무위의 정치를 최고라고 말한다. 무위의 정치라 함은 왕이 있는지 조차 잘 모를 정도로, 모든 백성이 편히 잘 사는 것을 말함이겠다. 이러한 시대에선 무슨 일이든 성공이 따르면 모든 백성들은 ‘내가 자연이다’라고 일컫는다고 했고 이 귀한 말이 아득하다라고 했으니, 노자의 시대에도 노자가 보기에 나은 정치인은 심히 드물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내가 자연이다라는 말은 내가 스스로 그러했다라는 말이기도 하고, 어찌 보면 세상만물이 병작한다고 했던바 그 자신 스스로 그리해서 잘 되었다는 말도 되는 다분히 복합적인 말이 아닌가도 생각되고, 자연이란 말에 대해서도 더 곰곰이 음미를 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