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大道廢 有仁義 慧智出 有大僞 

   대도폐 유인의 혜지출 유대위

(폐)폐할, 버릴, 못쓰게 되다, 버리다, 그치다, 부서지다, 무너지다, 쇠퇴하다/出(출)날, 나가다, 떠나다, 드러내다, 내쫗다, 돌려보내다,내어주다, 버리다, 게우다.샘솟다/僞(위)거짓, (와)잘못될 와


六親不和 有孝慈 國家昏亂 有忠臣.

육친불화 유효자 국가혼란 유충신

六親-부(父)·모(母)·형(兄)·제(弟)·처(妻)·자(子)의 총칭. 육척(六戚)./昏(혼)어두울, 희미하다, 날이 저물다, 어리석다, 미혹되다, 혼란하다, (민)힘쓸




- 참고 : 큰 도가 닫히니 어짊과 바름이 얘기되고, 앎과 밝음이 나타나니 큰 거짓이 생긴다. 가족이 어울리지 못하니 치사랑과 내리사랑이 얘기되고, 나라가 어지러우니 충신이 생긴다.



- 참고자료 : 큰 도가 없어지니 인의가 있게 되었다. 큰 지혜가 생겨나니 큰 위선이 있게 되었다. 육친이 불화하니 효도다 자애다 하는 것이 있게 되었다. 국가가 혼란하니 충신이라는 것이 있게 되었다.


* 큰 지혜를 운운하니깐 따라서 큰 위선이 생겨나는 것이다. 지혜를 운운하지 않으면 위선도 생겨날 자리가 없는 것이다. 충신을 만들려고 도덕교육을 시킬 것이 아니라 충신이 나올 필요가 없는 사회를 만드는데 헌신할 수 있는 큰 인물을 키워야 하는 것이다. 매우 아름다운 이름은 크게 추한 것에서 생겨난다. 아름다움과 추함이 결국 같은 것이라는 말은 곧 이것을 의미한다.



- 준이해석 : 큰 도가 쇠퇴하니, 인의가 있도다. 지혜가 나오니 큰 거짓이 있도다. 가족이 불화하니 효도와 자애가 있도다. 국가가 혼란하니 충신이 있도다.


- 준이생각 : 대도와 인의는 서로 한 몸이면서 크고 작은 차이가 있고 지혜와 대위는 한 몸이나 그 방향이 다르고 가족불화와 효자는 서로 반대의 의미를 지니며 국가혼란과 충신은 상쇄하는 힘을 지닌다. 같은 듯 다른 이러한 개념들은 하나가 밝거나 어두워지거나 함에 따라 빛을 발하기도 하고 함께 사라지기도 한다. 참고자료의 설명과 같이 충신이 아예 필요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게 최선일 것이고 이것이 바로 대도, 지혜와 같은 것들이 어울리는 무위이고 태허이고 자연스러운 형태일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