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絶聖棄智 民利百倍 絶仁棄義 民復孝慈 絶巧棄利 盜賊無有 

   절성기지  민리백배  절인기의  민복효자  절교기리  도적무유

棄(기)버릴,그만두다, 돌보지 않다


此三者 以爲文不足 故令有所屬 見素抱樸 少私寡欲.

차삼자  이위문부족  고령유소속  견소포박  소사과욕

屬(속)무리,붙다,부착하다,거느리다,복종하다, 나누다, 사랑하다(촉)이을/抱(포)안을,던질/樸(박)순박할,(복)나무 빽빽할/寡(과)적을


- 참조 : 종교를 끊고 학문을 버리면, 백성들에게는 좋은 일이 백배나 생긴다. 어짊을 끊고 의로움을 버리면, 백성들은 부모자식 같은 사이로 돌아갈 것이다. 속임수를 끊고 이익을 버리면, 도적은 사라진다. 허나 이 세가지는 꾸미는 것이라 부족하니, 다른 가치관이 필요하다. 바탕을 드러내고 질박함을 지녀라. 자신을 위하지 말고 욕심을 줄여라.



- 참고자료 : 성스러움을 끊어라! 슬기로움을 버려라! 백성의 이로움이 백배할 것이다. 인자함을 끊어라! 의로움을 버려라! 백성이 다시 효성스럽고 자애로울 것이다. 교사스러움을 끊어라! 이로움을 버려라! 도적이 없어질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문명의 장식일 뿐이며 자족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돌아감이 있게 하라. 흰 바탕을 드러내고 통나무를 껴안아라! 사사로움을 줄이고 욕심을 적게하라!


* 무위적(無爲的) 정치철학의 입장을 아주 강렬한 명령형으로 정리해 놓은 장으로 노자의 사회관을 보여준다. 우리가 위대한 과학의 발전이라고 외치는 많은 문명의 양태들이 그 근본을 뒤집고 보면 아주 하찮은 인간의 나태의 산물일 수도 있다. 나태하고자 하는 마음, 조금 더 편하고자 하는 마음 때문에 문명은 발전할지 모르지만 우리의 몸과 마음은 썩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반성해보아야 할 것이다. 인간은 욕이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항상 사를 줄이고 욕을 적게 하는 방향으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 과욕이 욕망의 완전한 부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인생은 과욕의 노력의 과정인 것이다.



- 준이해석 : 성스러움을 끊고 지혜를 버리면 백성의 이로움은 백배가 된다. 어짐을 끊고 의로움을 버리면 백성은 효도와 자애로 돌아온다. 교묘함을 끊고 이익을 버리면 도적은 없어진다. 이 세 개는 글로(만) 표현하기에 충분치 않다. 고로 속할 곳을 만들게 령을 내리건데, 소박하게 보고 순박함을 안아라, 그리고 사리사욕을 적게 하고 욕심을 덜어라.


- 준이생각 : 이번 장을 보면서 어쩌면 노자 또한 원시공산사회를 그리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문물이 발달하고 잉여 산물이 생기고 이를 더 차지 하려하는 자가 생기고 일하지 않고 군림하는 자가 생기고 그리고 착취와 생지옥이 만들어 지는 인간사속에서 홀연히 소박하고 풍요로운 원시공산사회를 꿈꾼거나 아닐까 하는... 암튼 종교나 신앙의 장점을 무시하는 바는 아니지만 이들은 분명 실재 사회에서 하나의 지배체계를 만들어 온 것이다. 종교를 끊고, 지혜로움을 숭상함을 버리면 백성들은 그 만큼 덜 수탈 되고 덜 이용당하기에 이익이 백배가 된다고 했다. 다소 과장이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백성은 땀흘려 농사를 짓고 물건을 만들고 고기를 잡는 실 생활인이라고 여겨 진다. 인이니 의니 하는 것들을 집어 치우면, 즉 형식의 틀에 사람을 옭아 매는 모든 것을 버리면 자연히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효성스러운 마음, 그리고 자애스러운 마음으로 돌아 간다고 했다. 정교한 기술이니 특히 자본주의의 꽃인 이익(잉여자본)을 버리고 끊으면 도둑질이 필요치 않게 되니 자연히 도둑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렇게 세 개의 것을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것이 하나로 녹아드는 생활 강령을 이렇게 정리한다. 견소포박 소사과욕...소박함을 보고(바라고), 순박함을 껴안아라. 개인의 사리사욕을 적게 하고 욕심을 덜어라. 없이 하라고는 하지 않았다. 적당히 해라는 가르침이라 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