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석지득일자  천득일이청  지득일이녕  신득일이영  곡득일이영  만물득일이생

淸(청)맑을/盈(영)찰


侯王得一以爲天下貞, 其致之,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發, 神無以靈, 

후왕득일이위천하정  기치지  천무이청  장공렬  지무이녕  장공발  신무이영

貞(정)곧을,곧다, 지조가 굳다,마음이 곧바르다/恐(공)두려울/裂(렬)찢을/發(발)필,피다,또다,일어나다,들추다,계발하다,베풀다,나타나다/致(치)이를,빽빽할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貴高, 將恐蹶, 

장공헐  곡무이영  장공갈  만물무이생  장공멸  후왕무이귀고  장공궐

歇(헐)쉴,그치다,마르다,머무르다/竭(갈)다할/滅(멸)꺼질,없어지다,다하다,멸하다/蹶(궐)넘어질,일어설(궤)뛰어 일어날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謂孤, 寡, 不穀,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고귀이천위본  고이하위기  시이후왕자위고  과  불곡  차비이천위본사  비호

寡(과)적을/穀(곡)곡식, (누)어린아이/邪(사)간사할,(야)그런가,(여)나머지,(서)느릿할,1.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2. 사악하다(邪惡--) 3. 기울다, 비스듬하다 4. 바르지 아니하다 5. 사사롭다(私私--) 6. 사기(邪氣) 7. 품행(品行)이 부정(不正)한 사람 8. 사사(私私)로운.../不谷,又作“不榖”,“不榖”的本意是不结果实。水稻不灌浆就不会有稻米产生,这个叫“不榖”、“不谷”。对人来说,就是没有子女,老绝户。叫“不榖”、“不谷”。和孤、寡意思相并列。用来比喻人没有德行,所以绝后。古代王侯以此自警、自谦。


故致數輿無輿,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고치수예무예  불욕녹녹여옥  낙낙여석

輿(여)수레,(예)명예/琭(녹)옥/珞(락,낙)구슬목걸이,(역,력)조약돌



- 참고 : 하나를 얻은 자라는 말이 있다.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아지고, 땅은 하나를 얻어 안녕해지며, 신은 하나를 얻어 영험해지고,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 채워지며. 모든 것은 하나를 얻어 생겨나고, 제후와 왕은 하나를 얻어 천하를 세운다. 저 말은 그런 뜻이다. 하늘이 맑지 않으면 갈라지게 되고, 땅은 안녕하지 않으면 못쓰는 것이며, 신은 영험하지 않으면 없어질 것이고, 계곡은 채워지지 않으면 마를 것이며, 모든 것은 생기지 않으면 사라질 것이고, 제후와 왕이 세우지 못하면 넘어질 것이다. 그러니 귀함은 천함을 그 근본으로 삼고, 높음은 낮음을 그 기초로 삼는다. 따라서 제후와 왕은 스스로를 고아, 과부, 자식없는 사람이라 부르는 것이다. 이는 천함을 근본으로 삼는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최고의 명예는 명예가 없는 것이다. 옥처럼 귀하게 되려하지 말고 이리저리 구르는 돌처럼 되라.



- 참고자료 : 

[해 석]

태초에 "하나"를 만난 것들이 있었으니,

하늘은 하나를 만나서 맑아지게 되었고.

땅은 하나를 만나서 안정되었으며

골짜기는 하나를 만나서 신령스러워졌고

후왕은 하나를 만나서 바른 다스림을 하게 되는 것이오.

이 "하나"를 버리면 그 의미가  (아래와 같이) 달라지게 되오.

오직 맑은 것 말고는 하늘이 아니다 라고 말한다면

혹시나 하늘이 무너질까 두려워 할 것이오. 

오직 편안하게 안정된 것 말고는 땅이 아니다 라고 말한다면,

혹시나 땅이 치솟아오를까 두려워 할 것이오.

오직 영묘한 것 말고는 신이 아니다 라고 말한다면 ,

혹시나 신의 영묘함이 끝날까 두려워할 것이오.

오직 가득차 있는 것 말고는 깊은 샘물이 아니다 라고 말한다면,

혹시나 샘물이 바짝 마를까 걱정할 것이오.

오직 고귀한 성품이 없으면, 후왕의 자격이 없다 라고 말한다면,

혹시나 후왕이 폐위될까 두려워 할 것이외다.

그러므로 귀함은 필히 천한 것으로써 근본을 삼아야 하며,

높아지려고 한다면 필히 낮은 것으로  그 바탕을 삼아야 하오.

대체로 그러하기 때문에 후왕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어서 이렇게 부르는 것이오.

- 어리석고, 모자르며, 복덕이 없는 사람.

바로 이렇게 하는 것이, 천한 것으로 바탕을 삼는 다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겠소?

따라서 진실로 명예에 오르는 수단이란  낮고 천한  명예 없음이 되는 것이외다.

 

그러므로 옥같이 빛나는 복덕을 추구하지 말고,

돌처럼 투박하고 천한 것으로 바탕을 삼아 머무는 것이외다.

 

출처 : 네이버블로그 무한진인 



- 준이해석 : 옛날 하나를 얻은 것이 있는데,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게 되었고, 땅은 하나를 얻어 안녕하게 되었고, 신은 하나를 얻어 신령스럽게 되었고, 계곡은 하나를 얻어 가득 차게 되었고, 만물은 하나를 얻어 생명을 갖게 되었고, 제후와 왕들은 하나를 얻어 천하를 바르게 세웠다. 이에 그것에 이르러, 하늘이 맑음을 잃으면 장차 갈라짐이 두렵고, 땅이 안녕을 잃으면 장차 (땅이) 일어남이 두렵고, 신이 신령함을 잃으면 장차 그침이 두렵고. 계곡이 가득 참을 잃으면 장차 메마름이 두렵고, 만물이 생명을 잃으면 장차 그 없어짐이 두렵고, 제후와 왕이 고귀함을 잃으면 장차 쓰러짐이 두렵다. 고로 귀함은 천함을 근본으로 하고, 높음은 낮음을 그 기초로 하고, 이러함에 제후와 왕은 스스로를 고아, 과부, 자식 없는 자라고 부른다. 이것이 천함을 근본으로 삼지 아니함이 아닌가. 고로 최고의 명예는 명예가 없는 것이다. 진귀한 옥을 욕심내지 말고 둥그런 조약돌이 되라.


- 준이생각 : 옛날 하나를 얻었다는 것은 어쩌면 그 사물의 본성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 기본되는 성품을 얻은 것이 하늘은 맑음이요, 땅은 안녕됨이요, 신은 신령스러움이고 계곡은 가득참이요, 만물은 생명이고, 위정자는 천하를 바로세움이 되겠다. 이 가장 기본이 되는 성품을 잃게 되면 하늘은 갈라지고, 땅은 일어서고, 신은 그치고(더이상 신이 아닌) 계곡은 마르고, 만물은 사라지며, 위정자는 쓰러지는 것이다. 그리고 고귀함은 천함을 근본으로 하고, 높음은 낮음을 기초로 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왕후는 고귀하여야 하는 존재임에도 스스로를 일컬어 가장 천하고 낮은 것들 – 고아, 과부, 무자식자 – 하고 스스로 낮추어 부른다. 이것이 바로 천함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 아닌가? 이는 즉 고귀한 자일수록 스스로 가장 천하고 낮추는 마음가짐을 말한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최고의 명예는 명예가 없는 상태라고 말을 하면서 귀한 옥처럼 되려 욕심 내지 말고 흔하디 흔한 돌처럼 되라고 한다. 노자의 말은 이것을 말하는가 싶으면 어느새 그 말의 가장 반대 끝으로 가 있고, 저것을 말하는 가 싶으면 이것을 말하고 있고, 그 말을 따라 가다 보면 세상 만물은 서로 얼키 설키 이어져 있고 무엇하나 버릴 것이 없어 보인다. 그리고 이번 장에서 느낀 교훈은... 좁은 문으로 가라, 낮은 곳으로 가라. 하지만 뜻과 이상은 높고 숭고한 곳으로 향하라...(애초부터 도덕경에 덤벼 든 거 부터가 엄청난 모험이었다. 문과출신도 아니고, 에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