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將欲翕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
翕(흡)합할,합하다,일다,한꺼번에일어나다,성하다,거두다,모으다,[xī]수렴하다,모으다,거두다,합치다,닫다,접다,상냥하다,화목하다/張(장)베풀,벌이다,/固(고)굳을, 굳히다, 완고하다,굳이, 단호히, 굳건히, 본디,당연히/廢(폐)폐할, 버릴/奪(탈)빼앗을,(태)좁은길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필고여지 시위미명 유약승강강 어불가탈어연 국지리기 불가이시인
剛(강)굳셀/淵(연)못
- 참고 : 줄이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늘려줘야 하고,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해야하며, 망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흥하게 해야하고, 뻐앗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 이를 숨겨진 밝음이라 하는데,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는 말이다.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면 안되고, 나라의 이득이나 체계는 사람들에게 보여선 안된다.
- 참고자료 : 장차 접으려하면 반드시 먼저 퍼주어라. 장차 약하게 하려하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해주어라. 장차 폐하려 하면 반드시 먼저 흥하게 해주어라. 장차 뺏으려하면 반드시 먼저 주어라. 이것을 일컬어 어둠과 밝음의 이치라 하는 것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딱딱하고 강한 것을 이기게 마련이다. 물에 사는 고기는 연못을 튀쳐나와서는 아니되나니 나라의 이로운 기물은 사람에게 보여서는 아니되리.
* 밝음은 밝음이지만, 배면에 어두움을 가지는 밝음이다. 나라를 다스리는 것도 강함의 형벌로 다스려서는 아니되고 유약함의 도의 질서로 다스려야 하는 것이다. 나라의 이기(利器)라 하는 것은 보이는 총칼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사회의 질서를 스스로 이끌어가는 보이지 않는 힘이다.
- 준이해석 : 장차 거두려 한다면, 반드시 당연히 베풀어야 한다. 장차 약하게 만들려면 , 반드시 당연히 그것을 강하게 해야 한다. 장차 그것을 망하게 하려한다면, 필히 당연히 그것을 흥하게 해야 한다. 장차 그것을 빼앗고자 한다면 필히 당연히 그것을 주어야 한다. 이것을 미명微明이라 한다. 약하고 부드러운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기며 물고기는 연못에서 나올 수 없다. 나라에 이로운 것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져서는 안 된다.
- 준이생각 : 거두려면 베풀어야 하고, 약하게 하려면 먼저 강하게 해야 하고, 망하게 하려면 먼저 흥하게 해야 하고, 뺏기 전에 먼저 주어야 하고,...이것을 미명이라고 한다고 하는데. 상대의 허를 노리는 간계인가, 아니면 자연의 순리에 그대로 따라가는 대순인가. 이 말대로라면 작의든 무작의든 상관없이 그리 흘러 가는 것인바, 아마도 여기에 작의가 들어 가면 시간이나 공간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단 여기서 나는 작의를 배제하고 무작의의 내용으로 받아 들여 보며, 굳이 무엇을 이렇게 저렇게 하려 하지 마라는 의미로 보고자 한다. 일단은 도라는 것에 대해 알고 그를 따라야 한다는 명제가 앞에 있기에.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38 [上德不德, 是以有德] (2) | 2016.01.26 |
---|---|
道德經 - 37 [.道常無爲而無不爲] (0) | 2016.01.25 |
道德經 - 35 [執大象, 天下往] (0) | 2016.01.20 |
道德經 - 34 [大道氾兮, 其可左右] (2) | 2016.01.18 |
道德經 - 33 [知人者智, 自知者明]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