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反者, 道之動, 弱者, 道之用,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반자  도지동  약자  도지용  천하만물생어유  유생어무



- 참고 : 돌아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약한 것은 도의 쓰임이다. 하늘 아래 모든 것은 있음에서 비롯되나, 있음은 없음에서 비롯된다.



- 참고자료 : (내면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 道의 움직임이며, 미세하고 약한 것이 道의 작용이오. 無(없음)에서 有(있음)가 생기고, 이 有에서 우주삼라만상의 물질세계가 생기는 것이외다.



- 준이해석 : 되돌아 가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약한 것은 도의 쓰임이다. 천하 만물은 존재에서 생기고, 존재는 무에서 난다.


- 준이생각 : 귀나 회귀를 쓰지 않고 반을 쓴 것은 처음 난 곳으로 돌아 간다기 보다는 성질의 반대쪽 끝으로 향한다고 생각된다. 사람이 태어나 세상을 살다가 죽을 때, 다시 아기로 되돌아 가는 것이 아니라 생의 반대 개념인 무의 개념으로 가는 것과 같이. 이렇게 가진 성질의 반대 끝으로 자연스레 움직여 가는 것이 바로 도의 움직임이라 친다면, 왜 도의 용用은 약하다고 말했을까? 이것은 자연스런 흐름이 도의 본성이라 볼 때 이 흐름을 시간과 공간의 한정 속에 의도적으로 바꾸려 할 때... 즉 의도가 개입 되어 질 때 그 영향은 약하다...이런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세상의 만물이 실재 존재하는 것들이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반反하고 있으면서 그 각각의 존재는 나름의 무無로 움직이고 다시 무無속에서 유有의 씨앗이 태어 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유는 무에서 태어난다. 결국은 무와 유는 둘이 아니라 하나인가 ? 이런 고민 하다가 도가 틔면 신선이 되는긴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