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道常無爲而無不爲,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化, 化而欲作, 

   도상무위이무불위  후왕양능수지  만물장자화  화이욕작


吾將鎭之以無名之樸, 無名之樸, 夫亦將無欲, 不欲以靜, 天下將自定. 

오장진지이무명지박  무명지박  부역장무욕  불욕이정  천하장자정

鎭(진)진압할,누르다,지키다,(전)메울/樸(박)순박할, (복)나무 빽빽할 1. 순박하다(淳朴ㆍ淳樸ㆍ醇朴--) 2.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3. 다듬다 4. 통나무 5. 바탕 a. 나무가 빽빽하다 (복) b. 달라붙다 (복) c. 더부룩하게 나다 (복) d. 떡갈나무... 



- 참고 : 도는 항상 아무것도 하지 않아, 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지배자가 이를 지킬 수 있다면, 모든 것은 저절로 변해갈 것이다. 그 변화를 억지로 하려하면, 나는 이름할수 없는 소박함으로 다스릴 것이다. 이름할 수 없는 소박함이란, 욕심을 없애는 것이다. 욕심을 없애면 고요하니, 천하는 저절로 안정될 것이다.



- 참고자료 : 도는 늘상 함이 없으면서도, 하지 아니함이 없다. 제후와 제왕이 만약 이를 잘 지킨다면 만물이 장차 스스로 교화될 것이다. 그러나 교화와 더불어 또 욕망이 치솟을 것이다. 그러면 나는 무명의 통나무로 그것을 누를 것이다. 무명의 통나무는 대저 또한 욕심이 없을지니, 욕심내지 아니하면서 고요하면 천하가 스스로 질서를 찾아갈지니.


* 도의 전체적 성격을 마무리 짖고 있다. 무위(無爲)라는 것은 스스로 그러함을 따르는 것이며, 무불위(無不爲)는 만물이 도로 말미암아 질서가 생기고 형성되어가지 않을 수가 없다. 무위하면서 무불위하는 이 도를 잘 지킨다면, 만물은 스스로 교화될 것이다.


* 인간의 최대의 문제는 욕작(欲作,욕망이 일어난다)이다. 이 욕작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노자는 말한다. 이름없는 통나무로 그 욕망을 누르리라. 이름없는 통나무의 질박함이야말로 욕망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 무욕(無欲)이란 이름없는 통나무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불욕(不欲)이란 곧 그것을 실천하려는 인간의 행위와 의지를 나타낸다. 욕(欲)하지 않음으로서 정(靜)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하면 천하가 장차 스스로 정(定)해질 것이다.



- 준이해석 : 도는 언제나 무위(하고자 하는 것이 없음)하면서 무불위(하지 못하는 것이 없음)하다. 제후와 왕이 만약 이를 지킬 수 있다면 만물은 장차 스스로 그리 되려 할 것이고, 되려함에 작위의 욕심이 생기면, 나는 장차 그것을 이름 없는 질박함으로 누를 것이다. 이름없는 질박함, 그것은 또한 장차 욕심이 없고, 고요함으로 욕심을 내지 않고, 천하는 장차 스스로 안정될 것이다.



- 준이생각 : 무위하면서 무불위하다는 것이 현실에 대체 무슨 의미를 지닐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할 수 없는 것이 없으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그러면 할 수 없는 것이 도대체 세상에 하나도 없으면서, 실재로 아무것도 안하는 것. 이 둘은 서로 닿아 있는 것일까? 아니면 하나도 할 수 없으면서도 이렇게 저렇게 해 보려고 헛되이 애를 쓰는 중생들은 무엇일까? (무언가)하려고 하는 욕심이 일어 나면 이를 무명의 질박(이것이 바로 도가 아닌가)으로 이를 억누를 것이요, 무명의 질박은 무욕하면서 고요함으로 불욕하니 이로써 천하는 스스로 안정되리라고 장자는 말한다. 다스림에 있으서도 무언가 의도하지 말고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로 그리고 가능한한 가장 적은 의도(또는 제약)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도 있고, 무욕과 불욕의 관계에 대해서도 그렇고 천하가 자정한다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일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