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人之所惡,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인지소오

負(부)질,1. 지다, 짐지다 2. 떠맡다 3. 빚지다 4. 업다 5. 힘입다 6. (부상을)입다 7. 저버리다 8. 패하다(敗--) 9.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10. 짐 11. 지는 일 12. 빚/抱(포)안을,던질,1. 안다, 품다 2. 둘러싸다, 위요하다(圍繞--: 어떤 지역이나 현상을 둘러싸다) 3. 가지다, 손에 넣다 4. 지키다 5. 받들다 6. 던지다, 버리다 7. 되돌리다, 되돌아오다 9. 아름 10. 품, 가슴 11. 마음,.../沖(충)화할,빌,찌를,1. 화하다(和--: 따뜻하고 부드럽다), 겸허하다(謙虛--) 2. 담백하다(淡白--) 3. 비다, 공허하다(空虛--) 4. 깊다, 심원하다(深遠--) 5. 어리다 6. 오르다, 솟구치다 7. 높이 날다 8. 꺼리다, 상충되다(相衝--)...


唯孤, 寡, 不穀, 而王公以爲稱, 故物, 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人之所敎, 

유고  과  불곡  이왕공이위칭  고물  혹손지이익  혹익지이손  인지소교

稱(칭)일컬을, 저울


我亦敎之, 强梁者, 不得其死, 吾將以爲敎父. 

아역교지  강량자  부득기사  오장이위교부

梁(량,양)들보


- 참고 :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모든 것을 낳는다.

만물은 음을 지고 양을 껴안으며, 상승하는 기운으로 조화를 이룬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은 외로움, 부덕함, 착하지 못함이라, 지배자는 스스로를 그렇게 낮춰부른다. 그래서 어떤 것은 덜어도 더해지고, 반대로 더해도 덜어지거나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가르치는 것을, 나 역시 가르치는데, 억센 자는 곱게 죽지 못한다. 나는 이를 금과옥조로 삼으려 한다.



- 참고자료 : [출처 : 네이버블로그 무한진인]

[해석]

 

도에서 하나가 나오고, 하나에서 둘이 나오며, 둘에서 셋이 나오고, 셋인 의식을 통해서 만물이 나오는 것이오. 만물은 어두운 음(陰)은 짊어지고, 밝은 양(陽)을 껴안지만, 중심기운이 어둠과 밝음을 서로 바꿔가며 조화시키는 것이외다.  

("道에서 나온 하나"에 대하여 알기 쉽게, 한가지 예를 들어 보자면)

세상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은 외톨이,빈털털이,미천한 사람,이라는 말인데, 그러나 왕은 남에게 자기를 지칭할 때에 이러한 명칭으로 부르는 것이오, 이 "하나"라는 것은 가장 밑바탕의 덕(德)으로 비유할 수 있소. 

("하나에서 둘이 나오고, 둘에서 셋이 나온다"에 대하여 알기 쉽게, 한가지 예를 들어 보자면,)

재물은 혹 줄어들면 다시 보태지게 되고, 늘어나면  또 줄어드는 것이오, 이 우주삼라만상이란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파동의식의 움직임일 뿐이외다.  

("셋에서 만물이 나온다"라고 하는 말은~)

옛사람들이 가르쳐 준 말이지만, 역시 (오랜세월) 검증된 것이므로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것이외다.


("만물은 어둠을 등지고 밝음은 껴안지만,중심기운이어둠과 밝음을 조화시킨다"라는 말을 다르게 말해 보자면~) 억지로 뻣뻣하게 버티고 있는 사람은 제명대로 죽지 못한다는 것이외다. 나는 이것을 배움의 근간으로써 따르고 있소.

 




- 준이해석 : 하나가 도에서 생겨나고, 둘이 하나에서 생겨나고, 셋이 둘에서 생겨나고, 만물은 셋에서 생겨난다. 만물은 음을 짊어 지고 양을 끌어 안는다. 상충되는 기는 서로 조화롭게 된다. 사람들이 싫어 하는 바, 오로지 혼자(고아), 과부, 무자식자(不穀)로서 왕공은 (스스로를) 부른다. 고로 사물은 때론 손해를 봄으로 이익이 되고, 때론 이익을 봄으로 손해가 되며, 사람들은 이를 가르친다. 나 역시 그것을 가르치매, 강한들보 같은 사람은 그 죽음이 부득하니, 나는 장차 이를 가르치려 한다.


- 준이생각 :  도에서 하나가, 하나에서 둘이, 둘에서 셋이 나오고, 셋에서 만물이 생겨난다고 하였다. ‘하나’의 예로 든 것이 옛날 왕들이 스스로를 낮게 칭하여 불렀던 말들, 즉 唯孤, 寡, 不穀으로서 오로지 혼자는 부모 없이 혼자인 것 – 고아를 말하고, 짝을 잃어 홀로 남은 것-과부를 말하고, 곡식(또는 열매)을 맺지 못하여 자신의 삶에서 그냥 끝인 자-무자식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고 보며, 사물들이 이익과 손해의 사이에서 이익이 추후 손해가 되는 경우, 손해가 나중에 오히려 이익이 되는 경우를 이야기 하여 ‘둘’에 대해 이야기 했다고 생각된다. 강한 들보와 같은 경우는 부러지지 않고 자신의 현재(또는 뜻한 바)를 굽히지 않으려 하는 경우이니 결국엔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다고 하는 것, 이것은 ‘셋’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충기라는 것은 그냥 말 그대로 음양의 기운이 서로 상충 되면서 솟구쳐 올라오는 기에 대한 표현이라고 보이고 이것이 화和한다는 것은 기의 동적균형 상태로 보여진다. 어찌 본다면 세상 만물은 두가지 기운의 조화로운 상태이며 그리고 음 양이라는 두가지 기운도 실제로는 도에서 나온 하나의 것이 그 보이는 면이나 위치나 시간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성격으로 보일 뿐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되며, 결국 세상은 하나의 이치 ‘도’라는 것을 이해 한다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