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無得無說分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 得阿耨多羅 三藐三菩提耶. 如來 有所說法耶. 須菩堤言,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 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定法 如來可說.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득아뇩다라 삼먁삼보리야. 여래 유소설법야. 수보리언, 여아해불소설의 무유정법 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 역무유정법 여래가설. 하이고 여래소설법 개불가취 불가설 비법비비법, 소이자하.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 삼먁 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또 여래가 가르친 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리기를,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제가 아는 바 같아서는 일정한 법이 없는것을 이름지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오며, 또한 일정한 법이 없는 것을 여래께서 설하시었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법은 파악 할 수도 없으며, 말 할수도 없으며, 또한 법 아니며,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무슨 까닭이냐 하면, 모든 현인이나 성인들이 모두 무위의 법으로서 다 차별이 있기 때문입니다.”     


※󰡔賢聖󰡕:도를 깨닫기전의 지위를 「賢」, 진리를 깨닫고 일체의 미혹을 끊어 범인의 성품을 버린것을 「聖」이라 한다.

耶 어조사 야,간사할 사  1. 어조사(語助辭) 2. 그런가 3. 아버지(=爺) 4. 예수, 야소교(耶蘇敎) a.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邪) (사) b.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사) [부수]耳(귀이)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

가장 완벽한 깨달음을 뜻하는 말. 싼스끄리뜨 아눗따라 삼먁 삼보디(anuttara-samyak-sambodhi)를 음역하여 한자로 표현한 말. 아뇩다라란 무상(無上)이라는 뜻. 삼먁이란 거짓이 아닌 진실, 삼보리란 모든 지혜를 널리 깨친다는 정등각(正等覺)의 뜻. 번역하면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이라는 뜻으로, 이보다 더 위가 없는 큰 진리를 깨쳤다는 말이다. 모든 무명 번뇌를 벗어버리고 크게 깨쳐 우주 만유의 진리를 확실히 아는 부처님의 지혜라는 말로서, 삼세의 모든 부처님이 깨치게 되는 최고의 경지를 말한다.


부처가 깨달은 모든 진리를 가리키며, ‘바른 평등’ 또는 ‘원만’이라는 뜻이다. 아루보리(아뇩보리)라고도 한다. 보리란 부처ㆍ성문(聲聞)ㆍ연각(緣覺)이 각각 그 과보에 따라 얻는 깨달음을 말한다. 곧 부처의 깨달음은 더 이상 위가 있을 수 없는 최상이며, 바르고 평등하며 완벽하다는 뜻이다. 부처 이외에도 깨달음은 있을 수 있으나 무상정등각은 오로지 부처의 깨달음만을 뜻하므로 비교할 대상도 없다.


출처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표제어 전체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 아누다라삼막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

수행(修行)한 인(因)으로 말미암아 도달하는 부처님의 최상의 지혜 지덕. 아누다라 삼막 삼보제(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고도 함. 줄여서 아누삼보리(阿耨三菩提)•아누삼보제(阿耨三菩提)•아누보리(阿耨菩提)•아누보제(阿耨菩提). 아누다라는 무상(無上), 삼막 삼보리는 정변지(正遍智) 또는 정등정각(正等正覺)의 뜻임.


용례


저 약사유리광여래보살의 도리를 행하실 적에 열두 대원을 하셔서<대원은 큰 원이다.> 무릇 유정(중생)이 구하는 일을 다 얻게 하려 하신다. 제일대원은 내가 내세에<내세는 오는 세상이다.> 아누다라 삼막 삼보리를 얻은 때에 나의 몸에 있는 광명이 헤아릴 수 없는 갓없는 세계를 성하게 비취어 삼십이상 팔십종호로 몸을 장엄(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여 일체 유정이 나와 다르지 아니하게 할 것이다. ; 뎌 藥師瑠璃光如來菩薩ㅅ道理 行실 쩌긔 열두 大願을 샤<大願은 큰 願이라> 믈읫 有情이 求논 이 다 得긔 호려 시니라 第一大願은 내 來世예<來世 오 뉘라> 阿耨多羅 三藐三菩提 得 時節에 내 모맷 光明이 無量無數 無邊世界 盛히 비취여 三十二相 八十種好로 모 莊嚴야 一切 有情이 나와 다디 아니케 호리라 [석보상절 권제9, 3장 뒤쪽~4장 뒤쪽]

출처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로고표제어 전체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아누다라삼막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無上正等正覺 

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

Tango-nosources.svg

本条目没有列出任何参考或来源。(2016年5月11日) 

維基百科所有的內容都應該可供查證。请协助添加来自可靠来源的引用以改善这篇条目。无法查证的内容可能被提出异议而移除。

無上正等正覺是指佛教修行上的最高覺悟、最高感受境界,此詞句可見於各佛經,如《金剛經》。

「無上正等正覺」一詞已是依據原意進行漢譯後的稱詞,若依據梵語的諧音直譯則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或稱「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anuttara-samyak-sambodhi),即「至高無上的平等覺悟之心」,也就是「成佛」,其中「阿」即「無、沒有、無盡、無量」的意思,而「耨多羅」則為「更高、更上」的意思,「三」為「完全,合一」的意思,「藐」則為「轉向,彎曲」,即「寰宇」之意,可類比英文(原於拉丁文)的universe一詞(uni-一;vers-轉,轉向)。「菩提」則是「覺知、感覺、感受、道統、智慧」。舊譯是「無上正遍知」或「無上正道」。所謂「無上」就是「沒有更高、更上」的意思,即是指「最高」。

所謂「阿耨多羅三藐三菩提」已經是佛境界的智慧,佛家言「『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表示成佛。《心經》云:「三世諸佛,依般若波羅蜜多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金剛般若波羅蜜經》云:「若復有人,於此經中受持,乃至四句偈等,為他人說,其福勝彼。何以故?須菩提!一切諸佛,及諸佛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皆從此經出。須菩提!所謂佛、法者,即非佛、法。」、「復次,須菩提!善男子、善女人,受持讀誦此經,若為人輕賤,是人先世罪業,應墮惡道,以今世人輕賤故,先世罪業則為消滅,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巴利文arahato samma-sambuddhassa 的中文相聲譯。araham即是阿羅漢或聖人,屬與格:arahato。samma 是即前述samyak。 sam是完全,buddho是佛陀(覺醒者)屬與格:buddhassa。整個句子的翻譯就是「致完美無缺神聖佛陀(to Buddha, the perfect sage)」,是佛門弟子對釋迦牟尼佛的稱呼。

佛教修行後需要驗證修行成果,同時瞭解修行是否有所偏誤,這稱之為證果、證等,即分成四個果位:初果、二果、三果、四果,而「無上正等」不僅是指沒有修行偏誤(簡稱:修偏)而獲得「正等正覺」,且是最高(無上,沒有更上層)的階位,同時是沒有偏差的正確覺知、領悟、感受。


-. 正覚

Nuvola apps important orange.svg

この記事には複数の問題があります。改善やノートページでの議論にご協力ください。

出典がまったく示されていないか不十分です。内容に関する文献や情報源が必要です。(2017年1月)

独自研究が含まれているおそれがあります。(2017年1月)

正覚(しょうがく)は仏教用語で、さとり、仏のさとり、正しいさとり、宇宙の大真理をさとることなどを指す[1]。真理をさとった人[1]、仏[2]、如来をも意味する[1]。漢訳で正覚とされるサンスクリット語やパーリ語の原語は一定ではない[3]。

目次  [非表示] 

1 原語・原義

1.1 三藐三菩提

1.2 その他

2 歴史

2.1 初期仏教

2.2 部派仏教

2.3 大乗仏教

3 注釈・出典

4 関連項目

原語・原義[編集]

[icon] この節の加筆が望まれています。

『総合佛教大辞典』は、正覚と訳された語を仏典から9個挙げている[1]。

三藐三菩提[編集]

正覚を含む漢訳語のうち、無上正覚(むじょう-しょうがく)、(無上)正等正覚(むじょう-しょうとうしょうがく)、(無上)正等覚(むじょう-しょうとうがく)、(無上)等正覚(むじょう-とうしょうがく)、無上菩提(むじょう-ぼだい)、無上正等菩提(むじょうしょうとうぼだい)など「無上」を付して訳されるものは、(阿耨多羅)三藐三菩提と同じ原語であることが多い[4]。

(阿耨多羅)三藐三菩提(あのくたら-さんみゃくさんぼだい)(梵: (anuttarāṃ-)samyak-sambodhiṃ)のサンスクリット原義は「(最も優れた-)正しい-知識」、「(最も勝った-)完全な-理解」といった意味だが[5][要検証 – ノート]、漢訳では等正覚・正等正覚・正等覚と同義であり、意味は、生死の迷いを去って、いっさいの真理を正しく平等に悟ることや、仏の悟り、仏の完全な悟り[6]。

阿耨多羅三藐三菩提は主に大乗仏教で用いられるが、部派仏典にも現れる[7]。帝釈天上の三十三天(忉利天)で証得すると説かれるが[8]、大乗仏教は忍、精進、禅定、般若と回向(迴向阿耨多羅三藐三菩提)[9]を巡らせたのちの還生(還相・還如)の文脈でも用いられる[10]。[独自研究?]

その他[編集]

正覚と漢訳されるサンスクリット語には、ほかに(梵: abhisaṃ-bodhi)や、(梵: abhisaṃ-buddha)があるが、現前した菩提・仏といった意味あいであり、新訳では現正覚(げんしょうがく)や現等正覚(げんとうしょうがく)など、「現」を付して訳されることが多いとみられる[11]。

歴史[編集]

初期仏教[編集]

初期仏教では主に、釈迦が菩提樹下で成就した、四諦・八正道・縁起などの理法に対する悟りを指す[2]。

部派仏教[編集]

部派仏教の時代になると、有力部派であった説一切有部を中心に、縁起のメカニズム自体の分析・理論化への関心が高まり、多くのアビダルマ(論書)が書かれ、様々な説・理論が形成されることになった[要出典]。

大乗仏教[編集]

大乗仏教では、諸仏が等しく成就する無上・普遍の悟りのこと[2]。経典や宗派によって解釈は異なるが、概ね、無相の真如や諸法の実相などの体悟を内容とする[2]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一相無相分  (0) 2017.05.24
8 依法出生分  (0) 2017.05.23
6 正信希有分  (0) 2017.05.19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6 正信希有分


須菩堤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 言說章句 生實信不. 佛告須菩堤 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 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當知是人 不於 一佛二佛三四五佛 而種善根 已於無量 千萬佛所 種諸善根 聞是章句 乃至一念 生淨信者. 須菩堤, 如來 悉知悉見 是諸 衆生 無復 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無法相 亦無非法相. 何以故. 是諸衆生 若心取相 卽爲著我人 衆生壽者, 何以故 若取法相 卽著我人衆生壽者, 若取非法相 卽著我人衆生壽者. 是故 不應取法 不應 取非法. 以是義故 如來常設 汝等比丘, 知我說法 如筏喩者 法尙應捨 何況非法.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득문여시 언설장구 생실신부. 불고수보리 막작시설 여래멸후 후오백세 유지계수복자 어차 장구 능생신심 이차위실 당지시인 불어 일불이불삼사오불 이종선근 이어무량 천만불소 종제선근 문시장구 내지일념, 생정신자. 수보리, 여래 실지실견 시제 중생 무부 아상인상 중생상 수자상 무법상 역무비법상. 하이고, 시제중생 약심취상 즉위착아인 중생수자, 하이고 약취법상 즉착아인중생수자. 약취비법상 즉착아인중생수자. 시고 불응취법 불응 취비법. 이시의고 여래상설 여등비구, 지아설법 여벌유자 법상응사 하황비법.)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씀하시기를, “세존이시여, 후세의 많은 중생들이 이와같은 부처님의 말씀이나 경전의 글귀들을 듣고 진실이라고 믿는 마음을 일으킬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였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여래가 이 세상을 떠난뒤 후오백세에 이르러 정법이 문란한 때라도 계를 지니고 복을 닦는 사람이 있어 경전의 이러한 글귀에서 능히 믿는 마음을 일으켜 그것을 진실된것으로 여기게 될것이다. 너는 마땅히 알아야 할것이다. 이사람은 한 부처나 두 부처, 셋, 넷, 다섯 부처님에게만 귀의하여 선근을 심은것이 아니라, 이미 헤아릴수 없이 많은 천만 부처님 밑에서 모든 선근을 심어 놓았기 때문에 이 글귀를 듣고 애오라지 한 생각으로 깨끗한 믿음의 마음을 일으킬 사람이라는것을. 수보리야, 깨끗한 믿음이 생긴 이 모든 중생은 이같은 헤아릴 수 없는 복덕을 얻게됨을 여래께서는 다 아시고 다. 훤히 내다보고 계시느니라. 무슨 까닭이냐 하면, 이 모든 중생이 다시는 아, 인, 중생, 수자상이 없고 법상도 없으며, 또한 법 아닌 상도 없기 때문이니라. 이것은 또 무슨까닭이냐, 이 모든 중생이 만약 마음에 상을 취하면 곧 아, 인, 중생, 수자상에 집착할것이요, 또 법 아닌 상을 취하더라도 아, 인, 중생, 수자상에 집착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법을 취하지 말것이며, 법 아님도 취하지 말것이니라. 이런뜻에서 여래께서 늘 말씀하시기를 “너희 비구는 나의 설법을 떼에 비유함과 같음을 알라치면, 법도 오히려 버려야 겠거늘 하물며 법 아님에 있어서랴” 하시었다.           


※󰡔계󰡕 : 佛者들이 지켜야할도리 6 바라밀의 하나.        

※󰡔떼󰡕 : 뗏목

悉 다 실 1. 다, 모두, 남김없이 2. 다하다, 궁구하다(窮究--) 3. 깨닫다 4. 다 알다 5. 갖추다 6. (뜻을)펴다 [부수]心(마음심)

著 나타날 저,붙을 착  1. 나타나다, 나타내다 2. 분명하다(分明--) 3. 드러나다, 분명해지다(分明---) 4. 두드러지다 5. 그리다 6. 짓다, 저술하다(著述--) 7. 쌓다 8. 두다, 비축하다(備蓄--) 9. 세우다, 확립하다(確立--) 10. 이루다, 이루어지다 11. 생각하다 12. 정하다(定--) 13. 알다, 알리다 14. 보충하다(補充--) 15. 좋다, 마땅하다 16. 오래되다 17. 정성(精誠) 18. 지위(地位), 계급(階級) 19. 분명(分明)함, 뚜렷함 20. 뜰(집 안의 앞뒤나 좌우로 가까이 딸려 있는 빈터) 21. 자리 22. 오미자(五味子) a. 붙다 (착) b. (옷을)입다 (착) c. (머리에)쓰다 (착) d. (신을)신다 (착) e. 다다르다 (착) f. 시작하다(始作--) (착) [부수]艹(초두머리)

筏 뗏목 벌  1. 뗏목(-木: 통나무를 떼로 가지런히 엮어서 물에 띄워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든 것), 떼 2. 큰 배 [부수]竹(대죽)

喩 깨우칠 유  1. 깨우치다, 깨닫다 2. 깨우쳐 주다, 가르쳐 주다 3. 고하다(告--), 이르다 4. 비유하다(比喩ㆍ譬喩--) 5. 좋아하다 6. 기뻐하다 7. 유쾌하다(愉快--) 8. 비유(比喩ㆍ譬喩) 9. 기뻐하는 모양 [부수]口(입구)


[六波羅蜜] 

열반(涅槃)에 이르기 위한 보살(菩薩)의 여섯 가지 수행(修行)

정의 : 대승불교의 여섯 가지 수행덕목(修行德目).

내용 :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의 실천행이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경인 열반의 세계에 이르는 실천수행법인 육바라밀은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등의 여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의 인격완성을 위하여서는 원시불교의 사제(四諦)와 팔정도(八正道)의 가르침으로 충분하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보살의 수행법으로서 팔정도를 채택하지 않고 육바라밀이라는 독자적인 수행법을 설하였다. 그것은 팔정도가 자기완성을 위한 항목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타(利他)를 위하여는 충분하지 않으며, 보시와 인욕과 같은 대사회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육바라밀이 보살의 수행법으로 알맞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육바라밀의 수행법에서 보시를 제일 먼저 둔 까닭도 사회의 모든 사람이 상호협조적인 보시자선을 행하는 것이 대승불교로서는 가장 필요한 정신이었기 때문이다. 팔정도와 육바라밀의 같고 다른 점을 표시하면 [그림]과 같다.


[ 그림]에 의하면 육바라밀에는 팔정도의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는 이외에 팔정도에 없는 보시와 인욕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두 가지만은 대사회적인 것으로서 이타적인 대승불교의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보시]는 재시(財施)·법시(法施)·무외시(無畏施)의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재시는 자비심으로서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주는 것이고, 법시는 다른 사람에게 부처의 법을 말하여 선근(善根)을 자라게 하는 것이며, 무외시는 스스로 계를 지켜 남을 침해하지 않고 다른 이의 두려워하는 마음을 없애 주는 것이다.


[지계]는 부처가 제자들의 비도덕적인 행위를 막기 위하여 설정해 놓은 법규를 지키고 범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하여, 가지가지 선을 실천하고 모든 중생을 살찌게 하는 행위까지를 포함하게 된다.


[인욕]은 온갖 모욕과 번뇌를 참고 어려움을 극복하여 안주하는 것으로, 우리 일상생활에 있어서 가장 견디기 어려운 일인 성나고 언짢은 마음을 참고 견디는 것이다. 이 인욕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복인(伏忍)으로, 비위에 거슬리는 일이 생기면 먼저 성나는 그 마음을 조복(調伏)하여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나 역경만 참아서는 안 되며, 자기 마음을 즐겁게 하는 순경(順境)도 참아야 한다. 그 이유는, 역경을 참지 못하면 분노가 치밀어서 투쟁하기 쉽고, 순경을 참지 못하면 유혹에 빠져서 몸과 마음을 버리기 쉽기 때문이다.


둘째 유순인(柔順忍)으로, 사람이 참기를 많이 하면 저절로 조복이 되어서 역경이나 순경을 만날지라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셋째 무생인(無生忍)으로, 참고 견디어 보살의 지위에 오른 사람의 인욕행이다. 인생이 무상하며 세상이 허황함을 깨닫고 일체만법(一切萬法)이 인연으로 모였다가 인연으로 흩어지는 진리를 깨닫고 보면 별로 성낼 것도 없고 참을 것도 없다는 것이다.


넷째 적멸인(寂滅忍)으로, 이것은 부처의 지위에 있어서의 인욕행이다. 생사고해에 뛰어나서 본래부터 적멸한 열반의 경지에 서서 볼 때 한 물건도 없는 경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인욕행을 닦음이 아니라, 본래부터 한 생각도 일으킴이 없는 곳에 참된 인욕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진]은 순일하고 물들지 않는 마음으로 항상 부지런히 닦아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닦는다는 생각과 닦을 바가 있어서는 안 된다. 정(精)은 순일무잡(純一無雜)을 의미하고 진(進)은 용맹무퇴를 말한다. 이 정진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몸과 입으로써 부지런히 착한 일을 닦고 배우며 실행하는 것이고, 둘째는 뜻을 항상 진리에 머무르게 하여 모든 생각이 착한 진리를 떠나지 않게 정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밖에도 사정진(事精進)과 이정진(理精進)이 있는데, 사정진은 세간사와 출세간사를 막론하고 그것을 한번 이루려고 결심하였으면 그 목적이 성취될 때까지 부지런히 정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정진은 악한 생각을 없애고 선한 마음을 일으켜서 여러 사람이 이롭고 나에게도 좋은 일이거든 몸과 마음을 아끼지 않고 기어이 성취하도록 노력, 정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정]은 수행인이 반야의 지혜를 얻고 성불하기 위하여 마음을 닦는 것이며, 생각을 쉬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생활이 불만과 고통으로 가득차게 되는 까닭은 잡다한 생각을 쉬지 못하고 어리석게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정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공부로서 망념과 사념과 허영심과 분별심을 버리게 한다.


[반야]는 지혜라고 번역한다. 모든 사물이나 이치를 밝게 꿰뚫어보는 깊은 슬기로서, 지식과 다른 점은 지식이 분별지(分別智)인 데 반하여 지혜는 무분별지이다. 보살이 피안에 이르기 위하여 수행하는 육바라밀 중 마지막의 반야바라밀은 모든 부처의 어머니라 하며, 다른 5바라밀을 형성하는 바탕이 된다. 반야는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하고 있다.


① 문자반야(文字般若)는 부처님이 설한 경(經)·율(律)·논(論) 모두를 가리키는 것이고, ② 관조반야(觀照般若)는 경·율·논의 문자반야를 통하여 진리를 알아내고 진리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이며, ③ 실상반야(實相般若)는 부처가 체득한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상의 육바라밀을 보살이 무량한 세월 동안 수행함으로써 성불하게 되는데, 뒤에 육바라밀에 네 가지 바라밀을 첨가하여 십바라밀을 갖추게 되었다.


참고문헌


『불교학개론』(금동화, 보련각,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로고

[네이버 지식백과] 육바라밀 [六波羅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六波羅蜜[編集]

六波羅蜜(ろくはらみつ、ろっぱらみつ、梵:Ṣatpāramitā)とは、ブッダになりうる資質を獲得するために実践する六つの項目のこと。「六度(ろくど)彼岸」とも呼ばれる。

布施波羅蜜 - 檀那(だんな、Dāna ダーナ)は、分け与えること。dānaという単語は英語のdonation、givingに相当する。具体的には、財施(喜捨を行なう)・無畏施・法施(仏法について教える)などの布施である。檀と略す場合もある。

持戒波羅蜜 - 尸羅(しら、Śīla シーラ)は、戒律を守ること。在家の場合は五戒(もしくは八戒)を、出家の場合は律に規定された禁戒を守ることを指す。

忍辱波羅蜜 - 羼提(せんだい、Kṣānti クシャーンティ)は、耐え忍ぶこと。

精進波羅蜜 - 毘梨耶(びりや、Vīrya ヴィーリヤ)は、努力すること。

禅定波羅蜜 - 禅那(ぜんな、Dhyāna ディヤーナ)は、特定の対象に心を集中して、散乱する心を安定させること。

智慧波羅蜜 - 般若(はんにゃ、Prajñā プラジュニャー)は、諸法に通達する智と断惑証理する慧。前五波羅蜜は、この般若波羅蜜を成就するための手段であるとともに、般若波羅蜜による調御によって成就される。

龍樹は『宝行王正論』[4]においてこの6項目を以下の三つのカテゴリーに分けて解説している。[5]

布施・持戒 -「利他」

忍辱・精進 -「自利」

禅定・智慧 -「解脱」

龍樹によれば、釈迦の教えとは要約すれば「自利・利他・解脱」の三つに尽き、「自利・利他・解脱」はすべて六波羅蜜によって包摂されるため、阿含経に根拠を持たない大乗独自のこれら「六波羅蜜」も仏説であるという。[5]

十波羅蜜[編集]

十波羅蜜(じっぱらみつ)は、六波羅蜜に、方便・願・力・智の四波羅蜜(六波羅蜜の般若波羅蜜より派生した4つの波羅蜜)を加えたもの。唯識論ではこの十波羅蜜を立てて十勝行と称す。華厳教学などでは、菩薩の五十二位の中の十行のことともいわれる。また菩薩は十地において正しくこの十波羅蜜を順次に習得するという。[要出典]

方便波羅蜜 - 烏波野(Upāya ウパーヤ、うはや、日本語訳:方便)は、巧みな手段で衆生を教導し、益すること。六波羅蜜の行によって集めたる善根を有情に廻向せしめて彼と共に無上菩提を求むる廻向方便善巧、一切有情を済度する抜済方便善巧の2種類を修行する。

願波羅蜜 - 波羅尼陀那(Praṇidāna プラニダーナ、はらにだな、日本語訳:願)は、(彼岸すなわち仏の理想世界に到達せんと立願すること。今日ではこれらすべての修行を完成せんと願う希望をいう。求菩提願・利他楽顔の2つを修行する。

力波羅蜜 - 波羅(Bala バラ、はら、日本語訳:力)は、二義あり、一義に一切の異論及び諸魔衆の壊すことなきをいい、また一義に十力の行のうち、思擇力・修習力の2つを修行する。

智波羅蜜 - 智(Jñāna ジュニャーナ、日本語訳:智)は、万法の実相を如実に了知する智慧は生死の此岸を渡りて、涅槃の彼岸に到る船筏の如く、受用法楽智・成熟有情智の2つを修行する。



[四諦 ]

요약 

인생문제와 그 해결방법에 관한 4가지의 진리.

원어명

Catvāri-ārya-satyāni

제(諦:satya)는 진리 ·진실의 의미이며, 그 진리가 신성(arya)한 것이라 하여 사성제(四聖諦) ·사진제(四眞諦)라고도 한다. 미혹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인(因) ·과(果)를 설명하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리 조직으로 고제(苦諦:dubkha) ·집제(集諦:samudaya) ·멸제(滅諦:nirodha) ·도제(道諦:mārga)의 네 가지 진리를 말한다.


① 고제:현실세계의 참모습을나타내는 것으로 범부(凡夫)의 생존은 괴로움이라는 진리이다. 인생의 고(苦)는 생 ·노 ·병 ·사(生老病死)의 4고로 표시되며, 또는 여기에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怨憎會苦),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 괴로움(所求不得苦), 그리고 이러한 괴로움의 근본인 오온(五蘊)에 집착하는 괴로움(五取蘊苦, 五陰盛苦:생존에 대한 집착)의 넷을 더하여 8고라고 한다. 여기서 자연현상으로서의 생 ·노 ·병 ·사가 괴로움이 아니라 자신에게 일어나는 생 ·노 ·병 ·사가 괴로움인 것이다. 그럼에도 생 ·노 ·병 ·사는 인생에 있어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자기존재의 기반이다. 그러므로 이를 가리켜 고제라고 한다.


② 집제:괴로움의 원인을 나타내는 말이다. 자기가 취하는 생존이 바로 고가 되는 것은 마음 깊이 갈애(渴愛)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모든 욕망의 근저가 되는 욕망이며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다. 갈애에는 욕애(慾愛:감각적 욕망) ·유애(有愛:생존의 영속을 바라는 욕망) ·무유애(無有愛:생존의 단절을 바라는 욕망)의 세 가지가 있다. 행복을 구하는 것도 욕망의 일종이지만 갈애는 그것과는 달리 욕망의 근본에 있는 불만족성을 말한다. 이것이 인간의 불행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집제라는 것은 갈애를 근본으로 하는 여러 가지 번뇌이며, 괴로움의 원인이다. 따라서 집제와 고제는 미망의 원인과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괴로움의 원인을 외부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부에서 발견하는 데에 불교의 태도가 잘 나타나 있다.


③ 멸제:이 갈애가 남김 없이 없어진 상태를 말하며, 이것은 이상적 경지로서 열반(涅槃)이라고 말한다. 또한 마음이 갈애의 속박에서 벗어난 것이기 때문에 해탈(解脫)이라고도 한다. 결국 갈애에 물들지 않고 행동하는 마음의 자유로운 상태이며 이것이 참된 즐거움이다. 열반은 멸(滅)로도 번역되기 때문에 열반을 허무로 이해하는 사람도 있으나 멸은 갈애의 멸이지 마음 그 자체의 멸은 아니다. 갈애가 멸함에 따라 올바른 지혜가 나타나며, 그 지혜에 의하여 알게 되는 부동의 진리가 열반이다.


④ 도제:이 고(苦)와 집(集)의 멸을 실현하는 길을 도제라고 한다. 이 수행방법은 8정도(八正道) 또는 팔성도(八聖道)로 표시된다. 8정도란, 정견(正見) ·정사(正思)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의 8가지 실천사항을 말한다. 정견은 올바른 견해로서, 있는 그대로 보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이다. 이에 의하여 자기와 세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즉 연기(緣起)의 도리를 알게 된다. 정견에 기초하여 올바른 사유가 생긴다. 나아가 이 생각에 의하여 올바른 말, 올바른 행동, 올바른 생활, 올바른 노력이 행해진다. 이것은 일상생활이 정견에 기초하여 진리를 실천하는 생활이 이루어짐을 말한다. 이들에 의하여 정념이 확립된다. 정념은 올바른 주의력, 올바른 기억으로 마음을 줄곧 올바른 상태로 유지하는 마음의 힘이다. 마지막의 정정은 정견~정념에 기초하여 실현되는 마음의 통일, 즉 올바른 선정(禪定)을 말한다. 이상의 8정도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올바른 선정에서 올바른 지혜가 생기며, 또한 정견은 올바른 지혜, 즉 정견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8정도는 점진적인 수행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유기적으로 수행하는 길이다. 이러한 사제설은 석가가 녹야원(鹿野苑)에서 다섯 비구(比丘)에게 설한 최초의 설법[初轉法輪]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다.


참조항목

팔정도

역참조항목

사상, 오욕, 오비구, 삼도

카테고리


종교 >불교 >불교교리

출처

두산백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사제 [四諦] (두산백과)


팔정도

[八正道 ]

요약

중생이 고통의 원인인 탐(貪) ·진(瞋) ·치(痴)를 없애고 해탈(解脫)하여 깨달음의 경지인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천수행해야 하는 8가지 길 또는 그 방법.

이것은 원시불교의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법으로, 석가의 근본 교설에 해당하는 불교에서는 중요한 교리이다. 고통을 소멸하는 참된 진리인 8가지 덕목은 

① 정견(正見):올바로 보는 것. 

② 정사(正思:正思惟):올바로 생각하는 것. 

③ 정어(正語):올바로 말하는 것. 

④ 정업(正業):올바로 행동하는 것. 

⑤ 정명(正命):올바로 목숨을 유지하는 것. 

⑥ 정근(正勤:正精進):올바로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 

⑦ 정념(正念):올바로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 

⑧ 정정(正定):올바로 마음을 안정하는 것이다.


참조항목

선, 중도, 해탈

역참조항목

사고팔고, 사제, 사향사과, 아함경, 열반, 정, 오비구

카테고리


종교 >불교 >불교교리

출처

두산백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팔정도 [八正道] (두산백과)

瞋 부릅뜰 진  1. (눈을)부릅뜨다 2. 성내다 [부수]目(눈목)

痴 어리석을 치  1. 어리석다 2. 어리다 3. 미련하다 4. 미치다(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되다) 5. 열중하다(熱中--) 6. 술병(-病: 술을 많이 마셔서 생긴 병) 7. 미치광이 [부수]疒(병질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依法出生分  (0) 2017.05.23
7 無得無說分  (0) 2017.05.22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5 如理實見分


須菩堤, 於意云何 可以身相 見如來不 不也世尊, 不可以身相得見如來 何以故 如來所說身相 卽非身相. 佛告須菩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신상 견여래부 불야세존, 불가이신상득견여래 하이고 여래소설신상 즉비신상. 불고수보리,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몸의 상으로 여래라고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신상을 가지고는 여래라 볼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신상은 곧 신상이 아니기 때문 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길,                              

 “무릇, 있는 바 모든 상이 다 허망한 것이니 만약에 모든 상이 상아님을 알면 그것은 곧 여래를 봄이니라.”                  


※󰡔신상󰡕: 석가모니 부처님의 몸에있는 32가지의 장엄한 특징

如來 석가모니(釋迦牟尼)를 성스럽게 일컫는 말

[三十二相 ]
요약
부처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몸에 지니고 있다는 32가지 모습.
상(相)은 전생에 쌓은 공덕이 신체적인 특징으로 나타난 것이다. 불상의 이마 한가운데 박혀 있는 보석이나 상투처럼 솟은 정수리는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이마 한가운데 있는 보석은 본래 백호(白豪)라는 하얀 털로 부처가 이를 통하여 세상에 빛을 비춘다고 하고, 상투처럼 솟아오른 정수리는 육계라고 부른다. 이러한 불상의 특징은 모두 32가지에 이른다.

아시타선인이 어린 석가가 위인의 서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고 세속에 머물면 전륜성왕이 될 것이며, 출가하면 부처가 되어 인류를 구원할 것이라고 예언한 데서 유래했다. 전륜성왕과 나란히 호칭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이 때문에 부처가 법을 펴는 것을 법륜(法輪)을 굴린다고 하였다. 32가지는 다음과 같다.

발바닥이 편평하다, 발바닥에 수레바퀴 자국이 있다, 손가락이 가늘고 길다, 손발이 매우 부드럽다,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얇은 물갈퀴가 있다, 발꿈치가 원만하다, 발등이 높고 원만하다, 장딴지가 사슴 다리 같다, 팔을 늘어뜨리면 손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온다, 남근이 오무라져 숨어 있는 것이 말의 것과 같다, 키가 두팔을 편 것과 같다, 모공에 새까만 털이 나있다, 몸의 털이 위로 쏠려 있다, 온몸이 황금빛이다, 항상 몸에서 솟는 광명이 한 길이나 된다, 살이 부드럽고 매끄럽다, 발바닥·손바닥·정수리가 모두 판판하고 둥글며 두껍다, 
두 겨드랑이가 편편하다, 몸매가 사자와 같다, 몸이 크고 단정하다, 양 어깨가 둥글고 두툼하다, 이가 40개이다, 이가 희고 가지런하며 빽빽하다, 송곳니가 희고 크다, 뺨이 사자와 같다, 목구멍에서 향기로운 진액이 나온다, 혀가 길고 넓다, 목소리가 맑고 멀리 들린다, 눈동자가 검푸르다, 속눈썹이 소의 것과 같다, 두 눈썹 사이에 흰 털이 나 있다, 정수리에 살이 있다.

단, 손가락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다는 등의 내용은 위대한 인물은 보통 사람과 어딘지 다를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이들 특징을 다시 80가지로 세분하여 팔십종호(八十種好)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십이상 [三十二相] (두산백과)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無得無說分  (0) 2017.05.22
6 正信希有分  (0) 2017.05.19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2 善現啓請分  (0) 2017.05.12

4 妙行無住分


復次 須菩堤, 菩薩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須菩堤, 菩薩應如是布施不住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須菩堤,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佛也世尊. 須菩堤 南西北方 四維 上下虛空 可思量不. 佛也世尊. 須菩堤, 菩薩 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須菩堤, 菩薩 但應如所敎住.             

부차 수보리, 보살어법 응무소주 행어보시 소위부주색보시 부주성향미촉법보시. 수보리, 보살응여시보시부주어상 하이고 약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 수보리, 어의운하. 동방허공 가사량부. 불야세존. 수보리 남서북방 사유 상하허공 가사량부. 불야세존. 수보리, 보살 무주상보시복덕 역부여시 불가사량. 수보리, 보살 단응여소교주.


“그리고 수보리야. 보살은 법에 있어 마땅히 얽매이는 일이 없이 보시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아니한 보시이며 소리, 냄새, 맛, 촉각, 요량 등 육진에 얽매이지 않는 보시를 할지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이와같이 보시하여 보람을 남기겠다는 생각을 가지지 않아야 하나니, 그것은 무슨 까닭이겠느냐, 만약에 보살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를 하면 그 복덕이 헤아릴수 없을것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동쪽하늘의 허공이 얼마나 크고 넓은지를 헤아릴수 있겠느냐?”

“헤아릴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그러면 남, 서, 북쪽과 사유상하의 허공을 헤아릴수 있겠느냐?”  

“헤아릴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머무름이 없이 하는 보시의 복덕도 또한 이와같이 헤아릴수 없는것이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내가 가르친바와같이 모름지기 머무를 것이니라.”     


※法: “달마”라고 音譯한다. ( 6 바라밀 )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바라밀을 말함.        

※바라밀: 부처님의 마음.

六塵 육진 六 여섯 육()塵 티끌 진 : 심성(心性)을 더럽히는 육식(六識)의 대상계(對象界). 곧 육식에서 생기는 '빛ㆍ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여섯 가지 욕정(欲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것에 더럽혀지지 않는 일을 육근 청정이라 함

<불교> 육식(六識)의 대상인육경4’(六境)을 달리 이르는 말. 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 것들이라는 뜻이다. [비슷한 말] 외진3(外塵)ㆍ육적2(六賊).

菩提 ①불교(佛敎)에서 최상(最上)의 이상(理想)인 불타(佛陀) 정각(正覺)의 지혜(智慧ㆍ知慧)  ②불타(佛陀) 정각의 지혜(智慧ㆍ知慧)를 얻기 위(爲)해 수행(修行)해야 할 길  ③불과(佛果)에 도달(到達)하는 길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正信希有分  (0) 2017.05.19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2 善現啓請分  (0) 2017.05.12
1 法會因由分  (0) 2017.05.11

3 大乘正宗分


不顧 須菩堤 諸菩薩 摩訶薩 應如是降伏 其心所有一切 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 非無想 我皆令入 無餘涅槃而滅度之 如是滅度 無量無數無邊 衆生實無衆生 得度者 何以故 須菩堤 若菩薩 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卽非菩薩         


(불고 수보리 제보살 마하살 응여시항복 기심소유일체 중생지류 약난생 약태생 약습생 약화생 약유색 약무색 약유상 약무상 약비유상 비무상 아개영입 무여열반이멸도지 여시멸도 무량무수무변중생실무중생 득도자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기를,“모든보살 마하살은 마땅히 이와같이 그 마음을 가질것이니 이 세상에 있는바 일체의 중생, 곧 생명을지닌 종류인 알에서 깐것이거나 어미 뱃속에서 나온것이거나 습한데서 생긴것이거나 화하여 생긴것이거나 형상이 있는것이거나 형상이 없는것이거나 생각이 있는것이거나 생각이 없는 것이거나를 가리지 않고 내 모조리 이를 무여열반에 들게하여 멸도할 것이니라 이와같이 한량이 없고 무수히 많고 가이없는 중생들을 제도 하여도 실은 멸도를 얻은 중생이 없으니 이 무슨 까닭이겠느냐.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곧 보살이 아니리라.” 하시었다.     


※마하살: 도가 높아 부처님 다음가는 보살을 말함.

涅槃 [nièpán] 1.[동사][불교][외래어] 열반하다. 2.[동사][불교][외래어] 부처나 중이 죽다. 입적하다. 귀원하다. 귀적하다. 천화(遷化)하다.

불도(佛道)를 완전(完全)하게 이루어 일체(一切)의 번뇌(煩惱)를 해탈(解脫)한 최고(最高)의 경지(境地). 니르바나

涅 개흙 열,개흙 녈,개흙 날  1. 개흙(갯바닥이나 늪 바닥에 있는 거무스름하고 미끈미끈한 고운 흙) 2. 진흙 3. 반석(盤石ㆍ磐石) 4. 열반(涅槃) 5. 검은 물을 들이다 6. 막다, 메우다 7. 극락(極樂)에 가다 8. 죽다 a. 개흙(갯바닥이나... [부수]氵(삼수변)

槃 쟁반 반  1. 쟁반 2. 즐기다(=般) 3. 멈추다 [부수]木(나무목)


[涅槃]

1.정의

불교에서 설하는 최고의 이상향(완성된 깨달음의 세계).

2.내용

'반열반(般涅槃)’이라고도 하며, ‘멸(滅)·적멸(寂滅)·이계(離繫)·해탈(解脫)·원적(圓寂)’의 의미를 가진다. 이 열반에 관한 사상은 우리 나라에서 열반종(涅槃宗)의 창종 이래 널리 연구, 전승되었다. 원래 열반은 불을 입으로 불어 끄는 것, 불어서 꺼진 상태 등을 나타내며, 타오르는 번뇌의 불을 없애서 깨달음의 지혜인 보리(菩提)를 완성한 경지를 말한다.

이는 곧 생사를 넘어선 각(覺)의 세계로서,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목표이다. 인간이 망집 때문에 괴로워하고 업을 짓게 되는 것은 결국 자아를 고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이 만일 고(苦)와 무상(無常)과 비아(非我)의 이치를 바르게 깨달아서 바른 지혜를 완성한다면, 생사윤회의 근본인 망집을 끊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까닭은 이러한 인식을 긍정하게 될 때, 이미 그 무엇을 자아 또는 나의 것이라고 집착하여 추구하는 일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지를 실현하고 진리에 대한 인식을 터득하기 위하여서는 수행에 힘쓰고 계율을 지켜 선정(禪定)을 닦아야 한다. 그러한 수행의 결과로 진리를 터득하고 망집을 단절한다면 인간은 일체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해탈의 경지이다.

이것을 다른 말로 불사(不死)·안락(安樂)·적정·열반이라고 한다. 열반은 마치 바람이 활활 타오르는 불을 끄는 것과 같이, 타오르는 번뇌의 불꽃을 지혜의 바람으로 불어 꺼서 모든 고뇌가 사라진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열반은 탐욕과 괴로움과 근심을 추월한 경지이기 때문에 인간의 유한한 경험 안에서는 그 어떠한 말로써도 제대로 표현할 수가 없다. 다만 체득한 자만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천적인 문제에 있어서 불교는 세속적인 평범한 생활로는 결코 참다운 열반에 도달할 수 없음을 가르친다. 세속에는 극단적인 두 가지 생활방식이 있다. 하나는 감각적인 쾌락에 탐닉하는 생활이며, 다른 하나는 많은 수행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몸을 채찍질하는 고행의 실천이다. 이 환락과 고행이라는 양극단을 피한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중도에 의하여 진실에 대한 바른 인식, 바른 깨달음을 얻음으로써 비로소 열반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열반에는 8종의 법미(法味)가 있다. 열반은 생멸변화가 없이 항상 머물러 있는 상주미(常住味)가 있고, 다시는 미혹된 생사가 계속하지 않는 적멸미(寂滅味)가 있으며, 영원히 늙지 않고[不老], 다시는 죽지 않으며[不死], 청정하고[淸淨味], 허허로이 통하며[虛通味], 움직이지 않고[不動味], 항상 행복한 맛[快樂味]을 갖추고 있다.


또 이 열반에는 상락아정(常樂我淨)의 사덕(四德)이 있다. 상덕은 상주의 뜻으로 열반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생멸변화가 없는 덕을 갖추고 있음을 밝힌 것이고, 낙덕은 안락의 뜻으로 생멸변화가 없는 세계에는 생사의 고뇌가 없고 무위안락한 행복만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아는 망아(妄我)를 여읜 진아(眞我)를 말하는데, 아덕은 8대자재(八大自在)를 갖춘 아를 표시하는 것이다. 정은 청정의 뜻으로, 혹(惑)·업(業)의 고통을 여의고, 담연하게 청정한 과덕이 있음을 말한다. 이 상락아정을 현대적 용어로 바꾸면 영원·행복·자재, 번뇌가 없음으로 풀어 볼 수 있다.


열반에 대해서는 2열반·3열반·4종열반 등의 분류가 있다. 2열반은 유여열반(有餘涅槃)과 무여열반(無餘涅槃)으로 구분되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소승과 대승이 그 주장을 달리한다. 소승에서는 열반을 번뇌가 다 없어진 상태라고 본다. 소승의 경우, 유여열반은 번뇌는 다했지만 육체는 아직 남아 있는 경우이고, 무여열반은 회신멸진(灰身滅眞)의 상태로서 모든 것이 아주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대승에서는 열반을 보다 적극적으로 생각하여 상락아정의 4덕을 갖추지 못한 소승의 열반을 유여열반이라 하고, 4덕을 갖춘 열반을 무여열반이라 칭하여 이것을 최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대승에서는 소승의 무여열반에 아직 미해결점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첫째는 삼계(三界) 안의 진리와 일에 대한 미혹은 없지만 삼계 밖의 무명번뇌가 남아 있고, 둘째는 삼계 안의 유루업(有漏業)은 없지만 삼계 밖의 무루업은 남아 있으며, 셋째는 삼계 안의 분단생사(分段生死)는 없지만 삼계 밖의 변역생사(變易生死)는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를 삼여(三餘)라 하여 번뇌여(煩惱餘)·업여(業餘)·과여(果餘)라고 한다.

우리 나라의 천태종에서는 3열반설을 따랐다. 3열반은 성정열반(性淨涅槃)·원정열반(圓淨涅槃)·방편정열반(方便淨涅槃)이다. 성정열반은 만법의 실성(實性)인 진여(眞如)를 뜻한다. 이 진여가 본래 불생불멸하여 물들일 수도 없고 깨끗이 할 수도 없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원정열반은 지혜로써 번뇌를 끊고 증득한 열반이며, 방편정열반은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은 뒤에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출현하고, 인연이 다하면 입멸하는 것이다. 이를 나무가 다 타서 불이 꺼짐에 비유한다. 이 3열반은 열반을 체(體)·상(相)·용(用)의 이론에 맞추어 논리를 전개시킨 것이다.

4종열반은 우리 나라에서 유식종(唯識宗)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시켰다. 여기서의 4종은 본래자성청정열반(本來自性淸淨涅槃)·유여의열반(有餘依涅槃)·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이다. 본래자성청정열반은 만유와 모든 법의 진실한 성품인 진여이다. 그 진여의 성품이 청정하여 한량없는 공덕을 갖추고 생멸이 없이 적정한 열반을 가리킨다.

유여의열반은 번뇌장(煩惱障)을 끊고 나타나는 진여이다. 번뇌는 소멸하였으나 육신이 남아 있는 열반이다. 무여의열반은 유여의열반의 상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제는 오온(五薀)이 화합한 몸까지 소멸하여 완전히 몸과 마음이 없어진 곳에 나타나는 열반이다.

무주처열반은 번뇌장뿐만 아니라 소지장(所知障)을 끊고 얻는 열반이다. 소지장마저 끊었으므로 생사와 열반에 대한 차별을 두지 않는 깊은 지혜를 얻게 되고, 대비(大悲)가 있으므로 열반에 머무르지 않고 생사계의 중생을 교화하며, 대지(大智)가 있어 생사에 머무르지 않고 영원히 미계(迷界)를 여의었으므로 무주처열반이라고 하는 것이다. 무주처열반은 대승보살 정신에 입각한 특색을 가장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이 열반에 대한 학설을 가장 논리정연하게 전개시킨 이는 신라의 고승인 원효(元曉)이다. 그는 ≪열반경종요 涅槃經宗要≫를 통하여 당시의 열반에 대한 이설들을 총정리하고 독창적인 그의 학설을 전개시켰다.


참고문헌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원효)

『불교개론』(김동화, 보련각, 195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로고

[네이버 지식백과] 열반 [涅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상(我相) : 

  나 라는 상(相). 5온이 화합하여 조직된 것을 실아(實我)가 있다고 하고 또 내 것이 있는 줄로 생각하는 것. 참다운 내가 있는 줄로 여기는 잘못된 생각.

인상(人相) : 

 5온의 화합으로 생긴것 가운데 우리는 사람이니 지옥취(地獄趣)나 축생취(畜生趣)보다 다르다고 집착하는 견해.

중생상(衆生相) : 

중생들이 잘못된 소견으로 자기의 몸은 5온이 가(假)로 화합하여 생겨난 것이라 고집하는 견해

수자상(壽者相) : 

 우리는 선천적으로 길던 짧던간에 일정한 목숨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견해

관련글 : 사상 (四相)

출처: http://studybuddha.tistory.com/942 [불교용어 사전]


-四相(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相とは、形跡である。執着すると形跡となり、心は虚空とならない。滞って自由がなく、これを相という。

妄想心があれば、良心が実現出来ない。妄想心があれば、四相がある故に、妄想がなくならない。無我の境界に入ろうとするならば、四相を滅する必要がある。

我相を滅することが出来れば、その下の三相は自ずから消える。

我相は、我が身を自愛し、一日営々として名利を追い求め、自分一身、自分の子孫の為を計る。全てこれは我相である。

人相は、他人と我を分別し、他人の威勢のよさを見ては、たよりにすることやまず、人の衰え弱っているのを見れば、怒りや嫌悪の思いがやまない。他人を嫉み、人に施すを惜しみ、彼我の観念が対立しているのが人相である。

衆生相は、宇宙の本体と万物の実相を知らずに、ただ自身の色受想行の五蘊での縁起仮合なるものを真としての誤った見方。貪瞋痴愛、これら全ては衆生相である。

寿者相は、妄りに寿命の長短をはかり、幸福と利益を望む観念を寿者相という。


<사상(四相)-아상 ․ 인상 ․ 중생상 ․ 수자상>    


   불교에서 ‘상(相)’이란 말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불경에는 상에 얽매이다, 상에 집착하다, 상을 여의라 등의 용어가 자주 나온다. 불교에 있어서 ‘성(性)’이란 불변의 본체를 말하는데 비해, ‘상(相)’이란 변화하고 차별로 나타난 현상계의 모습을 말한다.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일종의 ‘고정관념(觀念)’이라 할 수 있는데, 불교에서는 이 고정관념이 갖가지 왜곡 갈등과 번뇌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 무의식 속의 고정관념을 내려놓는 순간 불성을 바로 볼 수 있다고 해서 <금강경>에는 모든 상(相)이 상 아님을 보면 여래를 보리라고 했다(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그런 ‘상(相)’이 중국에서 한자로 번역되기 전의 어원인 산스크리트어에는 samjna, laksana, nimitta의 세 가지가 있어서 이 말들이 같은 ‘상(相)’이라는 글자로는 번역된 것이지만 불경 내용의 쓰임에 따라 그 뜻은 다소 다르게 해석 된다.


    • samjna(산냐) - 주로 생각, 견해라는 뜻으로 쓰인다. 헌데 이러한 견해는 수백 가지 수만 가지가 있지만, <금강경>에서는 우리 중생들을 윤회에 들게 해서 그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것을 4상(四相)으로 설명하면서 이것을 끊을 것을 강조한다. 그 4상은 중생이 실재한다고 믿는 네 가지 상, 즉 아상(我相) ․ 인상(人相) ․ 중생상(衆生相) ․ 수자상(壽者相)이다. 

   그러면서 <금강경>에 만약 보살에게 아상 ․ 인상 ․ 중생상 ․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라고 말했다. 하물며 보살도 그렇거든 수행이 안 된 중생이야 그 사상(四相)을 실재한다고 믿으므로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 nimita(니미따) - 형상, 모습의 뜻으로 금강경에 보살은 상에 머물지 말고 보시해야한다고 할 때의 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거로부터 많은 경험, 기억의 총합에 의한 대상을 만났을 때 생겨난 인상(일종의 선입견, 전체적인 첫 인상)을 일컫는다.

     • laksana(락샤나) - 어떤 대상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상. 특별한 모양으로서, 부처님의 ‘32상(相)과 80종호(種好)’라고 해서 부처님의 모습에 대한 특징을 말할 때의 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즉, 특수한 형태의 뜻으로서 금강경에 ‘여래의 신상(身相)으로 여래를 보았다 할 수 있겠는가’ 할 때의 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즉, 볼 수 있고, 알 수 있는 모습, 모양, 특징, 현상 등을 일컫는다.

   이상의 세 가지를 예로 들어보면, 눈으로 꽃을 본다고 했을 때에 꽃의 모양과 형상은 nimita(니미따)의 상에 해당하고, 그 꽃이 지닌 특별한 모습은 laksana(락샤나)에 해당하며, 꽃을 보고 꽃이라고 일으킨 생각들은 samjna(산냐)에 해당한다.

   헌데 이러한 세 가지 용어를 똑같이 ‘상(相)’이라는 글자로 번역한 이유는 이들 사이에는 그 의미에 있어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어떤 형상이나 모습에는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게 마련이고, 저 앞에 어떤 형상이 있다는 것은 결국 내 마음에 이미 인식 된 앎이 있다는 것이니까, 이 모두는 다 함께 상이라고 표현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4상인 아상(我相) ․ 인상(人相) ․ 중생상(衆生相) ․ 수자상(壽者相)은 위의 ‘samjna(산냐)’라는 말 속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헌데 그 4상도 사람 혹은 시대에 따라 해석이 구구했다. 예컨대 ‘나’라는 관념[아상], 사람이라는 관념[인상], 중생이라는 관념[중생상], 목숨이라는 관념[수자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고, 더러 아상을 자기중심적 사고, 인상을 사람 중심적 사고, 중생상을 동물 중심적 사고, 수자상을 생명 중심적 사고로 해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를 바로 잡아서, 자아가 있다는 관념[아상], 개아가 있다는 관념[인상-개아], 중생이 있다는 관념[중생상], 영혼이 있다는 관념[수자상]으로 해석을 정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입장에서 4상을 살펴보려고 한다.     





   1) 아상(我相 atman samjna)---아상이란 고대 인도의 브라만교에서 주장한 영원불멸의 존재인 ‘아트만(atman)’에 근거한 견해로서 ‘나(我)’ 혹은 ‘자아(自我)’라는 생각을 말한다. 여기서 ‘나’라고 하는 것은 나의 육신, 나의 주장, 나의 직장, 나의 사회적 위치, 나의 능력 등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이런 것은 불교 관점에서 볼 때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모두 변화하기 때문이다. 죽게 되면 모두가 해체돼버리고 육신도 결국 화장하거나 땅에 묻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만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깨달음에 이르러 보니 우주안의 모든 사물은 성주괴공(成住壞空)하고, 생각은 생주이멸((生住離滅)한다고 하셨다. 따라서 이 우주 안에 있는 모든 것은 결국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것이 제법무아(諸法無我)이다. 

   부처님 당시 인도는 브라만교가 지배하면서 자아를 신[브라흐만]에게 종속시키는 범아일여(凡我一如)의 신 중심 사회(神中心社會)로서 인간이 신의 노예로 전락해 있었다. 부처님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인본중심의 새로운 사상을 세우고, 인연의 법칙에 의해 아트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無我)의 진리를 펼쳤다.

   그리하여 아상을 여의라고 하셨다. 즉 아상이란 오온(五蘊)을 “나, 나의 것, 자아”라는 상을 가지고 집착하는 것이라 했고, 모든 괴로움이란 한 마디로 바로 오취온고(五取蘊苦)라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생은 내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는 아상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리하여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 상대방이 생겨나고 그로부터 모든 만물이 생겨나 이 현상계가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상(相)들도 모두 이 아상으로 인해 비롯된다. 즉, 인상, 수자상, 중생상은 아상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4상이 각기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이다. 그 하나가 바로 아상(我相)이다.

   이와 같이 ‘나’라는 상이 일체 모든 존재의 상에 빠지는 근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나’ 라는 아상을 못 여읜다면 범부이고, ‘나’ 라는 아(我)가 멸진되고, 모든 번뇌를 다 끊어버려서 그야말로 참 무아(無我)가 돼야 비로소 해탈이 된다. 즉, 아상이 부서지면 모든 상이 다 부서지고, 아상을 버리면 해탈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五蘊 불교(佛敎)의 근본(根本) 사상(思想)의 하나로, 세계(世界)를 창조(創造)ㆍ구성(構成)하고 있는 요소(要素)를 다섯 가지로 분류(分類)한 것. 색(色)ㆍ수(受)ㆍ상(想)ㆍ행(行)ㆍ식(識)의 5요소(要素)의 결합(結合)으로, 색은 육체(肉滯), 수는 감각(感覺), 상은 상상(想像), 행은 마음의 작용(作用), 식은 의식(意識)임

蘊 쌓을 온  1. 쌓다 2. 저축하다(貯蓄--) 3. 간직하다, 감추다 4. 너그럽다, 포용하다(包容--) 5. 맺히다, 우울해지다(憂鬱---) 6. 모이다 7. (초목이)우거지다 8. 덥다, 따뜻하다 9. 속내(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부수]艹(초두머리)


   2) 인상(人相, 개아/個我, pudgala samjna)----붓다는 바라문들이 윤회의 주체라고 한 아트만(atman)을 현실적으로 경험이 불가능한 가공의 망상이라고 부정했다. 그러나 부파불교시대에 와서는 윤회에 있어서 중심적 주체가 없다는 점을 혼란스럽게 여겼다. 그리하여 불명 후 300년경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서 독립한 독자부(犢子部)에서는 생사윤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윤회하는 개개 존재의 인격주체로 뿌드갈라(pudgala)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즉, 변하지 않는 자아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뿌드갈라란 중생에게 무너지지 않고 없어지지 않는 어떤 실체가 ‘개체적으로 존재한다는 견해’로서, 나고 죽음을 영원히 반복하더라도 이 실체는 영원히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이 뿌드갈라를 구마라습은 인(人)으로 옮겼고 현장은 보특가라(補特伽羅)로 음사했다.

   모든 법은 인연에 의해 조작된 허구임을 모르고 몸과 마음속에 따로 어떤 본질이 숨어 있다고 여기는 그릇 된 착각이 인상이다. 후대 유식사상에서의 아뢰야식과도 비슷한 개념이라고 하겠는데, 아뢰야식은 윤회의 주체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연속성은 있더라도 실체적 개념은 아니며, 아뢰야식 또한 무아(無我)라고 하는 반면에 뿌드갈라는 생사를 초월한 윤회의 주체로 상정돼 있다.

   그리하여 인간은 뿌드갈라의 존재라는 우월감에 빠져 있다. 하지만 인간이 축생에 비해 우월하지만 천상의 여러 신에 비하면 미물에 불과하다. 이렇게 미천한 인간이지만 자신이 만물의 영장이고 대단한 존재라고 착각을 해서 교만하다. 바로 내가 인간이라는 그 교만한 마음의 인상(개아)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해탈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해석에서는 인상(人相)을 아상(我相)처럼 집착하는 모습의 하나로서, ‘남’을 의식하는 데에서 오는 행동과 생각이라 말해왔다. 이와 같이 개아(인상)를 나와 남을 갈라놓는 분별심이라고 말하는 것은 뿌드갈라의 어의(語義)가 ‘개인’ 혹은 ‘인간’을 의미하는 개념이었기 때문에 그런 해석이 가능했을 것이다.

   어쨌든 개아라는 생각 또한 결국에는 ‘나’라는 상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나와 상대에 대한, 혹은 내가 인간이라는 생각에 대한 분별로 보더라도 이것은 ‘나’라는 상이 있기 때문에 생겨나는 아상(我相)의 연장이라 하겠다.

   즉, 개아는 진아(眞我)와 대비되는 아상으로서 진아를 찾는다는 것은 곧 자기(개아)를 버림으로써 가능한 것이고, 자기(개아)를 버림은 곧 망심과 분별과 집착을 버리고 마음을 비움[공(空)]을 말함이다.  

   다만 ‘부처님께서 독자부의 뿌드갈라(pudgala)를 부정하셨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비약이다. 왜냐 하면 뿌드갈라를 제시한 독자부가 생긴 것은 불멸 후 300년이 경과한 후의 일이기 때문에 석존께서 직접 뿌드갈라를 지적하셨다 하기엔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


部派佛敎부파불교, 석가(釋迦) 입멸(入滅) 후(後) 100년(年) 무렵에 원시 불교(佛敎)가 분열(分裂)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敎團)으로 갈라진 시대(時代)의 불교(佛敎)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이 파들은 아비달마(阿毘達磨)라는 독차적인 불교(佛敎) 신학을 전개(展開)하여 후(後)에 유식(唯識) 사상(思想)의 성립(成立)에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으며, 한편 출가(出家) 본위로 소승(小乘)의 처지(處地)에 떨어졌음

阿賴耶識아뢰야식 팔식의 하나. 일체(一切) 법의 종자(種子)를 갈무리하고 일으키는 근본(根本) 심리(心理) 작용(作用)

八識 오관(五官)과 몸을 통(通)하여 외계(外界)의 사물(事物)을 인식(認識)할 수 있는 여덟 가지의 심적(心的) 작용(作用). 곧,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3) 중생상(衆生相, sattva samjna)---sattva란 넓게는 ‘존재하는 모든 것’ 혹은 ‘살아있는 모든 것’을 나타내는 말로서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한 모든 생명체를 의미한다. 이것을 구마라습은 중생(衆生)으로 현장은 유정(有情)으로 번역했다. 이 중생상은 깨닫지 못한 중생들이 가지는 본능적 집착을 일컫는데, 그것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첫째 괴로운 것을 싫어하고 재미있고 좋은 것만 탐내는 등 이기적인 행동이나 상념의 집착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좋은 것은 자기 것으로 하고, 나쁜 것은 남에게로 돌리려 한다.

   둘째 천당과 지옥이 따로 있다고 생각해서 천당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욕심으로 나타난다. 즉 별다른 수행도 없이 고(苦)가 없는 천계(天界)에 태어나고자 하는 욕심이다. 비슷하게 기복불교(祈福佛敎)도 중생상의 소산이라 하겠다.

   셋째 약한 사람을 억누르고 강한 사람에게 빌붙는 약육강식도 중생상이고, 자기의 일에 지나친 욕심을 갖고 남을 이기기 위해 투쟁하는 것도 중생상이다.

   넷째 중생상은 자신의 몸이 오온(五蘊)이 화합해 이루어진 참된 실체라고 고집하는 잘못된 견해를 가진다. 그리하여 살아 있는 생명체와 생명이 없는 자, 유정과 무정을 나누는 이원론적 집착으로 나타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중생상도 그 근원에서는 ‘나’라는 아상(我相)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깨달음의 주체인 ‘나’라는 상을 상정해 놓기 때문이다.

   다섯째 나는 중생이니까 부처님과 같이 해탈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 즉, 본래 하나인 자성(自性)을 각득하지 못하는 까닭에 나는 부처가 되지 못한다고 스스로 퇴굴심을 내는 것이다. 이런 중생상은 열등의식이 바닥에 깔려 있어서인데, 초기 대승불교에서 sattva(有情-중생)를 너무 강조하다보니 부처와 다른 실재가 있는 것처럼 돼버린 것 같다.

   부처님께서 중생상을 갖지 말라고 하신 것은 중생들이 가지고 있는 이런 자기 비하적인 견해를 타파하기 위해서다. 부처와 중생들을 분별해 자신을 중생이라고 생각하고 불도를 닦는데 게을리 한다거나 불도를 닦는다고 해도 부처가 될 것이라는 확신이 없는, 이것이 중생상이다. 그러나 모든 중생들은 그 자체에 불성을 가지고 있어 누구라도 수행을 통해 불성을 닦으면 성불할 수 있다. 그것이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요, 견성성불(見性成佛)이다.




   4) 수자상(壽者相, jiva samjna)---수자상의 원어인 jiva는 영혼, 목숨, 생명이라는 말인데, 부처님 당시 자이나교에서 주장한 생사를 초월한 존재 또는 영원불멸의 ‘순수영혼’이 있다는 견해로서, 구마라습은 수(壽)로 현장은 명(命)으로 번역했다. 

   오온(五蘊)은 모두가 실체가 없어 한시도 머물지 못하는 무상한 존재인데, 이를 바로 알지 못하고 그 속에 영생불멸의 윤회하는 주체로서 순수영혼이 있어서 오온은 사라져도 이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여기는 그릇 된 착각을 한다. 그것이 수자상이다.

   부처님께서는 이와 같은 자이나교의 ‘순수영혼설’을 반박하셨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일시적으로 생겨났다 사라지는 허깨비에 불과하다고 하는 것이 부처님의 교설이다. 즉 제행무상(諸行無常)인 것이다. 따라서 생사를 초월하고 시간을 초월한 순수영혼이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상에서 벗어날 것을 가르쳤다. 

   헌데 종전에는 이 수자상을 ‘목숨’으로 이해해서 오래 살려고 하는 욕심이라 해석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자이나교의 ‘순수영혼’의 존재설에 대한 거부를 표시한 것으로 이해한다.


   이상과 같이 자아, 개아, 중생, 영혼이라는 말은 부처님 당시 모두 외도들에 의해 주장된 고정된 실체적 존재이고, 우리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잘못된 보편적인 견해이기도 한데, 부처님께서는 이와 같은 자아, 개아, 중생, 영혼이라는 관념, 즉 4상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다. 연기하는 법은 그 실체를 가지지 않는 가설(假說)인데 중생은 관념에 의해 실재하는 것으로 착각해 분별하고 집착한다. 따라서 이러한 4상이 제거될 때 비로소 해탈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지만 4상이라는 분별과 집착에서 자유롭지 못하면 깨달음은 요원하다 하겠다.


작성자 아미산(이덕호)( http://livinglikehuman.blogspot.kr/2013/08/daum-blog-amisan511.html)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2 善現啓請分  (0) 2017.05.12
1 法會因由分  (0) 2017.05.11
金剛般若波羅蜜經  (0) 2017.05.11

2  善現啓請分


時 長老須菩堤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 佛言 希有世尊 如來 善護念 諸菩薩 善付囑 諸菩薩.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 三菩提心 應云何住 云何降伏其心. 佛言 善哉善哉 須菩堤 如汝所說 如來 善護念諸菩薩善付囑 諸菩薩 汝今提請 當爲如說.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如是住 如是 降伏其心. 唯然世尊 願樂欲聞.


(시 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 불언 희유세존 여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 제보살. 세존 선남자 선여인 발아누다라삼묘 삼보리심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불언 선재선재 수보리 여여소설 여래 선호념제보살선부촉 제보살 여금제청 당위여설. 선남자 선여인 발아누다라삼묘삼보리심 응여시주 여시 항복기심. 유연세존 원락욕문.)


그때 장로수보리가 모인 여러 사람들 가운데에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의 옷을 벗어 메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 하고 공경하여 부처님께 여쭈오되, “세상에도 드문 일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펴 보호하여 주시며, 모든 보살들에게 佛法을 잘 부탁하여 맡기십니다. 그러 하온데 세존이시여 선남 선녀들이 아뇩다라 삼먁 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키고는 마땅히 어떻게 생활하고 행동하며, 어떤 마음가짐이 있어야 하오리까?” 하였다.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좋도다 수보리야. 네가 말한 바와 같이 여래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펴 보호하여 주고,모든 보살들에게 불법을 잘 부탁하여 맡기는 것이니, 네 자세히 듣거라. 내 이제 너를 위하여 그에 대하여 말하리라. 선남 선녀들이 아뇩다라 삼먁 삼보리의 마음을 내고는 마땅히 이렇게 머물며, 이렇게 마음을 항복받을 지니라.”                

“예,그러 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원컨대 즐겨 듣고자 하옵니다.” 


※阿耨多羅三藐三菩提: 阿耨多羅 = ‘위가 없는’,‘바르고 평등한’, ‘깨달음’ 이라는 뜻 (無上,正等,正覺)

※須菩提: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첫째가는 수제자.

※무여열반: 일체의 미혹. 번뇌에서 벗어나고 삶과 죽음을 초월한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멸도 : 일체의 미혹.번뇌를 없애고 괴로움의 바다에서 극락의 저 언덕으로 건네 준다는 뜻임.

※아상 : 몸과 마음을 실재의 “我”(나)가 있다고 하고 또,그것이 나의 소유라고 집착하는 소견. 

         즉, “나”라는 고집, “나”가 제일이라는 우월감을 말함. 

※인상: 사람과 짐승, 성인과 범인 등 상대에 대한 비교, 차별 내지 경멸감에서 일어나는 대립적인 행동이나 생각. 

※중생상:괴로운 것을 싫어하고 즐거운 것을 탐내는 동물적인 행동이나 생각. 고기음식을 탐내는것은 다른 동물 보다  “나”가 더 우월하다는 생각이 모든 것이 중생상 때문이다. 

※수자상: 사람은 선천적으로 길건 짧건 일정한 목숨을 하늘로부터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


須菩提 수보리

석가(釋迦) 십대 제자(弟子)의 한 사람으로서 십육 나한(十六羅漢)의 한 사람. 사위(舍衛)의 장자(長者). 천성(天性)이 자비(慈悲)하여 출가(出家)하여서는 늘 선업(善業)을 했음. 석가(釋迦)의 명을 받아 반야(般若)의 공리(空理)를 설교(說敎)하여 해공 제일(解空第一)로 불림

須 모름지기 수,수염 수 1. 모름지기(사리를 따져 보건대 마땅히) 2. 틀림없이 3. 결국(結局) 4. 마침내 5. 드디어 6. 반드시 7. 잠깐 8. 본래 9. 원래 10. 수염 11. 마땅히 ~해야 한다 12. 반드시 ~하여야 한다 13. 필요하다... [부수]頁(머리혈)

菩 보살 보,향초 이름 배  1. 보살(菩薩) 2. 보리(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 a. 향초(香草)의 이름 (배) [부수]艹(초두머리)

提 끌 제,떼지어 날 시 1. 끌다, 이끌다 2. 끌어당기다 3. 거느리다 4. (손에)들다 5. 점잖게 걷다 6. 제시하다(提示--) 7. 던지다, 던져서 때리다 8. 끊다, 단절하다(斷切ㆍ斷截--) 9. 북의 이름 10. 편안(便安)한 모양 a. 떼지어... [부수]扌(재방변)

偏 치우칠 편  1. 치우치다, 쏠리다, 기울다 2. 편향되다(偏向--), 편중되다(偏重--) 3. 먼저 실례하다(失禮--) 4. 속이다 5. 나부끼다 6. 곁, 가 7. 반, 절반(折半) 8. 한쪽, 한편 9. 하나, 한 사람 10. 보좌(補佐ㆍ輔佐)... [부수]亻(사람인변)

袒 웃통 벗을 단,터질 탄  1. 웃통을 벗다 2. 소매를 걷어 올리다 3. 어깨를 드러내다 4. 옷 솔기가 타지다 5. 옷이 해어지다 6. 가세하다(加勢--) 7. 편들다 8. 열다 a. (옷이)터지다 (탄) b. 피다 (탄) c. 봉오리가 벌다 (탄)... [부수]衤(옷의변)

薩 보살 살  1. 보살(菩薩) [부수]艹(초두머리)

菩薩보살

위로는 깨달음을 구(求)하고 아래로는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하는, 부처의 버금이 되는 성인(聖人). 개사(開士). 보리살타. 상사(上士)  ②보살승(菩薩僧)의 준말  ③나이 많은 여신도(女信徒)를 대접(待接)하여 이르는 말  ④고승(高僧)의 존칭(尊稱)  ⑤보살(菩薩)할미의 준말

囑 부탁할 촉  1. 부탁하다(付託--) 2. 당부하다(當付--) 3. 위탁하다(委託--) 4. 의뢰하다(依賴--) 5. 분부하다(分付ㆍ吩咐--) [부수]口(입구)

耨 김맬 누  1. 김매다(논밭의 잡풀을 뽑아내다) 2. 없애다 3. 나쁜 일을 덜어 없애다 4. 호미(쇠로 만든 농기구) 5. 괭이(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부수]耒(가래뢰)

羅 벌일 라,벌일 나,그물 라,그물 나  1. 벌이다(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 2. 벌이어 놓다 3. 늘어서다 4. 두르다 5. 그물치다, 그물질하다 6. 망라하다(網羅--) 7. 체질하다, 체로 치다 8. 맞딱뜨리다, 걸려들다 9. 막다, 차단... [부수]罒(그물망머리)

藐 멀 묘,아득할 막,지치 모  1. 멀다 2. 작다 3. 어둡다, 희미하다(稀微--) 4. 가벼이 보다 5. 업신여기다 6. 약하다(弱--) 7. 아름답다, 예쁘다 a. 아득하다 (막) b. 넓다 (막) c. 조금 (막) d. 사물(事物)의 모양 (막) e. 사물(事物)의... [부수]艹(초두머리)

降伏 항복 ①전쟁(戰爭)ㆍ싸움ㆍ경기(競技) 등(等)에서 힘에 눌려서 적에게 굴복(屈服)함  ②나를 굽히어서 복종(服從)함  ③불타(佛陀)의 힘으로 악마(惡魔), 외도들을 진압(鎭壓)함

降 내릴 강,항복할 항  1. 내리다 2. 깎아내리다 3. 떨어지다 4. 내려 주다 5. 하사하다(下賜--) 6. 하가하다(下嫁--: 지체가 낮은 곳으로 시집가다) 7. 거둥하다(擧動▼--: 임금이 나들이하다) 8. 중(重)히 여기다 9. 태어나다,... [부수]阝(좌부변)

伏 엎드릴 복,안을 부  1. 엎드리다, 머리를 숙이다 2. 굴복하다(屈服--), 항복하다(降伏ㆍ降服--), 인정하다(認定--) 3. 숨다, 감추다, 잠복하다(潛伏--) 4. 살피다, 엿보다 5. 내려가다, 낮아지다 6. 기다 7. 절후(節候), 음력(陰曆)...[부수]亻(사람인변)

云 이를 운,구름 운  1. 이르다, 일컫다 2. 말하다 3. 이와 같다 4. 다다르다 5. 도착하다(到着--) 6. 돌아가다 7. 운행하다(運行--) 8. 있다 9. 어조사(語助辭) 10. 운운(등등) 11. 구름 12. 하늘 13. 은하수(銀河水) [부수]二(두이)

善哉선재, 좋다 좋구나의 뜻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1 法會因由分  (0) 2017.05.11
金剛般若波羅蜜經  (0) 2017.05.11

1 法會因由分


如是我聞 一時 佛在舍衛國 祇樹 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爾時 世尊食時 着衣持鉢 入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環至 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여시아문 일시 불재사위국 기수 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이시 세존식시 착의지발 입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 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이와같이 내, 들었사온데 - 어느때 부처님께서 사위나라 기수숲 급고독원에 큰 비구의 무리 1250인과 함께 계시었다. 그때 마침 세존께서 식사를 하실 시간이라 가사를 입으시고 바리때를 드시고 사위의 큰 성안으로 들어가시어 그 성안에서 밥을 빌으시기를 한집한집 차례로 다 마치시고 본디 계시던곳 으로 돌아 오시어 밥을 다 잡수시고나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어 치우시고 발을 씻으신 뒤에 자리를 마련하고 앉으시었다.





※사위국: 나라 이름 

※世 尊: 세상에서 존경받는 분 이란 뜻이며 부처님의 10가지 이름 중의 하나(석가모니부처님)

食 밥 식,먹을 식,먹이 사,사람 이름 이  1. 밥 2. 음식(飮食) 3. 제사(祭祀) 4. 벌이 5. 생활(生活) 6. 생계 7. 먹다 8. 먹이다 9. 현혹케하다(眩惑---) 10. 지우다 a. 먹이, 밥 (사) b. 기르다 (사) c. 먹이다 (사) d. 양육하다(養育--) (사)...[부수]食(밥식)

訖 이를 흘,이를 글  1.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2. 마치다 3. 그만두다 4. 다하다 5. 마침내 6. 모두 7. 까지 a.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글) b. 마치다 (글) c.... [부수]言(말씀언)

鉢 바리때 발  1. 바리때(승려의 밥그릇) 2. 사발(沙鉢: 사기로 만든 국그릇이나 밥그릇) 3. 승려(僧侶)가 되는 일 4. 대대(代代)로 전하는 것 [부수]金(쇠금)

祇 땅귀신 기,다만 지  1. 땅귀신(-鬼神) 2. 편안하다(便安--) 3. 크다 a. 마침 (지) b. 다만 (지) [부수]礻(보일시변)

敷 펼 부  1. 펴다 2. 퍼지다 3. 널리 흩어지다 4. 분할하다(分割--) 5. 다스리다 6. 나누다 7. 이어지다 8. 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9. 초목(草木)이 번무하다 10. 두루 11. 널리 [부수]攵(등글월문)

比丘 비구 출가(出家)하여 불문(佛門)에 들어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승(男僧)

比 견줄 비  1.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비교하다(比較--) 2. 본뜨다, 모방하다(模倣ㆍ摸倣ㆍ摹倣--) 3. 나란히 하다 4. 고르다, 가려 뽑다 5. 갖추다 6. 같다, 대등하다(對等--)... [부수]比(견줄비)

丘 언덕 구  1. 언덕 2. 구릉 3. 무덤 4. 분묘(墳墓) 5. 마을, 촌락(村落) 6. 맏이 7. 메(산(山)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뫼 8. 종(從), 하인(下人) 9. 폐허(廢墟) 10. 지적(地籍) 단위(單位) 11. 비다, 없다 12. ... [부수]一(한일)

爾 너 이  1. 너 2. 성(姓)의 하나 3. 어조사(語助辭) 4. 같이 5. 그(其) 6. 뿐 7. 이(此) 8. 그러하다 9. 가깝다 [부수]爻(점괘효)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2 善現啓請分  (0) 2017.05.12
金剛般若波羅蜜經  (0) 2017.05.11

[金剛般若波羅蜜經]


최근 수정 시각: 2017-05-13 21:45:17+0900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베트남어: Kim cương bát-nhã-ba-la-mật-đa kinh

산스크리트어: वज्रच्छेदिकाप्रज्ञापारमितासूत्र (와즈라체디까 쁘라갸빠라미따 수뜨라)[1]

티베트어: འཕགས་པ་ཤེས་རབ་ཀྱི་ཕ་རོལ་ཏུ་ཕྱིན་པ་རྡོ་རྗེ་གཅོད་པ་ཞེས་བྱ་བ་ཐེག་པ་ཆེན་པོའི་མདོ།(팍빠 셰랍끼 파뢸뚜 친빠 도제 쬐빠 셰쟈와 텍빠 첸뾔도)[2]

영어: The Diamond Sutra / The Diamond Cutter Sutra



1. 개요


불교의 경전. 반야심경과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대승 불교 경전들 가운데 하나로, 반야부의 기본 사상을 함축하고 있다. 불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경전으로 이 경전에 대한 주석 중 현재 남아있는 주석만 따져도 200여개나 된다.

원불교의 경전이기도 하다.


2. 제목의 뜻


대승 경전이다 보니, 제목부터가 대승 불교의 근본적인 개념인 '반야바라밀'을 포함하고 있다. 반야바라밀은 산스크리트어 쁘라갸빠라미따(Prajñāpāramitā)[3]를 음역한 것으로, 깨달음으로 이끄는 지혜를 가리킨다. 

앞에 붙은 한자 '금강'은 산스크리트어 와즈라체디까(Vajracchedikā)를 뜻으로 풀어 해석한 것인데, 뜻은 '와즈라(Vajra :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등장하는 인드라의 뇌전 바즈라 같은 것)와 같이 강한 힘으로 절단하는 것' 이라는 뜻이다.[4] 그러니까 '금강반야바라밀경' 이란 제목의 뜻은 마음 속의 분별, 집착, 번뇌 등을 부숴버려 깨달음으로 이끄는 강력한 지혜의 경이라는 뜻이 된다.

앞선 버전에서는 와즈라의 뜻이 다이아몬드인지, 번개인지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다고 적혀 있는데, 의견이 분분한 것은 와즈라가 뜻이 아니라, 그것을 번역한 한자어 금강(金剛)의 뜻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와즈라 자체는 인드라의 벼락(번개)라고 해석하는게 옳다. 그래서 실제로 한자 번역은 금강경이 아니라, 벽력경(霹靂經)이 옳은 번역이 된다. 본디 옛 사람들은 가장 단단한 물체를 금중최강(金中最剛). 즉 줄여서 금강(金剛)이라고 불렀는데, 어떤 물체가 강한 힘에 의해서 파괴하는 상태를 보고 능단금강(能斷金剛 : 능히 금강도 부술수 있을 것)이라고 불렀다. 와즈라체디까(Vajracchedikā)의 올바른 한자 번역이 벽력능단금강(霹靂能斷金剛)인데, 이걸 단순히 축약하여 금강(金剛)으로 번역해 버렸다.

이 경의 핵심은 금강과도 같이 단단한 집착, 번뇌도 끊어버리는 벼락같은 파워를 가진 지혜를 뜻하는 것이므로, 이 지혜가 가리키는 주요 포인트는 실제로 금강이 아닌 벼락이 맞는 셈.

금강의 오역은 산스크리트어의 벼락이 금강을 끊는 다는 뜻에서 한자로 번역할 때 번개를 없애고 금강(金剛)만이라고 축약하여 번역했고, 그것을 후세 사람들이 가장 단단한 물체인 다이아몬드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원래있던 금강(金剛)이란 단어를 빌어서 한자로 번역해서 금강이란 단어가 중복된 뜻을 지니게 되어버렸다. 

(산스크리트어) Vajra -> 번역(실제로는 오역) -> 금강(金剛) 

금강(金剛) -> 번역(오역) -> Diamond(영어) 

처음 번역도 오역이 있는데다가, 금강의 영어 번역 자체도, 다이아몬드는 금강으로 번역될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그것도 금강석(金剛石)일 때만 다이아몬드.) 금강의 뜻은 다이아몬드로 직접적으로 치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금강을 직접적으로 다이아몬드로 번역하면 많은 오역이 생김. 

한자 문화권의 많은 스님들은 이 반야바라밀이 '최고의 바라밀'이라는 점 및 금강경 내에 언급된 '무주상보시'[5]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구절 등으로 인해 반야바라밀을 6바라밀[6] 중 첫 번째로 등장하는 '보시바라밀'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반야바라밀'이라는 말 자체가 뜻으로 풀어 해석하면 오히려 6바라밀 중 맨 끝에 위치하는 '지혜바라밀'과 동의어이고, 금강경 내용 자체도 보시보다는 올바른 지혜를 확립하는 것에 더욱 중점을 두고 내용을 전개하기 때문에 보시로만 뜻을 국한시키기는 어렵다.


3. 역사


금강경의 성립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략 서기 1세기경[7]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대승불교의 공(空) 사상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공'이라는 단어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보살행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면서도 '보리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점 등으로 미뤄, 대승불교 경전 중에서도 상당히 초기에 정립된 경전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특히 대승 경전 특유의 여러 불보살들이 잔뜩 나타나지도 않고, 석가모니와 그의 제자 1250명만 등장한다는 점에서는 초기 불교 경전들과 유사하기까지 하다. 이런 이유로 반야경보다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최근 간다라 불경에서 발견된 텍스트중 가장 오래된 불경은 소품반야경(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으로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의 연대가 서기 75년으로 나왔다.[8][9] 소품반야경의 성립은 기원전 100년경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금강경을 반야경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생각하면 금강경의 연대는 더 과거로 올라갈 수 있다.

대개 서역승 꾸마라지와(Kumarajiva)[10]가 한문으로 옮긴 버전이 가장 오래된 번역본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산스크리트어로 된 원본에 비해 생략된 구절이 많다.[11][12] 이후 보디루치(한자 이름은 '보리류지'), 파라마르타(한자 이름은 '진제'), 현장법사, 의정 등의 번역은 대체로 원전 번역을 충실히 따르는 편이다. 하지만 한문 특유의 운율을 살린 유려한 번역 덕에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는 꾸마라지와가 한 번역본이 널리 퍼졌다.

티베트어 역본도 있는데, 8세기말~9세기 초엽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정립된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이 티베트어 역본과 아프가니스탄 바미얀 석굴에서 발견된 간다라어 역본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이다.

내용상으로 석가모니가 금강경의 불법을 설한 장소는 슈라바스티(Sravasti, 舍衛城)이다.[13]


4. 내용


4.1. 길이 및 목차


금강경은 약 6천 단어 정도의 길이로, 불교경전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축에 속한다. 직접 소리내어 끝까지 읽어 보면 30분 정도가 걸리며, 스님들처럼 리듬을 타면서(...) 염불을 하면 40분 가량이 걸린다. 구마라집본에는 총 5149자의 한자가 쓰였다.

금강경에는 원래 목차 구분이 없었는데, 양무제의 아들 소명태자가 구마라집의 역본 내용을 32개 분(分)으로 나누고 각 분에 소제목을 달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이게 유명해져서 되려 후대의 산스크리트 사본들이 이 분류를 따르는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 독송을 할 때는 소제목은 빼고 읽는다. 


4.2. 서사구조


금강경의 전체적인 서사구조는 탁발을 하고 식사를 끝내고 앉은 석가모니에게 수보리(수부티)존자가 '보살승에 나아가는 사람들은 어떻게 머무르고, 수행하고, 마음을 조복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석가모니가 그에 대해 대답하는 구조로 전개된다.


금강경의 대부분은 대화체로 이뤄져 있는데, 이 장면 이후로는 대부분 부처님이 묻는다 → 수보리가 대답한다 → 부처님이 설명한다 → … 식의 루프를 타는데, 간혹 수보리가 다시 질문을 던진다 → 부처님이 대답한 뒤 다시 묻는다 → 수보리가 대답한다 → 부처님이 설명한 뒤 다시 묻는다 → 수보리가 대답한다 → …(생략) 식으로 복잡하게 전개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답구조가 계속 반복된다.


... ... ...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어!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을 좋게 여겨 보살피시고 모든 보살이 좋게 여겨 의지할 수 있게 합니다. 세존이시어,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아뇩다라삼먁삼보리)을 얻고자 하는 선한 남자와 선한 여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수보리야. 네 말처럼 여래는 모든 보살을 좋게 여겨 보살피고 모든 보살이 좋게 여겨 의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네가 청하니 마땅히 너를 위해 말하리라.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한 남자와 선한 여인은 이와 같이 살아야 하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예, 세존이여! 기쁘게 듣고자 합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렇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이른바 모든 종류의 중생, 알에서 태어나든, 태에서 나든, 습한 곳에서 생기든, 변화로서 생기든, 모습이 보이는 것이든, 보이지 않는 것이든, 생각을 지닌 것이든, 지니지 않는 것이든, 생각을 지니지도 않고 지니지 않는 것도 아닌 것이든, 이 모든 중생을 내가 무여열반에 불러들여 이들을 열반에 이르게 하리라 하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여도, 실은 완전한 열반을 얻은 중생이 아무도 없다. 어째서인가? 만일 보살이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16]을 지니면 이미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대화의 처음은 수보리의 질문으로 시작되어 석가모니가 답변과 재질문을 하면서 전개된다.


마지막에는 석가모니가 다음과 같은 사구게[17]로 설법을 마치고, 일체 중생들은 이를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다는 설명으로 경이 끝난다.[18]


tārakā timiraṁ dīpo/ māyā-avaśyāya budbudaṁ / 

supinaṁ vidyud abhraṁ ca/ evaṁ draṣṭavyaṁ saṁskṛtam.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형성된 것은 참으로 이와 같이 보아야 하나니 

‘별, 눈의 가물거림, 등불과도 같고 

환영, 이슬, 물거품과도 같으며 

꿈, 번개, 구름과 같다.’라고."[19]



마지막 사구게는 비유적 표현을 써 이해하기가 쉽고, 노래처럼 외우기 편하다는 장점 때문에 진언처럼 외우는 사람들이 많다. 소설 등 대중매체에서도 간간이 인용되곤 하는데, 대표적으로 고전소설 구운몽의 예를 들 수 있다. 심지어 에로게의 제목으로 쓰이기도 한다!


반야심경처럼 금강경에도 경 끝에 산스크리트어 주문이 존재한다. 경을 다 읽은 뒤 읽는 이 주문은 팔만대장경에도 나와 있지만,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밑은 조계종 표준 진언(한국어 독음-한자)과 산스크리트어 원문, 한국어 해석[20].


나모바가발제 발라양 바라미다예. 옴 이리지 이실리 수로다 비사야 비사야 사바하.

那謨婆伽跋帝 鉢喇壤 波羅弭多曳. 唵 伊利底 伊室利 輸盧駄 毗舍耶 毗舍耶 莎婆訶

namo bhagavatī prajñāpāramitāyai. oṃ īriti īṣiri śruta viṣaya viṣaya svāhā

세존 반야바라밀에 귀의합니다. 옴, 지움, 불태움, 지나감, 물질, 물질, 쓰와하.[21]




티베트어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좀 더 긴 버전으로 전해지는데, 한 번 이 주문을 읽으면 금강경을 1만 9천 번 읽는 공덕과 같다고 한다. 밑은 로마자 독음.


NAMO BHAGAVATE PRANJAPARMITAYE. OM NATADTITA. ILISHI. ILISHI.

MILISHI. MILISHI. BHINAYAN. BHINAYAN. NAMO BHAGAVATE.

PRADATYAM PRATI. IRITI. IRITI. MIRITI. MIRITI. SHURITI. SHURITI.

USHIRI. USHIRI. BHUYUYE. BHUYUYE. SWAHA


4.3. 금강경의 주제


금강경을 읽다 보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22] 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 안웃따라쌈약쌍보디(anuttarā samyak-saṃbodhi)를 음차한 말로 '위없이 올바른 깨달음으로 향하는 마음'을 뜻한다. 석가모니는 금강경에서 이러한 마음을 내기 위해서는 겉모습이나 현상 및 관념의 덧없음을 알아, 이들에 현혹되지 않은 채로 올바르게 관찰해서 깨달음을 향하는 순수한 마음을 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사실상 이 부분을 금강경의 핵심 주제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금강경 내에서 석가모니는 앞서 수보리의 질문('보살승에 나아가는 사람들은 어떻게 머무르고, 수행하고, 마음을 조복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육도윤회에 빠진 중생을 남김없이 제도하겠다는 마음을 내는 것

보시했다는 마음 없이 보시하는 것

온갖 모욕과 번뇌를 감내하고 원한을 일으키지 않는 것


등을 그 대답으로 제시한다. 모두 대승불교에서의 보살행과 관련된 내용이다. 


그러면서 석가모니는 '~는 사실 ~가 아니기에 여래는 이를 ~라 설했다'라는 설명 구조를 반복하며, 관념에 현혹되어 위와 같은 보살행을 한다면 그건 이미 제대로 된 보살행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보살행을 해도 관념에 현혹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야 한다는 이야기.


같은 맥락에서 금강경은 당시 인도에서 유행하던 4가지 철학적 관념을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라는 이름[23]으로 칭하며 비판하고 있다.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4] 


'나'를 불변한 실체로 보는 관념(아상)[25]

인간은 다른 축생과 다르며,만물위에 군림한다는 관념(인상)

중생과 부처를 구분하여 스스로를 포기하는 관념(중생상)

일정한 목숨이란것이 존재한다하는 관념(수자상)


금강경에서는 아라한에 대해 '아라한의 경지를 얻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이미 삿된 생각에 빠져 있기 때문에 애초에 아라한이 아니다'라는 서술이 있다. 이 부분은 상좌부 불교에서 아라한의 권위를 절대화하는 것을 비판하는 구절로 해석된다.


그 외에 '깨달았다 할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깨달았다는 것이다'라는 부분도 수차례 나오는데, 이러한 부분은 대승불교의 공(空)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되곤 한다. 


금강경을 읽다 보면 '만약 이 중에 사구게라도 지녀 읽고 전파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공덕은 크고도 클 것이다'라든지, '갠지스 강의 모래 알갱이의 수만큼 보시를 하더라도, 이 경의 사구게를 지녀 읽고 전파하는 사람의 공덕이 그보다 훨씬 더 크다'라는 구절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금강경 중에서도 사구게만을 따로 독송하는 사람이 예나 지금이나 많은 데는 이 구절들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되는 사람은 #현각스님 법문을 시청하자. 초보자도 알아먹게 쉽게 설명한다. 물론 영어로. 


5. 취급


선종의 6대 조사 혜능이 금강경 중 '응무소주 이생기심(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야 한다)' 이라는 구절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도 유명하며, 혜능은 제자들에게 금강경을 독송하는 것을 수행법으로 권하기도 했다. 

이러한 전통 때문에 금강경은 한국 불교 조계종의 소의경전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금강경만 독송하면서 수행하는 수행 공동체들도 있다. 심지어는 금강경의 메시지와 비즈니스를 연결시킨 자기계발 서적도 있다. 

정도전이 성리학적 입장에서 불교를 비판하기 위해 저술한 책 '불씨잡변'도 금강경을 많이 인용하며 비판하고 있다.

금강경은 불교의 경전이지만, 원불교에서도 경전으로 채택하고 있다.


- 출전 : 나무위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如理實見分  (0) 2017.05.18
4 妙行無住分  (0) 2017.05.17
3 大乘正宗分  (0) 2017.05.16
2 善現啓請分  (0) 2017.05.12
1 法會因由分  (0) 2017.05.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