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11


354` 죽은 사람에게나 적용될 원리 (잡편:33.천하,11) 

- 장자(잡편) ; 제33편 천하[11]- 

신도는 지혜를 버리고 자기 자신도 떠나서 자연의 부득이한 결과를 따라 행동했다. 사물에 대하여 되는 대로 따르는 것이 올바른 도리라고 생각했다. 

그는 안다는 것은 사실은 알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지식을 박대하고 있는데, 결국은 지식을 손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는 치욕을 참으며 홀로 생각하되 하는 일이 없으며, 세상 사람들이 현명한 사람을 숭상하는 것을 비웃었다. 제멋대로 기준 없이 행동하면서 천하의 위대한 성인을 부정했다. 

망치로 치고 깎고 자르듯이 물건을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옳고 그르다는 생각을 버리고 구차하게 따지지 않는다. 지혜와 생각을 앞세우지 않고, 앞뒤를 따지지 않으며, 자기 홀로 지낼 따름이다. 

밀려진 다음에야 나가고, 끌린 다음에야 가게 된다. 회오리바람이 돌아가듯, 새의 깃이 바람에 날리며 돌 듯, 맷돌이 돌아가듯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그래서 완전히 그른 데가 없으며, 움직이건 고요히 있건 잘못이 없어서, 죄를 짓는 일이 없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지각이 없는 물건은 자기 환란을 스스로 만들지 않는다. 그는 지혜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없었고, 움직이건 고요히 있건 이치를 떠나는 일이 없다. 평생 칭찬 같은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말하기를  “지각이 없는 물건과 같이 되려고 노력할 따름이다. 현인이나 성인과 같은 지혜도 쓸 필요가 없다. 흙덩이는 지각이 없어 오히려 도를 잃지 않는 것이다.” 

라고 했다. 

천하의 호걸들이 서로 비웃으면서 

“신도가 주장하는 도는 산 사람이 행할 것이 아니라, 죽은 사람에게 적용될 원리이다.” 

라고 비평했다. 

그의 학설은 세상에서 괴상하게 여겨졌던 것이다. 

전변도 역시 그랬다. 팽몽에게 배워 가르치지 않는 학문을 체득했다. 팽몽의 스승이 말했다. 

“옛날의 도를 닦은 사람은 옳은 것도 없고 그른 것도 없는 경지에 도달했을 따름이었다. 그 학설은 종잡을 수 없는 것이었으니 어찌 말로써 표현할 수가 있겠는가?” 

그는 언제나 사람들의 생각에 반대하고 남의 눈치를 보지 않았다. 그래서 깎고 자른 것처럼 외물에 적응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가 말하는 도란 진실한 도가 아니며, 그가 말하는 옳은 것이란 그른 것이 아닐 수가 없는 것이다. 팽몽, 전변, 신도는 진실한 도를 알지 못했다. 그렇지만 개략적으로는 모두 도에 대하여 들은 일이 있는 사람들인 것 같다.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11]- 

是故愼到棄知去己, 而緣不得已, 冷汰於物, 以爲道理, 曰:「知不知, 將薄知而後隣傷之者也.」 謑髁无任, 而笑天下之尙賢也. 縱脫无行, 而非天下之大聖. 椎拍輐斷, 與物宛轉, 舍是與非, 苟可以免. 不師知慮, 不知前後, 魏然而已矣. 推而後行, 曳而後往, 若飄風之還, 若落羽之旋, 若磨石之隧, 全而无非, 動靜无過, 未詳有罪. 是何故? 夫无知之物, 无建己之患. 无用知之累, 動靜不離於理, 是以終身无譽. 故曰:「至於若无知之物而已, 无用賢聖, 夫塊不失道.」 豪桀相與笑之曰:「愼到之道, 非生人之行而至死人之理, 適得怪焉.」 

田騈亦然, 學於彭蒙, 得不敎焉. 彭蒙之師曰:「古之道人, 至於莫之是莫之非而已矣. 其風窢然, 惡可而言?」 常反人, 不見觀, 而不免於魭斷. 其所謂道非道, 而所言之韙不免於非. 彭蒙田騈愼到不知道. 雖然, 槪乎皆嘗有聞者也. 

(시고신도기지거기, 이연부득이, 랭태어물, 이위도리, 왈:[지부지, 장박지이후린상지자야.] 혜과무임, 이소천하지상현야. 종탈무행, 이비천하지대성. 추박완단, 여물완전, 사시여비, 가가이면. 불사지려, 부지전후, 왜연이이의. 추이후행, 예이후왕, 약표풍지환, 약낙우지선, 약마석지수, 전이무비, 동정무과, 미상유죄. 시하고? 부무지지물, 무건기지환. 무용지지루, 동정불리어리, 시이종신무예. 고왈:[지어약무지지물이이, 무용현성, 부괴부실도.] 호준상여소지왈:[신도지도, 비생인지행이지사인지리, 적득괴언.]

전병역연, 학어팽몽, 득불교언. 맹몽지사왈:[고지도인, 지어막지시막지비이이의. 기풍획연, 악가이언?] 상반인, 불견관, 이불면어원단. 기소위도비도, 이소언지위불면어비, 팽몽전병신도부지도. 수연, 개호개상유문자야.)


愼到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로 제(齊)나라의 선왕(宣王) 때 직하(稷下)의 학사(學士)를 지냈다. 그의 사상은 법(法)은 물론 세(勢), 즉 권세를 중시한 점에 특색이 있다. 출생-사망 BC 395 ~ BC 315국적 중국 전국시대 조 활동분야 교육 주요저서 《신자》

조(趙)나라 사람. 4세기 무렵 제(齊)나라의 선왕(宣王) 때 직하(稷下)의 학사(學士)가 되었다. 그의 사상에는 도가적(道家的) 색채도 있으나 법가(法家)로, 법(法)은 물론 세(勢), 즉 권세를 중시한 점에 특색이 있다. 《한비자(韓非子)》에 있는, '용(龍)은 구름을 타면 훌륭하지만 구름을 잃으면 지렁이와 다름없다'라는 설은 그 일단을 나타낸다. 

저서에 《신자(愼子)》 12편(한나라 때 42편으로 증가)이 있었으나, 송(宋)나라 때에 없어져 현재 5편만 남아 있다. 《군서치요(群書治要)》에는 진(晉)나라 때 주석(註釋)을 단 7편만이 남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도 [愼到] (두산백과)

田騈 진병(陳騈)으로도 불린다. 전국 시대 제(齊)나라 사람. 황로지학(黃老之學)을 익혔다. 제선왕(齊宣王) 때 직하(稷下)에 와서 강학(講學)했는데, 논변이 뛰어나 ‘천구병(天口騈)’으로 불렸다. 신도(愼到)와 이름을 나란히 했다. 상대주의적 속성을 인정하면서 사람은 모든 지각(知覺)과 분별(分別)을 버리고 만물의 자연, 평등을 직시하여 거기에 따라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전자(田子)』 25편이 저록되어 있는데, 도가(道家)에 속해 있다. 지금은 없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병 [田騈] (중국역대인명사전, 2010. 1. 20., 이회문화사)

緣 인연 연,부인 옷 이름 단  1. 인연(因緣), 연줄 2. 연분(緣分) 3. 가장자리,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4. 까닭, 이유(理由) 5. 가설(架設) 6. 장식(裝飾) 7. 겉(물체의 바깥 부분) 8. 연유... [부수]糸(실사)

冷 찰 랭,찰 냉,물소리 령,물소리 영  1. 차다, 한랭하다(寒冷--) 2. 식히다, 차게 하다 3. 쌀쌀하다, 얼다 4. 한산하다(閑散--), 한가하다(閑暇--) 5. 낯설다, 생소하다(生疏--) 6. 쓸쓸하다 7. 인정미가 적다 8. 맑다 a. 물소리 (령) b. 글... [부수]冫(이수변)

汰 일 태  1. 일다(흔들어서 쓸 것과 못 쓸 것을 가려내다), 걸러내다 2. 가려 뽑다 4. (깨끗이)씻다 5. 도태시키다(淘汰ㆍ陶汰---) 6. 교만하다(驕慢--), 거만하다(倨慢--) 7. 사치하다(奢侈--) 8. 지나다, 스쳐가다... [부수]氵(삼수변)

薄 엷을 박,동자기둥 벽,풀 이름 보  1. 엷다, 얇다 2. 적다 3. 야박하다(野薄--) 4. 싱겁다 5. 맛없다 6. 깔보다, 업신여기다 7. 척박하다(瘠薄--) 8. 가까워지다 9. 숲 10. 대그릇(대로 만든 그릇) a. 동자기둥(童子--: 들보 위에 세우는... [부수]艹(초두머리)

隣이웃 린,이웃 인  1. 이웃 2. 이웃한 사람 3. 보필(輔弼) 4. 수레의 소리 5. 주대(周代)의 행정(行政) 구획(區劃)의 이름 6. 이웃하다 7. 보필하다(輔弼--) 8. 근접(近接)한 9. 이웃한 10. 인접한 [부수]阝(좌부변)

傷 다칠 상  1. 다치다 2. 해치다(害--) 3. 애태우다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5. 불쌍히 여기다 6. 상하다(傷--) 7. 상처(傷處) [부수]亻(사람인변)

謑 꾸짖을 혜  1. 꾸짖다 2. 욕보이다(辱---) 3. 바르지 않은 모양 [부수]言(말씀언)

髁 넓적다리뼈 과  1. 넓적다리뼈(넙다리뼈), 넙다리뼈(골반과 무릎 사이에 뻗어 있는 넙다리의 뼈) 2. 대퇴골(大腿骨) 3. 종지뼈 4. 슬골(膝骨) 5. 형체가 흐트러져 바르지 못한 모양 [부수]骨(뼈골)

縱 세로 종,바쁠 총  1. 세로 2. 발자취 3. 비록 4. 설령(設令), ~일지라도 5. 놓다, 쏘다 6. 늘어지다 7. 놓아주다 8. 느슨하게 하다 9. 내버려 두다, 멋대로 하다 10. 방종하다(放縱--), 방임하다(放任--) 11. 석방하다(釋放--),... [부수]糹(실사변)

脫 벗을 탈,기뻐할 태  1. 벗다 2. 벗어나다 3. 벗기다 4. 사면하다(赦免--) 5. 풀다 6. 나오다 7. 빠지다 8. 떨어지다 9. 거칠다 10. 소홀하다(疏忽--) 11. 잃다 12.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13. 만일(萬一)... [부수]月(육달월)

椎 쇠몽치 추,등골 추  1. 쇠몽치, 몽치(짤막하고 단단한 몽둥이) 2. 등골, 등뼈 3. 모밀잣밤나무 4. 순박하다(淳朴ㆍ淳樸ㆍ醇朴--) 5. 어리석다 6. 치다 [부수]木(나무목)

拍 칠 박,어깨 박  1. (손뼉)치다, 손으로 두드리다 2. 어루만지다, 사랑하다 3. 박자(拍子), 음악(音樂)의 리듬 4. 박(拍: 국악기의 하나) 5. 어깻죽지(=膊) 6. 어깨 7. 병기(兵器)의 하나 [부수]扌(재방변)

輐 둥글 완  1. 둥글다 2. 둥글게 하다 [부수]車(수레거)

斷 끊을 단  1. 끊다 2. 결단하다(決斷--) 3. 나누다 4. 나누이다 5. 결단(決斷) 6. 단연(斷然: 확실히 단정할 만하게) 7. 조각 8. 한결같음 [부수]斤(날근)

宛 완연할 완,고을 이름 원,쌓일 온,맺힐 울  1. 완연하다(宛然--: 아주 뚜렷하다) 2. 굽다 3. 완연히(宛然-), 뚜렷하게 4. 작은 모양 5. 동산(큰 집의 정원에 만들어 놓은 작은 산이나 숲) 6. 언덕 7. 피하는 모양, 양보하는 모양 8. 말라 죽는 모양... [부수]宀(갓머리)

師 스승 사  1. 스승 2. 군사(軍士), 군대(軍隊) 3. 벼슬아치 4. 벼슬 5. 뭇 사람 6. 신령(神靈), 신의 칭호(稱號) 7. 전문적인 기예를 닦은 사람 8. 악관(樂官), 악공(樂工) 9. 육십사괘의 하나 10. 사자(獅子) 11.... [부수]巾(수건건)

曳 끌 예  1. 끌다, 끌어당기다 2. 고달프다, 힘겹다 3. 끌리다, 이끌리다 4. 나부끼다 5. (옷을)입다 [부수]曰(가로왈)

曳尾塗中 예미도중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旋 돌 선  1. 돌다 2. 물이 돌며 흐르다 3. 회전하다(回轉ㆍ廻轉--) 4. 원을 그리다 5. 굴곡(屈曲)을 이루다 6. 굽다 7. 돌아오다 8. 둥글다 9. 두르다 10. 빠르다 11. 구슬, 옥 12. 행동거지(行動擧止: 몸을 움직여... [부수]方(모방)

凱旋將軍 개선장군 ①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將軍)  ②어떤 일에 크게 성공(成功)한 사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凱 개선할 개  1. 개선하다(凱旋--) 2. 이기다 3. 착하다 4. 온화하다(溫和--) 5. 즐겨하다 6. 싸움에 이긴 풍류(風流) 7. 마파람, 남풍(南風) [부수]几(안석궤)

隧 길 수,떨어질 추  1. 길, 통로(通路) 2. 굴(窟) 3. 봉수대(烽燧臺: 봉화를 올리던 둑) 4. 교외(郊外) 5. 깊이 6. 도랑 이름 7. 나라 이름 8. 돌다 a. 떨어지다 (추) b. 떨어뜨리다(=墜) (추) c. 추락하다(墜落--) (추) [부수]阝(좌부변)

離 떠날 리,떠날 이,붙을 려,붙을 여,교룡 치  1. 떠나다 2. 떼어놓다, 떨어지다 3. 갈라지다 4. 흩어지다, 분산하다 5. 가르다, 분할하다(分割--) 6. 늘어놓다 7. 만나다, 맞부딪다 8. 잃다, 버리다 9. 지나다, 겪다 10. 근심 11. 성(姓)의 하나 13.... [부수]隹(새추)

塊 덩어리 괴  1. 덩어리 2. 흙덩이 3. 흙 4. 뭉치(한지를 세는 단위) 5. 고독(孤獨)한 모양 6. 편안(便安)한 모양 7. 홀로 8. 편안하다(便安--) 9. 크다 10. 우뚝하다(=魁) 11. 드리다, 선물하다(膳物--)(=餽) [부수]土(흙토)

蒙 어두울 몽  1. (사리에)어둡다 2. 어리석다 3. 어리다 4. 무릅쓰다 5. 덮다 6. 받다 7. 속이다 8. 입다 9. 괘(卦)의 이름 10. 몽골(Mongol) [부수]艹(초두머리)

窢 역풍 부는 소리 획  1. 역풍(逆風) 부는 소리 2. 빠른 모양 [부수]穴(구멍혈)

魭 자라 원,모나지 않을 완  1. 자라(자랏과의 동물) 2. 큰 자라 3. 영원(蠑螈: 도롱뇽과에 속하는 양서류) 4. 별의 이름 a. 모나지 않다 (완) [부수]魚(물고기어)

韙 옳을 위  1. 옳다 2. 바르다 3. 좋다 [부수]韋(가죽위)

槪 대개 개  1. 대개(大槪: 대부분) 2. 절개(節槪ㆍ節介) 3.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4. 대강(大綱), 대략(大略) 5. 평목 6. 평미레(平--: 말이나 되에 곡식을 담고 그 위를 평평하게 밀어 고르게... [부수]木(나무목)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10


353` 법가(法家)의 사상 (잡편:33.천하,10) 

- 장자(잡편) ; 제33편 천하[10]- 

공정하여 편벽 되지 않고 평이하므로 사심을 갖지 않고, 모든 관계를 끊고 주로 내세우는 것이 없으며, 사물을 따르고 자기와 남의 구별을 세우지 않는다. 여러 가지 일에 대하여 생각하고 근심하려 하지 않고, 지혜로써 계책을 쓰지 않는다. 외물에 대하여 자기 위주로 가리는 것이 없으며, 외물과 어울려 함께 행동한다. 

옛날의 도술을 닦은 사람들 중에 이러한 입장을 견지한 사람이 있었다. 팽몽과 전변과 신도가 그런 학설을 듣고 좋아했다. 그들은 만물은 모두 평등한 것임을 첫째로 내세우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하늘이 사람을 덮어주기는 하지만 위에 실어주지는 못한다. 땅은 사람을 위에 실어주기는 하지만 덮어주지는 못한다. 위대한 도는 모든 것을 포용하지만 그것을 말로 표현하지는 못한다.” 

그들은 만물에는 가능한 것도 있지만 불가능한 것도 있음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자기 생각에 따라 선택을 하게 되면 모든 물건에 공평할 수 없고, 말로써는 도를 다 표현할 수 없다. 도는 모든 것을 남김없이 포용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10]- 

公而不黨, 易而无私, 決然无主, 趣物而不兩, 不顧於慮, 不謀於知, 於物无擇, 與之俱往, 古之道術有在於是者. 彭蒙田騈愼到聞其風而悅之. 齊萬物以爲首, 曰:「天能覆之而不能載之, 地能載之而不能覆之, 大道能包之而不能辯之.」 知萬物皆有所可, 有所不可, 故曰:「選則不徧, 敎則不至, 道則无遺者矣.」 

(공이불당, 역이무사, 결연무주, 취물이불량, 불고어려, 불모어지, 어물무택, 여지구왕, 고지도술유재어시자, 맹몽전병신도문기풍이열지. 제만물이위수, 왈:[천능부지이불능재지, 지능재지이불능부지, 대도능포지이불능변지.] 지만물개유소가, 유소불가, 고왈:[선즉불편, 교즉부지, 도즉무유자의.])


法家 제자백가의 하나. 법가는 전국시대에 출현해서 유가의 자연법적인 예에 대해 실정법적인 법의 우위를 주장했다. 예(禮)가 지연적ㆍ혈연적 공동체를 결합하는 것이었지만, 춘추 중기 이후의 생산력의 발전에 의한 공동체의 붕괴는 예를 대신한 법에 의한 지배를 요구했다. 이 사실을 간파한 법가의 사상가들은 한결같이 발전적 역사관을 갖고 시대에 부응하는 지배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다. 거기에는 또 하나의 인간관이 있다. 즉 법의 실질은 상과 벌이지만, 법의 유효성의 전제는, 인간이 욕망의 충족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그것은 또한 상벌에 의해 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견해이다.

이 역사관ㆍ인간관에 의거하여 군주의 일원적 지배와 부국강병을 달성하는 방법이 법가 이론의 중추가 된다. 위(魏)의 문후(文侯)로 일했던 이리(李理, B.C. 445~396)는 농업 정책에 개혁을 꾀하는 법령을 편찬하고, 상앙(, B.C. ? ~338)은 법령을 편집ㆍ공개하여 그에 따른 신상필벌(信賞必罰)을 단행, 부국강병책을 이루었다. 신불해(申不害, B.C. ? ~341)는 독특한 술론(術論)을 지녔는데, 그 술(術)이란 군주가 뜻하는 바를 신하가 모르게 하여 상벌의 위력으로써 신하로 하여금 그 능력을 다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신도(愼到, 생몰년 미상)는 인간 사회의 권위를 중시하여 권위에 의해 세(勢)를 이용할 때야말로 사람은 자기의 능력에 관계없이 타인을 제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비자(韓非子)는 상앙의 법, 신불해의 술, 신도의 세를 비판 종합하여 법가 이론을 완성하였다. 이사(李斯, B.C. 280년경~208)는 한비자의 이론을 전면적으로 계승하여 진(秦)나라의 지배에 구체적으로 적용했다. 한(漢)나라도 표면적으로는 유교를 국교로 한 덕치주의를 표방했지만 그 내실은 법치주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법가 [法家]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黨 무리 당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한동아리 2. 마을, 향리(鄕里) 3. 일가(一家), 친척(親戚) 4. 바(所), 곳, 장소(場所) 5.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아마도 6. 거듭, 빈번히(頻繁-) 7.... [부수]黑(검을흑)

決 결단할 결,빠를 혈  1. 결단하다(決斷--), (승부를)가리다 2. 결정하다(決定--), 분별하다(分別--), 판단하다(判斷--) 3. 과감하다(果敢--) 4. 틔우다, 흐르게 하다 5. 터지다, 열리다 6. 자르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부수]氵(삼수변)

兩 두 량,두 양,냥 냥,냥 양  1. 두, 둘 2. 짝, 쌍 3. 두 쪽 4. 동등(同等)한 것 5. 기량(技倆ㆍ伎倆), 기능(機能) 6. 수레를 세는 단위(單位). 50승(乘) 7. 대(隊: 편제 단위. 25인) 8. 무게의 단위(單位) 9. 필(길이의 단위) 10....[부수]入(들입)

慮 생각할 려,생각할 여,사실할 록,사실할 녹  1. 생각하다 2. 이리저리 헤아려 보다 3.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4. 걱정하다 5. 어지럽게 하다 6. 맺다, 연결하다 7. 꾀하다 8. 흩뜨리다(흩어지게 하다) 9. 생각 10. 계획(計劃ㆍ計畫)... [부수]心(마음심)

往 갈 왕  1. 가다 2. (물품을)보내다, 보내 주다 3. 향하다(向--) 4. 과거(過去) 5. 옛날, 이미 지나간 일 6. 이따금 7. 일찍 8. 언제나 9. 뒤, 이후(以後) [부수]彳(두인변)

彭 성씨 팽,곁 방  1. 성(姓)의 하나 2. 땅의 이름 3. 나라의 이름 4. 부풀어 오르다, 불룩해지다 5. 띵띵하다(살이 몹시 찌거나 붓거나 하여 아주 팽팽하다) 6. 북치는 소리 a. 곁, 옆 (방) b. 방패(防牌ㆍ旁牌) (방) c.... [부수]彡(터럭삼)

騈 나란히 할 병,나란히 할 변  1. 나란히 하다 2. 늘어놓다 3. 늘어서다 4. 두 말이 한 멍에 매다 5. 패를 짓다 6. 굳은살, 혹(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어리) 7. 사물(事物)의 형용(形容) 8. 이웃 9. 땅의 이름 a. 나란히 하다 (변)... [부수]馬(말마)

覆 다시 복,덮을 부  1. 다시 2. 도리어 3. 엎어지다 4. 넘어지다 5. 되풀이하다 6. 사뢰다(웃어른에게 말씀을 올리다) 7. 알리다 8. 배반하다(背反ㆍ背叛--) a. 덮다 (부) b. 퍼지다 (부) c. 노리다 (부) d. 덮개 (부) e.... [부수]襾(덮을아)

辯 말씀 변,두루 미칠 편  1. 말씀 2. 이리저리 둘러대는 말 3. 문체(文體)의 이름 4. 말을 잘하다 5. (말에)조리(條理)가 있다 6. 교묘(巧妙)하게 말하다 7. 말다툼하다, 논쟁하다(論爭--) 8. 다투다, 변론하다(辯論--) 9. 말하다,... [부수]辛(매울신)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9


352` 명가 사상의 장단점 (잡편:33.천하,9) 

- 장자(잡편) ; 제33편 천하[9]- 

그들은 지나칠 정도로 남을 위하며, 자신을 위하려는 생각은 극히 적다. 그들은 말한다. 

“사람의 정욕이 적어지기만 한다면 하루에 다섯 되의 밥만 먹으면 만족할 것이다. 우리가 선생으로 받드는 온 세상 사람들이 배불리 먹지 못할까봐 두렵기만 하다. 제자나 마찬가지인 나 자신은 비록 굶주리는 한이 있더라도 천하를 잊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밤낮으로 쉬지 않고 노력하며 말했다. 

“우리는 반드시 세상을 제대로 살리려 한다. 세상을 구하려는 사람들에게 세상 사람들이 오만하게 대하기야 하겠는가?” 

그리고 이런 말도 했다. 

“군자는 사물을 자세히 살피어 따져서는 안되며, 자신이 물건에 이끌려서도 안 된다.” 

그들은 천하에 이롭지도 않은 것을 자세히 밝히는 것은 그대로 두는 것보다 못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들은 공격을 금하고 전쟁을 없애는 것으로써 외면을 삼고, 정욕을 적게 줄인다는 것으로써 내면을 삼고 있다. 그들 주장에는 작고 큰 것과 가늘고 굵은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행동은 결국 여기에서 끝나게 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9]- 

雖然, 其爲人太多, 其自爲太少. 曰:「請欲固置五升之飯足矣.」 先生恐不得飽, 弟子雖飢, 不忘天下. 日夜不休, 曰:「我必得活哉!」 圖傲乎救世之士哉! 曰:「君子不爲苛察, 不以身假物,」 以爲无益於天下者, 明之不如己也. 以禁攻寢兵爲外, 以情欲寡淺爲內, 其小 大精粗, 紀行適至是而止. 

(수연, 기위인태다, 기자위태소. 왈:[청욕고치오승지반족의.] 선생공부득포, 제자수기, 불망천하. 일야불휴, 왈:[아필득활재!] 도오호구세지사재! 왈:[군자불위가찰, 불이신가물,] 이위무익어천하자, 명지불여기야. 이금공침병위외, 이청욕과천위내, 기소 대정조, 기행적지시이지.)


固 굳을 고  1. 굳다, 단단하다 2. 굳어지다, 굳히다 3. 완고하다(頑固--), 고루하다(固陋--) 4. 우기다(억지를 부려 제 의견을 고집스럽게 내세우다) 5. 독점하다(獨占--) 6. 가두다, 감금하다(監禁--) 7. 진압하... [부수]囗(큰입구몸)

升 되 승,오를 승  1.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2. 새(직물의 날실 80올) 3. 64괘의 하나 4. 오르다(=昇), 떠오르다 5. (벼슬을)올리다 6. 나아가다 7. 천거하다(薦擧--) 8. 태평하다 9. 융성... [부수]十(열십)

恐 두려울 공  1. 두렵다, 두려워하다 2. 무서워하다 3. 공갈하다(恐喝--) 4. 위협하다(威脅--),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5. 염려하다(念慮--), 조심하다 6. 두려움 7. 아마도 [부수]心(마음심)

圖 그림 도  1. 그림 2. 도장(圖章) 3. 서적(書籍) 4. 책(冊) 5. 규칙(規則) 6. 그리다 7. 베끼다 8. 꾀하다 9. 대책(對策)과 방법(方法)을 세우다 10. 꾀하여 손에 넣다 11. 헤아리다 12. 계산하다(計算--) 13. 세다... [부수]囗(큰입구몸)

傲 거만할 오  1. 거만하다(倨慢--) 2. 오만하다(傲慢--) 3. 교만하다(驕慢--) 4. 날뛰다 5. 업신여기다 6. 멸시하다(蔑視--) 7. 나가서 놀다 [부수]亻(사람인변)

淺 얕을 천,물을 끼얹을 전  1. 얕다 2. 엷다 3. 부족하다(不足--) 4. 미숙하다(未熟--) 5. 견문(見聞)이 좁다 6. 고루하다(固陋--) 7. 간명하다(簡明--) 8. 짧다 9. 쉽다 10. 연하다(軟--: 재질이 무르고 부드럽다) 11. 평이하다(平易--)... [부수]氵(삼수변)

精 정할 정,찧을 정  1. 정하다(精--: 정성을 들여서 거칠지 아니하고 매우 곱다) 2. 깨끗하다 3. 정성스럽다(精誠---) 4. 찧다(쌀을 곱게 쓿다) 5. 뛰어나다, 우수하다(優秀--) 6. 가장 좋다, 훌륭하다 7. 총명하다(聰明--),... [부수]米(쌀미)

粗 거칠 조  1. 거칠다 2. 크다 3. 대략(大略) 4. 대강(大綱) [부수]米(쌀미)

精粗 정조 정밀(精密)한 것과 거친 것

適 맞을 적  1. 맞다 2. 마땅하다 3. 가다 4. 시집가다(媤---) 5. 즐기다 6. 꾸짖다 7. 전일하다(專---: 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쓰다) 8. 마침 9. 맏아들 10. 큰마누라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Directed by
  • Éric Summer
  • Éric Warin
Produced by
  • Laurent Zeitoun
  • Yann Zenou
  • Nicolas Duval Adassovsky
  • André Rouleau
  • Valérie d'Auteuil
Written by
  • Éric Summer
  • Laurent Zeitoun
  • Carol Noble
Starring
Music byKlaus Badelt
CinematographyJericca Cleland
Edited byYvann Thibaudeau
Production
companies
  • Quad Productions
  • Main Journey
  • Caramel Film
Distributed by
Release date
  • 19 October 2016(Mon premier Festival)
  • 14 December 2016(France)
  • 24 February 2017 (Canada)
Running time
89 minutes[1]
CountryCanada
France
LanguageEnglish
Budget$30 million[2]
Box office$56 million[3]



몇 년 전에 즐겁게 보았던 라따뚜이가 생각난다. 프랑스가 배경이라서 그럴까? 아니면 나오는 캐릭터의 느낌이나 전체적인 색상이나 흐름이 비슷해서일까?

Felicie는 Victor와 함께 파리 근처의 시골에 있는 고아원에서 함께 자란 친구 사이. 어릴때 부터 춤을 좋아하고 발레리나가 되는 것이 꿈인 소녀.

그리고 Victor는 발명가가 되는 것이 꿈인 소년.

드디어 고아원을 탈출하여 파리로 왔는데 참 운 좋게도, 발레 극장에 청소부로 일하는 절름발이 아줌마와 동거를 하게 되고 청소일도 도우면서 발레리나의 꿈을 키워 가는데, 운 좋게도 주인집으로 온 발레리나 선출 티켓(?)을 가로 채게 되어 발레 학교에 잠입, 그곳에서 정식으로 발레를 배우게 된다.

그리고 운 좋게도 함께 지내는 절름발이 아줌마가 당대 최고의 발레리나였고, 즉 최고의 발레 선생님에게서 배우게 되고,

비록 가난하고 비천한 고아였지만 어릴때 부터 품어온 꿈과 타고난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부유하고 부족할 것없는 환경에서 발레를 배워온 주인집 딸과 경쟁하여 이겨서 호두까기 인형의 발레리나로 무대에 선다는 이야기...

내용처럼 화면도 너무도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특히 발레 동작이나 움직임의 표현이 참 좋은 영화였다. ^^;;;


2017. 4.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hape of Voice ( 聲の形), 2016]  (0) 2017.05.25
[A Dog's Purpose, 2017]  (0) 2017.05.08
[The Ledge, 2011]  (0) 2017.04.11
[Toni Erdmann, 2016]  (0) 2017.03.23
[Moana, 2016]  (0) 2017.03.15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  8


351` 명가(名家)의 사상 (잡편:33.천하,8) 

- 장자(잡편) ; 제33편 천하[8]- 

세속적인 일에 방해받지 않고, 물건을 장식하지 아니하고, 남에게 가혹하게 하지 않고, 여러 사람들에게 거스르지 않는다. 천하가 안락하여 백성들이 잘 생활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나와 모든 사람들의 의식이 풍족해져야만 만족한다. 이러한 생각으로 자기의 마음을 깨끗이 하려는 것이다

옛날 도술을 닦은 사람들 중에 이러한 경향을 지녔던 사람들이 있었다. 송견과 윤문이 이러한 학설을 듣고 좋아했다. 그들은 위아래가 평평한 화산의 관을 만들어 씀으로써 자기들의 마음이 균등히 고름을 표시했다. 

그들은 만물을 놓고서 그것들의 한계를 구별하는 데서 학문을 출발했다. 그리고 마음이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것에 이름을 붙여 마음의 덕이라 했다. 서로 친숙함으로써, 다 같이 기쁘게 함으로써 온 세상을 조화시키고자 했다. 그리고 정욕을 적게 갖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삼았다. 모욕을 당하여도 치욕으로 생각하지 않고 백성들 사이의 싸움을 없애려 했다. 공격을 금하고 무기를 없앰으로써 세상의 전쟁을 없애려 했다. 

이러한 주장을 온 천하에 두루 유행시키려고 위로는 설교하고 아래로는 가르쳤다. 비록 세상 사람들이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쉬지 않고 억지로 시끄럽게 떠들어댔던 것이다. 그러므로 위아래 사람들이 모두 싫어하는데도 억지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운다고 말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3篇 天下[8]- 

不累於俗, 不飾於物, 不苛於人, 不忮於衆, 願天下之安寧以活民命, 人我之養畢足而止, 以此白心, 古之道術有在於是者. 宋鈃尹文聞其風而悅之. 作爲華山之冠以自表, 接萬物以別宥, 爲始. 語心之容, 命之曰心之行, 以聏合驩, 以調海內, 請欲置之以爲主. 見侮不辱, 救民之鬪, 禁攻寢兵, 救世之戰. 以此周行天下, 上說下敎, 雖天下不取, 强聒而不舍者也, 故曰上下見厭而强見也. 

(불루어속, 불식어물, 불가어인, 불기어중, 원천하지안녕이활민명, 인아지양필족이지, 이차백심, 고지도술유재어시자. 송견윤문문기풍이열지. 작위화산지관이자표, 접만물이별유, 위시. 어심지용, 명지왈심지행, 이이합환, 이조해내, 청욕치지이위주. 견모불욕, 구민지투, 금공침병, 구세지전. 이차주행천하, 상설하교, 수천하불취, 강괄이불사자야, 고왈상하견염이강견야.)


累 여러 루,여러 누,자주 루,자주 누,벌거벗을 라,벌거벗을 나,땅 이름 렵,땅 이름 엽  단어장 추가

1. 여러 2. 자주 3. 묶다 4. 거듭하다 5. 포개다 6. 폐를 끼치다 7. 더럽히다 8.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9. 폐, 누 10. 연좌 11. 연루(連累ㆍ緣累) a. 벌거벗다 (라) b. 땅의 이름 (렵) [부수]糸(실사)[총획]11획

苛 가혹할 가  1. 가혹하다(苛酷--), 모질다 2. 까다롭다 3. 번거롭다 4. 꾸짖다, 책망하다(責望--) 5. 가렵다 6. 앓다 7. 위중하다(危重--) 8. 어지럽히다 9. 서두르다 10. 병(病) 11. 옴(옴진드기가 기생하여 일으키는... [부수]艹(초두머리)

苛斂誅求 가렴주구  가혹(苛酷)하게 세금(稅金)을 거두거나 백성(百姓)의 재물(財物)을 억지로 빼앗음

忮 해칠 기  1. 해치다(害--), 질투하다(嫉妬ㆍ嫉妒--) 2. 거스르다 3. 흉악하다(凶惡ㆍ兇惡 --), 사납다 4. 뜻이 굳다, 고집스럽다(固執---) 5. 원망하다(怨望--) 6. 악(惡) [부수]忄(심방변)

願 원할 원  1. 원하다(願--) 2. 바라다 3. 빌다, 기원하다(祈願--) 4. 성실하다(誠實--) 5. 공손하다(恭遜--) 6. 정중하다(鄭重--) 7. 사모하다(思慕--) 8. 부러워하다 9.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10.... [부수]頁(머리혈)

畢 마칠 필  1. 마치다, 끝내다 2. 다하다 3. 완성하다 4. 드리다 5. 빠르다, 날렵하다 6. 그물 7. 간찰(簡札: 간지(簡紙)에 쓴 편지) 8. 슬갑, 조복 9. 달의 이름 10. 마침내 11. 다, 모두 [부수]田(밭전)

鈃 사람 이름 견,술 그릇 형  1. 사람의 이름 a. 술 그릇 (형) b. 목이 긴 술병(-甁) (형) c. 국을 담는 제기(祭器) (형) [부수]金(쇠금)

宥 너그러울 유  1. 너그럽다 2. 용서하다(容恕--) 3. 너그럽고 어질다 4. 돕다, 보우하다(保佑--) 5. 보좌하다(補佐ㆍ輔佐--) 6. 사로잡히다, 국한되다(局限--) 7. (식사나 술을)권하다(勸--) 8. 심원하다(深遠--), 넓고... [부수]宀(갓머리)

聏 화할 이,부끄러워할 뉵,부끄러워할 육  1. 화하다(和--: 서로 뜻이 맞아 사이 좋은 상태가 되다) 2. 빛깔이 짙은 모양 a. 부끄러워하다 (뉵) [부수]耳(귀이)

驩 기뻐할 환,말 이름 환  1. 기뻐하다 2. 즐거워하다 3. 사이좋게 지내다 4. 보다 5. 관찰하다 6. 환심, 기쁨(=歡) 7. 말의 이름 8. 말이 즐겁게 노는 모양 [부수]馬(말마)

侮 업신여길 모  1. 업신여기다 2. 조롱하다(嘲弄--) [부수]亻(사람인변)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 [부수]辰(별진)

攻 칠 공  1. 치다, 때리다 2. 책망하다(責望--) 3. 닦다 4. 거세하다(去勢--) 5. 공격하다(攻擊--) 6. 굳다 7. 다스리다 8. 불까다 9. 짓다 [부수]攵(등글월문)

寢 잘 침  1. 자다 2. 쉬다, 휴식하다(休息--) 3. 그치다 4. 눕다 5. 병상에 눕다 6. 자리에 눕다 7. 앓아 눕다 8. 못생기다 9. 잠 10. 방, 안방 11. 사당(祠堂) 12. 능침(陵寢), 능묘(陵墓) [부수]宀(갓머리)

聒  guō (guā) 떠들썩할 괄  1. 떠들썩하다 2. 어리석은 모양 [부수]耳(귀이)

厭 싫어할 염,누를 엽,빠질 암  1. 싫어하다 2. 물리다 3. 조용하다 4. 가리다 5. 막다 6. 가위눌리다(움직이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다) a. 누르다 (엽) b. 따르다 (엽) c. 마음에 들다 (엽) d.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엽)... [부수]厂(민엄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Gallery - Project > 1cut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e evening  (0) 2017.06.12
무제  (0) 2017.06.09
Springtime  (0) 2017.04.20
one day in spring  (0) 2017.04.20
따뜻했던 어느 겨울 날 밤  (1) 2017.02.27

'Gallery - Project > 1cut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제  (0) 2017.06.09
春時  (1) 2017.04.22
one day in spring  (0) 2017.04.20
따뜻했던 어느 겨울 날 밤  (1) 2017.02.27
a texture in winter  (2) 2017.02.14

'Gallery - Project > 1cut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時  (1) 2017.04.22
Springtime  (0) 2017.04.20
따뜻했던 어느 겨울 날 밤  (1) 2017.02.27
a texture in winter  (2) 2017.02.14
화성  (0) 2017.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