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福智無比分


須菩堤, 若三千大千世界中 所有諸須彌山王 如是等七寶聚 有人持用布施 若人以此般若波羅蜜經 乃至 四句偈等 受持讀誦 爲他人說 於前福德 百分不及一 百千萬億分乃至 算數比喩 所不能及.               


(수보리, 약삼천대천세계중 소유제수미산왕 여시등칠보취 유인지용보시 약인이차반야바라밀경 내지 사구게등 수지독송 위타인설 어전복덕 백분불급일 백천만억분내지 산수비유 소불능급.)


“수보리야, 만약에 삼천대천 세계가운데이 있는 모든 수미산 왕만한 칠보 무더기를 가지고 어떤사람이 보시를 하였을지라도, 만약 다른사람이 이 반야바라밀경의 사구게 같은 것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고하여 남을 위하여 말하여 준다면, 앞의 복덕으로는 그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며, 백천만억분 내지 어떠한 숫자의 비유로도 미치지 못할것이니라.”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부수]耳(귀이)


[須彌山 ]고대 인도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는 상상의 산.

수미·소미루(蘇迷漏) 등은 산스크리트의 수메루(Sumeru)의 음사(音寫)이며, 약해서 '메루'라고도 하는데, 미루(彌樓:彌漏) 등으로 음사하고 묘고(妙高)·묘광(妙光) 등으로 의역한다. 이것이 불교에 도입되어 오랫동안 불설(佛說)로서 신봉되어 왔다. 세계의 최하부를 풍륜(風輪)이라 하고 그 위에 수륜(水輪)·금륜(金輪:地輪)이 겹쳐 있으며, 금륜 위에 구산팔해(九山八海), 즉 수미산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8개의 큰 산이 둘러싸고 있고, 산과 산 사이에는 각각 대해가 있는데 그 수가 8개라고 한다.

또한 가장 바깥쪽 바다의 사방에 섬(四洲)이 있는데, 그 중 남쪽에 있는 섬, 즉 남염부제(南閻浮提)에 인간이 살고 있다고 한다. 수미산은 4보(寶), 즉 황금·백은(白銀)·유리(瑠璃)·파리(玻璃)로 이루어졌고, 중허리의 사방에 사천왕(四天王)이 살고 있으며, 정상에는 제석천(帝釋天)이 주인인 33천(天)의 궁전이 있고, 해와 달은 수미산의 허리를 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미산 [須彌山] (두산백과)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法身非相分  (0) 2017.06.12
25 化無所化分  (0) 2017.06.12
23 淨心行善分  (0) 2017.06.10
22 無法可得分  (0) 2017.06.10
21 非說所說分  (0) 2017.06.10

23 淨心行善分


復次須菩堤, 是法平等 無有高下 是名 阿耨多羅三藐三菩堤. 以無我無人無衆生無壽者 修一切善法 卽得阿耨多羅三藐三菩堤. 須菩堤, 所言善法者 如來說 卽非善法 是名善法.              


(부차수보리, 시법평등 무유고하 시명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 수일체선법 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소언선법자 여래설 즉비선법 시명선법.)

      

“다시 또 수보리야, 이 법이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으니 그러므로 그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니라.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는 마음가짐으로서 일체의 착한 법을 닦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착한 법이란것은 여래의 말로는 그것이 곧 착한법이 아니라, 그 이름이 착한 법이니라.”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化無所化分  (0) 2017.06.12
24 福智無比分  (0) 2017.06.10
22 無法可得分  (0) 2017.06.10
21 非說所說分  (0) 2017.06.10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22 無法可得分


須菩堤 白佛言 世尊, 佛得阿耨多羅三藐三菩堤 爲無所得耶. 佛言 如是如是 須菩堤, 我於阿耨多羅三藐三菩堤 乃至 無有少法可得 是名阿耨多羅三藐 三菩堤.   


(수보리 백불언 세존, 불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위무소득야. 불언 여시여시 수보리, 아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 내지 무유소법가득 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씀 올리기를,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은 바 없음이 되오리까?” 하였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 하시기를,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수보리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있어서 조그마한 법도 얻음이 없으니 그 이름이 그것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하는 것 이니라.”


耶 어조사 야,간사할 사  1. 어조사(語助辭) 2. 그런가 3. 아버지(=爺) 4. 예수, 야소교(耶蘇敎) a.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邪) (사) b.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사) [부수]耳(귀이)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福智無比分  (0) 2017.06.10
23 淨心行善分  (0) 2017.06.10
21 非說所說分  (0) 2017.06.10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19 法界通化分  (0) 2017.06.09

21 非說所說分


須菩堤 汝勿謂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作是念. 何以故 若人言 如來有所說法 卽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須菩堤 說法者無法可說 是名說法. 爾時, 慧明 須菩堤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須菩堤, 彼非衆生 何以故 須菩堤, 衆生衆生者 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수보리 여물위여래작시념 아당유소설법 막작시념. 하이고 약인언 여래유소설법 즉위방불 불능해아소설고. 수보리 설법자무법가설 시명설법. 이시, 혜명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어미래세 문설시법 생신심부. 불언 수보리, 피비중생 하이고 수보리, 중생중생자 여래설 비중생 시명중생.)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다음과 같은 생각을, 곧 「내가 마땅히 설법을 할바가 있다」하리라고 이르지 말리. 그런 생각을 하지 말라. 무슨 까닭이냐 하면, 만약에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설법한 바가 있다.’ 하면 그것은 곧 부처를 비방하는 바가 될 것이니, 이는 내가 말하는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까닭이니라. 수보리야, 설법이라는것은 설할 법이 없는 것이로되 다만 그 이름을 설법이라 할 따름이니라.”       

그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씀 올리기를, “세존이시여, 자못 많은 중생들이 내세에 있어서 이 설법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사옵니까?” 하고 물으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수보리야, 그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이 아님도 아니니, 왜냐하면 ‘중생 중생’ 하는것은 여래의 말로는 중생이 아니라, 그 이름이 중생이기 때문이니라.”                              


※ 頗有衆生: 대단히 많은 중생 이라는 뜻.

謗 헐뜯을 방  1. 헐뜯다 2. 나무라다 3. 비방하다(誹謗--) 4. 대답하다(對答--) 5. 헐뜯는 말 [부수]言(말씀언)

頗 자못 파  1. 자못 2. 꽤, 상당히(相當-) 3. 매우, 퍽 4. 몹시, 대단히 5. 비뚤어지다 6. 편파적이다(偏頗的--: 공정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다) 7. 불공평하다(不公平--) 8. 치우치다 9. 반듯하지 못하다 [부수]頁(머리혈)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淨心行善分  (0) 2017.06.10
22 無法可得分  (0) 2017.06.10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19 法界通化分  (0) 2017.06.09
18 一體同觀分  (0) 2017.06.08

'Gallery - Project > 1cut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책길에서  (0) 2017.06.22
one evening  (0) 2017.06.12
春時  (1) 2017.04.22
Springtime  (0) 2017.04.20
one day in spring  (0) 2017.04.20

20 離色離相分


須菩堤, 於意云何 佛可以具足色身見不. 不也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見 何以故 如來說具足色身 卽非具足色身 是名具足色身.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可以具足諸相見不. 不也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諸相見 何以故 如來說 諸相具足 卽非具足 是名諸相具足.

        

(수보리, 어의운하 불가이구족색신견부. 불야세존 여래 불응이구족색신견 하이고 여래설구족색신 즉비족색신 시명구족색신.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가이구족제상견부. 불야세존 여래 불응이구족제상으견 하이고 여래설 제상구족 즉비구족 시명제상구족.)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색신(육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부처로 보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색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여래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왜냐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기를 「색신을 다 갖추고 있다고 하는 것은 그것이 곧 색신을 다 갖추고 있는것이 아니다」 라고 말씀 하셨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가 모든 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부처로 보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마땅히 여래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기를, 「모든 상을 갖추고 있다는것은 그것이 곧 갖추고 있는것이 아니라, 모든 상을 갖추고 있다고 이름하여 말하는 것이다.」 라고 말씀 하셨기 때문입니다. ” 


※ 色身: 빛깔과 모양이 있는 몸, 즉 육신을 말함.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無法可得分  (0) 2017.06.10
21 非說所說分  (0) 2017.06.10
19 法界通化分  (0) 2017.06.09
18 一體同觀分  (0) 2017.06.08
17 究竟無我分  (0) 2017.06.07

19 法界通化分 


須菩堤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 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以是因緣 得福多不. 如是世尊 此人 以是因緣 得福甚多. 須菩堤, 若福德有實 如來佛說 得福德多 以福德無故 如來說 得福德多.  


(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만삼천대천 세계칠보 이용보시 시인 이시인연 득복다부. 여시세존 차인이시인연 득복심다. 수보리, 약복덕유실 여래불설 득복덕다 이복덕이무고 여래설 득복덕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만약 어떤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서 보시를 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해서 얻는 복이 많겠느냐, 어떻겠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해서 얻는 복이 매우 많습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을 것이라고 말하지 않겠지만 복덕이라는것이 없기 때문에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을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법계: 佛法의 세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非說所說分  (0) 2017.06.10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18 一體同觀分  (0) 2017.06.08
17 究竟無我分  (0) 2017.06.07
16 能淨業障分  (0) 2017.06.02

18 一體同觀分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如是世尊, 如來有肉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如是世尊, 如來有天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蕙眼不. 如是世尊 如來有蕙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法眼不. 如是世尊 如來有法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佛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世尊, 如來說是沙. 須菩堤,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說世界如是 寧爲多不. 甚多世尊 佛告須菩堤 爾所國土中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何. 須菩堤,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부. 여시세존, 여래유육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천안부. 여시세존, 여래유천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혜안부. 여시세존 여래유혜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법안부. 여시세존 여래유법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불안. 여시세존, 여래유불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항하중소유사 불설시사부. 여시세존, 여래설시사. 수보리, 어의운하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항하 시제항하소유사수 불설세계여시 영위다부. 심다세존 불고수보리 이소국토중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실지 하이고. 여래설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소이자하. 수보리,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육체의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육체의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은 어떠하나, 여래에게 하늘의 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하늘의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나, 여래에게 슬기의 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슬기의 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법의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여래에게 법의 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부처의 눈이 있느냐?” “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부처의 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그러면 네 생각에 이것은 또 어떠하나,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과같이라고 부처가 이 모래알을 말한적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이 모래알을 말씀하신일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그러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만약에 한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 그 모래알의 수효만큼의 항하가 있어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알만큼의 수효대로 부처님의 세계가 있다면, 정녕 그것이 많다 하겠느냐, 그렇지 않다 하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하고 대답하니, 

부처님께서 수보리 에게 일러 말씀 하시기를, “그렇게 많은 그 부처님의세계 가운데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가지가지의 마음을 여래는 속속들이 다 알고 있느니라. 그것이 무슨 까닭이냐 하면,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이 다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과거, 현재, 미래심: 과거의 마음은 이미 지나가고 없는 것이며, 미래의 마음은 아직 오지 않았으니 역시 없는 것이며, 현재의 마음 이란것은 -현재란 과거와 미래가갈라지는 싯점-의 순간을 현재라고 하는것이니 모든것이 空한 것임.    


蕙 풀 이름 혜  1. 풀의 이름 2. 혜초 [부수]艹(초두머리)

肉眼 ①불교(佛敎)에서 이르는 오안(五眼)의 하나. 육신(肉身)에 갖춰진 안구(眼球) ②안경(眼鏡)을 쓰지 않은 천생(天生)의 시력(視力). 맨눈 ③눈으로 보는 표면적(表面的)인 안식(眼識)

天眼 오안(五眼)의 하나. 원근(遠近)ㆍ전후(前後)ㆍ상하(上下)ㆍ주야(晝夜)를 자재로 볼 수 있는 눈

慧 슬기로울 혜  1. 슬기롭다, 총명하다(聰明--), 사리에 밝다 2. 교활하다(狡猾--), 간교하다(奸巧--) 3. 상쾌하다(爽快--), 시원스럽다 4. 슬기, 능력(能力) 5. 지혜(智慧ㆍ知慧) 6. 깨달음 [부수]心(마음심)



[五眼 ]

수행의 정도에 따라 갖추게 되는 다섯 가지 눈.

(1) 육안(肉眼). 가려져 있는 것은 보지 못하는, 범부의 육신에 갖추어져 있는 눈.

(2) 천안(天眼). 겉모습만 보고 그 본성은 보지 못하는, 욕계·색계의 천인(天人)이 갖추고 있는 눈.

(3) 혜안(慧眼). 현상의 이치는 보지만 중생을 구제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성문(聲聞)·연각(緣覺)의 눈.

(4) 법안(法眼). 모든 현상의 참모습과 중생을 구제하는 방법을 두루 아는 보살의 눈.

(5) 불안(佛眼).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부처의 눈.

[네이버 지식백과] 오안 [五眼]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五眼 ]

1) 육안(肉眼: 중생의 육신이 가진 눈), 

2) 천안(天眼: 색계(色界)의 사람이 가진 눈으로 멀고 가까움, 안과 밖,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볼 수 있다), 

3) 혜안(慧眼: 이승(二乘)의 사람의 눈으로 연기의 실상(實相)을 보는 지혜의 눈), 

4) 법안(法眼: 보살의 눈으로 중생을 제도키 위한 일체의 법문을 비춰보는 지혜의 눈), 

5) 불안(佛眼: 부처님의 눈으로 일체를 알며 일체를 비춰보는 눈으로 1)~4) 모두를 구비한 눈.

[네이버 지식백과] 오안 [五眼]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오안(五眼 사물을 파악하는 다섯 종류의 눈)

[출처: http://blog.naver.com/ichinen/150040166041]


 

불안(佛眼)을 빛내어 예지와 자비의 파동을

 

때로는 계절마다 각양각색의 모습을 보이는 나무와 집들이 늘어선 거리의 선명한 색채 등에

눈을 빼앗겨 무심코 멈추어 서는 일이 있다.  그것도 오로지 눈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 때는 느끼지 못하지만, 눈은 우리들의 생활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상처 등으로 안대를 하게 되면 눈을 가진 고마움을 절실히 깨닫게 되는 것이다.

 

먼 곳에서 생긴 일을 아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천리안 (千里眼)'이라 말하고,  

사람의 마음의 오저까지를 감지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도 그렇게 말한다. 

또한 사물의 진상을 명확히 볼 수 있는 예리한 마음을 '심안 (心眼)'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눈'이라는 말에는 단순히 사물의 형태나 색상을 구별하는 '육안(肉眼)'이란 의미 외에

인간 생명에 갖추어진 능력이나 지적인 힘 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불법(佛法)에서는 '오안'이라 하여 다섯 가지의 눈을 설하고 있다. 

즉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을 말한다.

 

육안(肉眼) 

인간의 보통의 눈.  가까이는 잘 보이지만 멀리는 잘 볼 수 없다. 

밤에 어두우면 보이지 않으며 뒤도 볼 수 없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The Physical Eye - Eye of ordinary people. 

Distinguishes color and form.

 

천안(天眼) 

천계(天界)에 구비된 눈으로서 가까이도 멀리도 낮에도 밤에도 볼 수 있는

찰지력(察知力) 또는 직감력을 뜻하는데, 천리안 등도 천안의 분류에 들어간다.


The Heavenly Eye - Also called the divine eye. 

Perceives things in the darkness, at a distance

or beyond the physical limits of obstructions.

 

혜안(慧眼) 

이승(二乘 성문.연각)이 공(空)이라는 생명의 일실상(一實相)을 보는 지혜의 눈이다. 

즉 사물에는 고정된 실상이란 것이 없이 항상 변화하고 있다고 보는 지혜이다. 

생명론적으로 말하면 풍부한 체험에 따른 예민한 판단력이 여기에 해당된다.


The Wisdom Eye - The ability of those in the two vehicles

to perceive that nothing has independent existence of its own,

and all phenomena are nonsubstantial.

 

법안(法眼) 

보살이 일체의 중생을 구제하려고 정법을 유포하기 위해 불법은 물론 삼라만상의

이치에 통달한 지혜의 눈이다.  일체의 만물이 갖는 특색을 살펴서 내재하는 힘을

끄집어 내는 힘이고 자비가 그 바탕이 된다.  혜안은 한 사람의 내면에 잠겨 있지만,

법안은 사회로 열린 눈이라 하겠다.


The Dharma Eye - The ability of bodhisattvas to perceive

the nature of all teachings in order to save the people.

 

불안(佛眼) 

시간적으로는 과거세.현세.미래세의 삼세에 걸치고, 공간적으로는 시방(十方)

즉 전우주에 이르기까지 하나도 남김 없이 바로 환히 볼 수 있는 부처의 눈이다. 

불안에 육안.천안.혜안.법안도 동시에 구비되어 있다.  이 불안에 의해

자재(自在)의 지혜와 자비가 충만되며 솟아오르는 생명의 환희와 약동이 넘쳐서

어떠한 장애나 난관도 타고 넘어 유유히 살아갈 수 있다.


The Buddha Eye - The ability to perceive the true nature of life 

spanning past, present and future.  

The Buddha eye includes all the other 4 eyes or perceptive faculties.  

In other words, Buddhas possess all 5 types of vision.

 

 

"법화경을 수지하는 자는 오안(五眼)을 자연히 모두 갖추느니라." (어서 1144쪽)

 

"These 5 types of vision are naturally acquired by one who upholds the Lotus Sutra" 

(Writings of Nichiren Daishonin Vo.1, p.683).

 

여기서 말씀하시는 법화경이란 문저독일본문(文底獨一本門)의 법화경 즉 南無妙法蓮華經

(남묘호렌게쿄)의 어본존을 말한다.  진지하게 어본존께 기원하고 홍교 실천에 면려할 때

자연히 오안이 구비된다고 단언하시고 있다.  얼마나 굉장한 일인가.

 

오안이란 무슨 특별한 초능력과는 다른 것이다.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직관이나

통찰력은 두말 할 것도 없고, 생명의 실상을 비추는 예지의 빛이나

주위를 따뜻하게 감싸는 자비의 파동이 바로 오안의 빛이다.

[출처] ⊙ 오안 (五眼) : 사물을 파악하는 5종의 눈|작성자 묘법지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19 法界通化分  (0) 2017.06.09
17 究竟無我分  (0) 2017.06.07
16 能淨業障分  (0) 2017.06.02
15 持經功德分  (0) 2017.06.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