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4
262`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는 것과 같다 (잡편:25.칙양,4)
- 장자(잡편) ; 제25편 칙양[4]-
위나라 혜왕 영이 제나라 위왕 모와 맹약을 맺었는데 제나라 위왕이 그 맹약을 배반했다. 위나라 혜왕은 화가 나서 사람들을 시켜 그를 찔러 죽이려 했다. 위나라 서수 공손연이 그 이야기를 듣고 부끄럽게 여기면서 말했다.
“임금님께서는 만승의 군주이신데도 한 남자를 시켜 원수를 갚으려고 하고 계십니다. 제게 이십만의 군사를 내려주시어 임금님을 위해 제나라를 공격하게 하여 주십시오. 그리하면 제나라 국민들을 사로잡고 제나라의 소와 말들을 끌어옴으로써 제나라 임금이 속이 타서 등창이 터지게 만들겠습니다. 그런 뒤에 그 나라를 빼앗아버리겠습니다. 제나라 장수 전기를 도망치게 만들고서 그의 등을 쳐서 척추를 부러뜨려 버리겠습니다.”
위나라의 계자는 이 이야기를 듣고서 부끄럽게 여기면서 말했다.
“열길 높이의 성을 쌓아놓았을 때, 그 열길 높이의 성을 다시 허물어버린다면 이것을 쌓은 일꾼들이 고생만 한 결과가 됩니다. 지금 전쟁이 일어나지 않은지 칠 년이 되었는데, 이것은 정치의 기반입니다. 공손연은 혼란을 일으키는 사람이니 그의 말을 들어서는 안됩니다.”
위나라 화자가 다시 이 말을 듣고서 추하게 생각하며 말했다.
“제나라를 정벌하자는 얘기를 하는 자는 혼란을 일삼는 사람입니다. 제나라를 정벌하지 말자고 말하는 자도 역시 혼란을 일삼는 사람입니다. 제나라를 정벌하자고 말하는 자와 제나라를 정벌하지 말자고 말하는 자가 혼란을 일삼는 자라고 말하는 자도 역시 혼란을 일삼는 자입니다.”
위나라 혜왕이 말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화자가 말했다. “임금님께서는 올바를 도를 추구하기만 하시면 그 뿐입니다.”
혜자가 그 말을 듣고서 대진인을 혜왕에게 소개했다. 대진인이 혜왕에게 말했다.
“임금님께서는 달팽이를 알고 계십니까?”
혜왕이 말했다. “알고 있습니다.”
대진인이 말했다. “달팽이의 왼쪽 뿔에 나라 하나가 있었는데 촉씨라 불렀습니다. 달팽이의 오른쪽 뿔에도 한 나라가 있었는데 만씨라고 불렀습니다. 그런데 이 두 나라가 땅을 서로 빼앗으려고 전쟁을 벌였습니다. 쓰러진 시체사 수만 명이나 되었고, 패배하여 도망치는 자들을 추격하여 십오일 만에야 되돌아 왔습니다.”
혜왕이 말했다. “그 무슨 허무맹랑한 이야기입니까?”
대진인이 말했다.
“저는 임금님께서 사실을 받다들이기를 바랍니다. 임금님께서는 사방과 하늘과 땅을 생각할 때 한계가 있다고 여기십니까?”
혜왕이 말했다. “한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진인이 말했다. “마음을 한계도 없는 경지에서 노닐게 할 줄 안다면 돌이켜 이 세상의 나라를 생각해 볼 때, 있는지 없는지도 모를 존재가 되지 않겠습니까?”
혜왕이 말했다. “그렇겠지요.”
대진인이 말했다. “이 세상에는 위나라가 있습니다. 위나라 가운데 또 양나라가 있습니다. 양나라 가운데 임금님이 계십니다. 임금님이 만씨와 다른 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혜왕이 말했다. “다를 것이 없겠군요.”
대진인이 나가자, 혜왕은 멍하니 자신도 잊은 듯이 있었다. 대진인이 나간 뒤 혜자가 찾아오자 혜왕이 말했다.
“그 손님은 대단한 사람이었습니다. 성인이라도 그만은 못할 것입니다.”
혜자가 말했다.
“피리를 불면 고운 피리소리가 나지만, 칼자루 끝에 뚫린 구멍을 불면 바람 소리만 날 뿐입니다. 요임금과 순임금은 사람들이 기리는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요와 순을 대진인에게 비교하여 얘기하면 입에서 나는 바람 소리에 불과한 존재가 될 것입니다. ”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4]-
魏瑩與田侯牟約, 田侯牟背之. 魏瑩怒, 將使人刺之.
犀首公孫衍聞而恥之曰:「君爲萬乘之君也, 而以匹夫從讐! 衍請受甲二十萬, 爲君攻之, 虜其人民, 係其牛馬, 使其君內熱發於背. 然後拔其國. 忌也出走, 然後抶其背, 折其脊.」
季子聞而恥之曰:「築十仞之城, 城者旣十仞矣, 則又壞之, 此胥靡之所苦也. 今兵不起七年矣, 此王之基也. 衍亂人, 不可聽也.」
華子聞而醜之曰:「善言伐齊者, 亂人也. 善言勿伐者, 亦亂人也. 謂伐之與不伐亂人也者, 又亂人也.」
君曰:「然則若何?」 曰:「君求其道而已矣!」
惠子聞之而見戴晉人. 戴晉人曰:「有所謂蝸者, 君知之乎?」
曰:「然.」
「有國於蝸之左角者曰觸氏, 有國於蝸之右角者曰蠻氏, 時相與爭地而戰, 伏尸數萬, 逐北旬有五日而後反.」
君曰:「噫! 其虛言與?」
曰:「臣請爲君實之. 君以意在四方上下有窮乎?」
君曰:「無窮.」
曰:「知遊心於無窮, 而反在通達之國, 若存若亡乎?」
君曰:「然.」
曰:「通達之中有魏, 於魏中有梁, 於梁中有王, 王與蠻氏辯乎?」
君曰:「無辯.」
客出而君惝然若有亡也.
客出, 惠子見. 君曰:.「客, 大人也, 聖人不足以當之.」
惠子曰:「夫吹筦也, 猶有嗃也. 吹劍首者, 吷而已矣. 堯舜, 人之所譽也. 道堯舜於戴晉人之前, 譬猶一吷也.」
(위영여전후모약, 전후모배지. 위영노, 장사인자지.
서수공손연문이치지왈:[군위만승지군야, 이이필부종수! 연청수갑이십만, 위군공지, 로기인민, 계기우마, 사기군내열발어배. 연후발기국. 기야출주, 연후질기배, 절기척.]
계자문이치지왈:[축십인지성, 성자개십인의. 즉우괴지, 차서미지소고야. 금병불기칠년의, 차왕지기야. 연란인, 불가청야.]
화자문이추지왈:[선언벌제자, 난인야. 선언물벌자, 역난인야. 위벌지여불벌난인야자, 우난인야.]
군왈:[연즉약하?] 왈:[군구기도이이의!]
혜자문지이견대진인. 대진인왈:[유소위와자, 군지지호?]
왈:[연.]
[유국어와지좌각자왈촉씨, 유국어와지우각자왈만씨, 시상여쟁지이전, 복호수만, 축북순유오일이후반.]
군왈:[희! 기허언여?]
왈:[신청위군실지. 군이의재사방상하유궁호?]
군왈:[무궁.]
왈:[지유심어무궁, 이반재통달지국, 약존약망호?]
군왈:[연.]
왈:[통달지중유위, 어위중유량, 어량중유왕, 왕여만씨변호?]
군왈:[무변.]
객출이군창연약유망야.
객출, 혜자견. 군왈:[객, 대인야, 성인부족이당지.]
혜자왈:[부취관야, 유유효야. 취검수자, 혈이이의. 요순, 인지소예야, 도요순어대진인지전, 비유일혈야.])
魏 나라 이름 위,빼어날 외 1. 나라의 이름 2. 대궐(大闕), 궁궐(宮闕) 3. 높다 4. 능(能)히 하다 5. 좋다 6. 성(姓)의 하나 a. 빼어나다 (외) b. 출중(出衆)한 모양 (외) c. 큰 모양 (외) [부수]鬼(귀신귀)
瑩 의혹할 형,밝을 영,옥돌 옥 1. 의혹하다(疑惑--: 의심하여 수상히 여기다)(=熒) a. 밝다 (영) b. 맑다 (영) c. 투명하다(透明--) (영) d. 명백(明白)하게 하다 (영) e. 갈고 다듬다 (영) f. 옥빛이 조촐하다 (영) g. 꾸미다 (영)...[부수]玉(구슬옥)
牟 소 우는 소리 모,보리 모,어두울 무 1. 소 우는 소리 2. 보리(볏과의 두해살이풀) 3. 투구(쇠로 만든 모자) 4. 제기(祭器: 제사에 쓰는 그릇) 5. 질냄비 6. 눈동자 7. 성(姓)의 하나 8. 소가 울다 9. 크다 10. 늘다 11. 범하다(犯--) 12.... [부수]牛(소우)
約 맺을 약,부절 요,기러기발 적 1. 맺다 2. 약속하다(約束--) 3. 묶다, 다발을 짓다 4. 검소(儉素)하게 하다, 줄이다 5. 오그라들다 6. 인색하다(吝嗇--), 아끼다 7. 멈추다, 말리다 8. 쇠하다(衰--) 9. 갖추다 10. 구부리다 11. 따르다,... [부수]糸(실사)
刺 찌를 자,찌를 척,수라 라,수라 나,비방할 체 1. 찌르다, 찔러 죽이다 2. 끊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 3. 나무라다, 헐뜯다, 꾸짖다, 비난하다(非難--) 4. 책망하다(責望--) 5. 간하다(諫--), 충고하다(忠告--) 6. 묻다, 알아보다, 문의하다(問議--)... [부수]刂(선칼도방)
犀 무소 서 1. 무소(코뿔소) 2. 무소뿔(코뿔소의 뿔) 3. 박씨(박속의 씨) 4. 굳다 5. 날카롭다 [부수]牛(소우)
衍 넓을 연 1. 넓다 2. 넓히다, 확충하다(擴充--) 3. 넘치다, 흐르다 4. 남다 5. 넉넉하다, 풍부하다(豐富--) 6. 지나다 7. 펴다, 산개하다(散開--), 배치하다(配置--) 8. 이끌다, 초빙하다(招聘--) 9. (널리)퍼지다... [부수]行(다닐행)
讐 원수 수 1. 원수(怨讐) 2. 동류(同類) 3. 대답하다(對答--) 4. 갚다 5. 맞다 6. 바로잡다 7. 합당하다(合當--) 8. 자주 9. 빈번히 [부수]言(말씀언)
虜 사로잡을 로,사로잡을 노 1. 사로잡다 2. 생포하다 3. 포로(捕虜) 4. 종, 노복 5. 오랑캐 [부수]虍(범호엄)
係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14. 사무 구분(區分)에서 가장... [부수]亻(사람인변)
抶 매질할 질 1. 매질하다 2. 종아리를 때리다 [부수]扌(재방변)
脊 등마루 척 1. 등마루(등골뼈가 있는 두두룩하게 줄진 곳) 2. 등골뼈 3. (일이 이루어져 나가는)조리(條理) 4. 어지러워지다 [부수]月(육달월)
季 계절 계 1. 계절(季節) 2. 끝, 마지막 3. 막내 4. 철(석 달) 5. 말년(末年), 말세(末世) 6. 젊다, 어리다 7. 쇠미해지다(衰微---: 쇠잔하고 미약하다) [부수]子(아들자)
胥 서로 서 1. 서로, 함께 2. 다, 모두 3. 잠깐 동안 4.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5. 재주꾼 6. 게장, 게젓 7. 악관(樂官) 8. 어조사(語助辭)(시구의 무의미한 조사) 9.... [부수]月(육달월)
靡 쓰러질 미,갈 마 1. 쓰러지다 2. 쓰러뜨리다 3. 멸하다(滅--) 4. 말다, 금지하다(禁止--) 5. 호사하다 6. 다하다 7. 물가 a. 갈다 (마) [부수]非(아닐비)
苦 쓸 고,땅 이름 호 1. 쓰다 2. 괴롭다 3. 애쓰다, 힘쓰다 4. 많다, 오래 계속되다(繼續--) 5. 거칠다 6. 엉성하다, 졸렬하다 7. 무르다 8. 욕되다(辱--), 욕보이다(辱---) 9. 싫어하다 10. 씀바귀(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醜 추할 추 1. (용모(容貌)가)추하다(醜--) 2. 못생기다 3. 밉다 4. 못되다 5. 나쁘다 6. 미워하다 7. 부끄러워하다 8.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9. 유사하다 10. 이름(人名, 地名)... [부수]酉(닭유)
戴 일 대 1. 이다, 머리 위에 올려 놓다 2. 들다 3. 받들다 4. 느끼다, 생각하다 5. 만나다, 마주 대하다(對--) 6. 곁눈질하다 7. 탄식하다(歎息ㆍ嘆息--), 슬퍼하다 8. 널을 묶는 끈 [부수]戈(창과)
晉 나아갈 진,진나라 진 1. 나아가다 2. 억누르다 3. 사이에 끼우다 4. 꽂다 5. 괘(卦)의 이름 6. 진나라(晉--) [부수]日(날일)
蝸 달팽이 와 1. 달팽이 2. 고둥 3. 패류(貝類)의 총칭(總稱) [부수]虫(벌레훼)
觸 닿을 촉 1. 닿다 2. 찌르다 3. 느끼다 4. 받다 5. 범하다(犯--) 6. 더럽히다 7. 물고기 8. 물고기의 이름 [부수]角(뿔각)
蠻 오랑캐 만 1. 오랑캐 2. 미개(未開) 민족(民族) 3. 모멸하다(侮蔑--) 4. 업신여기다 5. 거칠다 6. 난폭하다(亂暴--) 7. 사리를 분별(分別)하지 못하다 8. 야만적이다 9. 매우 10. 아주 11. 전혀 [부수]虫(벌레훼)
噫 한숨 쉴 희,트림할 애,탄식할 억 1. 한숨을 쉬다 2. 탄식하다(歎息ㆍ嘆息--) 3. 느끼다 4. 아아! a. 트림하다 (애) b. 하품 (애) c. 탄식하다(歎息ㆍ嘆息--) (억) d. 아아! (억) [부수]口(입구)
惝 경황없을 창 1. 경황없다(景況--) 2. 망연자실하다(茫然自失--) 3. 놀라다 4. 낙심하다(落心--) 5. 모호하다(模糊--) 6. 멍하다 7. 놀라는 모양 8. 멍한 모양 9. 실망하는 모양, 맥이 풀리는 모양 10. 뚜렷하지 않은... [부수]忄(심방변)
吹 불 취 1. (입김을)불다 2. 불 때다, 불태우다 3. 과장하다(誇張--) 4. 부추기다, 충동하다(衝動--) 5. 퍼뜨리다 6. 바람 7. 관악(管樂), 관악기(管樂器) 8. 취주(吹奏) 악기(樂器)의 가락 [부수]口(입구)
筦 다스릴 관,피리 관 1. (맡아)다스리다, 관리하다(管理--) 2. 꾸리다 3. 피리(악기의 하나) 4. 관악기(管樂器) 5. 열쇠 [부수]竹(대죽)
嗃 엄할 학,큰소리로 외칠 효 1. 엄하다(嚴--: 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2. 냉엄하다(冷嚴--) 3. 엄한 모양 a. 큰소리로 외치다 (효) b. 크게 울부짖는 소리 (효) c. 부르짖는 소리 (효) d. 피리 소리 (효) [부수]口(입구)
吷 작은 소리 혈 1. 작은 소리 2. 새소리 3. 빠른 모양 [부수]口(입구)
譽 기릴 예,명예 예 1. 기리다 2. 즐기다(=豫) 3. 찬양하다(讚揚--) 4. 칭찬하다(稱讚--) 5. 바로잡다 6. 명예(名譽) 7. 영예(榮譽) 8. 좋은 평판 9. 칭찬(稱讚) 10. 찬양(讚揚) [부수]言(말씀언)
譬 비유할 비 1. 비유하다(比喩ㆍ譬喩--), 설명하다(說明--) 2. 깨우치다, 인도하다(引導--) 3. 깨닫다 4. 비유(比喩ㆍ譬喩) 5. 비유컨대 [부수]言(말씀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6 (0) | 2016.11.29 |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5 (0) | 2016.11.25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3 (0) | 2016.11.22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2 (0) | 2016.11.21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1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