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6
264` 자기 본성을 함부로 다루지 말아야 한다 (잡편:25.칙양,6)
- 장자(잡편) ; 제25편 칙양[6]-
장오의 봉인이 자뢰에게 말했다.
“임금이 정치를 함에 있어서는 거칠게 함부로 해서는 안되며,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서는 소홀히 아무렇게나 해서는 안됩니다. 전에 내가 벼를 심어보니, 밭갈이를 거칠게 함부로 하니 벼이삭도 거칠게 함부로 내게 보답을 했습니다. 김매는 것을 거칠게 함부로 하니, 벼이삭도 소홀히 아무렇게나 내게 보답을 했습니다. 다음 해에는 생각을 바꾸어 밭을 깊게 갈고 써레질을 잘했더니, 벼가 잘 자라 많은 이삭을 맺어, 일년 내내 실컷 먹을 수가 있었습니다.”
장자가 이 이야기를 듣고 말했다.
“지금 사람들이 그의 몸을 다스리고, 그의 몸을 건사함에 있어서는 대부분 이 봉인이 말한 것과 비슷한 방법을 쓰고 있다. 사람들은 자연으로부터 도망을 치고, 그의 본성을 떠나 타고난 성정을 없애고, 그의 신명을 잃고서 여러 가지 세상일에 종사한다.
그러므로 그의 본성을 거칠게 함부로 다루는 사람은 욕망과 증오의 움이 터서 그의 성격을 이룬다. 갈대 같은 잡초들이 자라나 처음 싹이 틀 때에는 나의 몸에 도움을 줄 듯이 보이지만 곧 나의 본성을 뽑아버려, 위쪽은 무너지고 아래쪽은 새면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모든 곳에 퍼져나간다. 그래서 종기와 부스럼이 생기고, 열병에 걸리고, 당뇨병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6]-
長梧封人問子牢曰:「君爲政焉勿鹵莽, 治民焉勿滅裂. 昔予爲禾, 耕而鹵莽之, 則其實亦鹵莽而報予. 芸而滅裂之, 其實亦滅裂而報予. 予來年變齊, 深其耕而孰耰之, 其禾蘩以滋, 予終年厭飧.」
莊子聞之曰:「今人之治其形, 理其心, 多有似封人之所謂, 遁其天, 離其性, 滅其情, 亡其神, 以衆爲. 故鹵莽其性者, 欲惡之孼, 爲性萑葦蒹葭, 始萌以扶吾形, 尋擢吾性. 竝潰漏發, 不擇所出, 漂疽疥癰, 內熱溲膏是也.」
(장오봉인간자뢰왈:[군위정언물노망, 치민언물멸렬. 석여위화, 경이노망지, 즉기실역노망이보여. 운이멸렬지, 기실역멸렬이보여. 여래년변제, 심기경이숙우지, 기화번이자, 여종년염손.]
장자문지왈:[금인지치기형, 리기심, 다유사봉인지소위, 순기천, 리기성, 멸기정, 망기신, 이중위. 고노망기성자, 욕악지얼, 위성추위겸가, 시맹이부오형, 심탁오성. 병궤루발, 불택소출, 표저개옹, 내열수고시야.])
牢 우리 뢰,우리 뇌 1. 우리 2. 감옥(監獄) 3. 굳다 4. 희생(犧牲)(소, 양, 돼지의 세 희생) 5. 에워싸다 6. 쓸쓸하다 7. 안온하다(安穩--: 조용하고 편안하다) [부수]牛(소우)
鹵莽 魯莽 노망 노무(魯莽ㆍ鹵莽)가 원말. ①성질(性質)이나 재질(材質)이 무디고 거침 ②행동(行動)이 단순하고 경솔함
鹵 소금 로,소금 노 1. 소금 2. 소금밭 3. 개펄(갯가의 개흙이 깔린 벌판) 4. 황무지(荒蕪地) 5. (큰)방패(防牌ㆍ旁牌) 6. 어리석음 7. 우둔하다(愚鈍--) 8. 노략질하다(擄掠---) [부수]鹵(짠땅로)
莽 우거질 망,우거질 무 1. (풀숲이)우거지다 2. 거칠다 3. 넓다 4. 광활하다(廣闊--) 5. 크다 6. 아득하다, 멀다 7. (개가 토끼를)쫓아내다 8. 숲 9. 풀 10. 들의 경치(景致) 11. 시골의 경치(景致) a. (풀숲이)우거지다 (무)... [부수]艹(초두머리)
滅裂 찢기고 흩어져 없어짐
滅 꺼질 멸,멸할 멸 1. (불이)꺼지다 2. 끄다 3. 멸하다(滅--) 4. 멸망하다(滅亡--) 5. 없어지다 6. 다하다 7. 빠지다 8. 빠뜨리다 9. 숨기다 10. 죽다 11. 잠기다 12. 열반 [부수]氵(삼수변)
裂 찢을 렬,찢을 열 1. 찢다, 찢어지다 2. 쪼개다, 분할하다(分割--) 3. 터지다 4. 해지다, 무너지다 5. 마르다(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재단하다(裁斷--) 6. 거열(車裂: 수레에 사지를 묶어 찢던... [부수]衣(옷의)
芸 평지 운,재주 예,심을 예 1. 평지(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2. 궁궁이(芎藭-: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3. 향기(香氣) 4. 운향(시의 신비로운 운치와 음조) 5. 김매다(논밭의 잡풀을 뽑아내다) 6. 많다 7. 촘촘하다 a. 재주 (예)... [부수]艹(초두머리)
變 변할 변 1. 변하다(變--), 변화하다(變化--) 2. 고치다, 변경하다(變更--) 3. 변통하다(變通--) 4. 움직이다 5. (조정에)고변하다(告變--) 6. 놀라게 하다 7. 다투다 8. 속이다 9. 어그러지다 10. 좁다 11. 변화(變化)... [부수]言(말씀언)
齊 가지런할 제,재계할 재,옷자락 자,자를 전 1. 가지런하다 2. 단정하다(端整--) 3. 질서(秩序) 정연하다(整然--: 가지런하고 질서가 있다) 4. 재빠르다, 민첩하다(敏捷--) 5. 오르다 6. 같다, 동등하다(同等--) 7. 좋다, 순탄하다 8. 다스리다 9....[부수]齊(가지런할제)
耰 곰방메 우 1. 곰방메(논밭의 흙덩이를 깨뜨리거나 씨를 묻는 데 쓰는 농기구) 2. 씨앗 덮다 3. 갈다 [부수]耒(가래뢰)
蘩 산흰쑥 번 1. 산흰쑥(엉거시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2. 별꽃 3. 부평초(浮萍草: 개구리밥)의 하나 [부수]艹(초두머리)
滋 불을 자 1. 붇다, 증가하다(增加--) 2. 늘다, 많아지다 3. 번식하다(繁殖ㆍ蕃殖ㆍ蕃息--) 4. 자라다, 생장하다(生長--) 5. 우거지다, 무성하다(茂盛--) 6. 잦다(잇따라 자주 있다), 많다 7. 심다, (씨를)뿌리다... [부수]氵(삼수변)
厭 싫어할 염,누를 엽,빠질 암 1. 싫어하다 2. 물리다 3. 조용하다 4. 가리다 5. 막다 6. 가위눌리다(움직이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다) a. 누르다 (엽) b. 따르다 (엽) c. 마음에 들다 (엽) d.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엽)... [부수]厂(민엄호)
飧 저녁밥 손 1. 저녁밥 2. 밥 3. 익힌 음식(飮食) 4. 말다 5. (음식(飮食)을)권하다(勸--) 6. 먹다 [부수]食(밥식)
孼 서자 얼 1. 서자(庶子), 첩의 소생(所生) 2. 재앙(災殃), 근심 3. 천민 4. 움(나무를 베어 낸 뿌리에서 나는 싹), 움돋이 5. 거스름, 불효(不孝) 6. 업(業), 과보(果報) 7. 불길한, 흉악한 8. 꾸미다, 치장하다(治粧--)... [부수]子(아들자)
萑 풀 많을 추,물억새 환 1. 풀 많다 2. 풀이 많은 모양 3. 모시풀(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4. 익모초 a. 물억새(볏과의 여러해살이풀) (환) b. 눈물 흘리는 모양 (환) [부수]艹(초두머리)
葦 갈대 위 1. 갈대(볏과의 여러해살이풀) 2. 거룻배(돛이 없는 작은 배) [부수]艹(초두머리)
蒹 갈대 겸 1. 갈대(볏과의 여러해살이풀) 2. 물억새(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葭 갈대 가 1. 갈대(볏과의 여러해살이풀) 2. 갈대 피리(악기의 하나) [부수]艹(초두머리)
萌 움 맹,활량나물 명,있을 몽 1. 움(풀이나 나무에 새로 돋아 나오는 싹), 싹 2. 백성(百姓), 서민(庶民) 3. 촌사람, 시골뜨기 4. 조심, 시초(始初) 5. 죽순(竹筍) 6. 어리석은 모양 7. 움직이지 않는 모양 8. 비롯하다, 시작되다(始作--)... [부수]艹(초두머리)
尋 찾을 심 1. 찾다, 캐묻다 2. 탐구하다(探求--), 연구하다(硏究--) 3. 쓰다, 사용하다 4. 치다, 토벌하다(討伐--) 5. 잇다, 계승하다(繼承--) 6. 첨가하다, 거듭하다 7. 생각하다 8. 높다 9. 길다 10. 깊다 11.... [부수]寸(마디촌)
擢 뽑을 탁 1. 뽑다, 뽑아 내다, 뽑아 버리다 2. 빼내다 3. 버리다, 제거하다(除去--) 4. 발탁하다(拔擢--), 뽑아 올리다 5. 솟다, 빼어나다, 뛰어나다 6. 길다, 길게 늘이다 [부수]扌(재방변)
潰 무너질 궤,바다 기운 해 1. 무너지다 2. 흩어지다 3. 문드러지다 4. 무너뜨리다 5. 어지럽다 6. 이루다 7. 성취하다(成就--) 8. 성내다 a. 바다 기운 (해) [부수]氵(삼수변)
漏 샐 루,샐 누 1. 새다 2. 틈이 나다 3. 빠뜨리다 4. 구멍 5. 누수기(漏水器: 물시계) 6. 서북 모퉁이 7. 병(病) 이름 8. 번뇌(煩惱) 9. 물시계 [부수]氵(삼수변)
擇 가릴 택,사람 이름 역 1.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2. 고르다 3. 구별하다(區別--) 4. 뽑다 5. 선택하다(選擇--) a. 사람 이름 (역) [부수]扌(재방변)
漂 떠다닐 표 1. 떠다니다, 떠내려가다 2. (물에)뜨다, 띄우다 3. 유랑하다(流浪--), 방랑하다(放浪--) 4. 나부끼다, 불다 5. (흔들어)움직이다 6. 서늘하다 7. 빨래하다 8. 표백하다(漂白--) 9. 빠르다, 신속하다(迅速--)... [부수]氵(삼수변)
疽 등창 저 1. 등창(-瘡: 등에 나는 큰 부스럼) 2. 악창(惡瘡: 고치기 힘든 부스럼) 3. 악성(惡性) 종기(腫氣: 피부가 곪으면서 생기는 큰 부스럼) [부수]疒(병질엄)
疥 옴 개,옴 해 1. 옴(옴진드기가 기생하여 일으키는 전염 피부병) 2. 학질(瘧疾: 말라리아와 같은 열병) 3. 더럽히다 a. 옴(옴진드기가 기생하여 일으키는 전염 피부병) (해) b. 학질(瘧疾: 말라리아와 같은 열병) (해)... [부수]疒(병질엄)
癰 악창 옹 1. 악창(惡瘡: 고치기 힘든 부스럼) 2. 헌데 3. 종기(腫氣) 4. 등창(-瘡: 등에 나는 큰 부스럼) 5. (코가)냄새를 맡지 못하다 [부수]疒(병질엄)
溲 반죽할 수 1. 반죽하다 2. 씻다, 일다(흔들어서 쓸 것과 못 쓸 것을 가려내다) 3. 적시다 4. (술을)빚다 5. 쌀을 씻는 소리 6. 빚은 술 7. 오줌 [부수]氵(삼수변)
膏 기름 고 1. 기름, 지방(脂肪) 2. 살진 고기 3. 염통밑 4. 은혜(恩惠) 5. 고약(膏藥: 헐거나 곪은 데에 붙이는 끈끈한 약) 6. 기름진 땅 7. 기름지다 8. 기름지게 하다 [부수]月(육달월)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8 (0) | 2016.12.01 |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7 (0) | 2016.12.01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5 (0) | 2016.11.25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4 (0) | 2016.11.23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3 (0) | 2016.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