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5
263` 잘하는 말을 듣는 것조차 수치이다? (잡편:25.칙양,5)
- 장자(잡편) ; 제25편 칙양[5]-
공자가 초나라를 가다가 의구산 아래 주막에서 묵었다. 그 때 그 이웃집의 하인 부부가 지붕에 올라가 있었다. 자로가 말했다.
“저기서 웅성거리고 있는 사람은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요?”
공자가 말했다. “그는 성인으로서 하인노릇을 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는 스스로 백성들 속에 자신을 묻고 밭 두렁 가에 자신을 숨기고 있어서 그의 명성은 알려지고 있지 않지만 그의 뜻은 한이 없는 사람이다. 그의 입은 비록 말하고 있으나 그의 마음은 말을 한 일이 없다. 또한 세상과 멀리 떨어져 그의 마음은 세상과 어울리려 하지 않고 있다. 그는 땅속에 잠기어 있듯이 숨어 지내는 사람이다. 그는 아마도 시남의 의료일 것이다.”
자로가 가서 그를 불러오겠다고 하니 공자가 말했다.
“그만두어라. 그는 내가 자기를 알아보았음을 알았고, 내가 초나라에 간다는 것도 알고 있다. 내가 초나라에 가서 반드시 초나라 임금으로 하여금 자기를 부르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는 또 내가 말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런 사람들은 말 잘하는 사람의 말을 듣는 것조차도 수치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물며 친히 만나는 것이야 얼마나 수치로 생각하겠느냐? 그런데 어찌 그대로 남아 있겠느냐?”
자로가 가서 보니, 이미 그의 방은 텅 비어 있었다.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5]-
孔子之楚, 舍於蟻丘之漿. 其隣有夫妻臣妾登極者, 子路曰:「是稯稯何爲者邪?」
仲尼曰:「是聖人僕也. 是自埋於民, 自藏於畔. 其聲銷, 其志無窮, 其口雖言, 其心未嘗言, 方且與世違而心不屑與之俱. 是陸沈者也, 是其市南宜僚邪?」
子路請往召之.
孔子曰:「已矣! 彼知丘之著於己也, 知丘之適楚也, 以丘爲必使楚王之召己也, 彼且以丘爲佞人也. 夫若然者, 其於佞人也羞聞其言, 而況親見其身乎! 而何以爲存?」
子路往視之, 其室虛矣.
(공자지초, 사어의구지장. 기린유부처신첩등극자, 자로왈:[시총총하위자야?]
중니왈:[시성인복야. 시자매어민, 자장어반. 기성소, 기지무궁, 기구수언, 기심미상언, 방차여세위이심불설여지구. 시륙침자야, 시기시남선료야?]
자로청왕초지.
공자왈:[이의! 피지구지저어기야, 지구지적초야, 이구위필사초왕지초기야, 피차이구위녕인야. 부약연자, 기어녕인야차문기언, 이황친견기신호! 이하이위존?]
자로왕시지, 기실허의.)
蟻 개미 의 1. 개미 2. 검은 빛깔 3. 술구더기(걸러 놓은 술에 뜬 밥알) 4. 미천함의 비유(比喩ㆍ譬喩) 5. 검다 6. 보잘것없다 [부수]虫(벌레훼)
漿 즙 장 1. 즙 2. 미음(米飮: 푹 끓여 체에 걸러 낸 걸쭉한 음식) 3. 마실 것 4. 음료(飮料) 5. 풀 6. 풀을 먹이다 [부수]水(물수)
舍 shè, shě, shì (shě) 집 사,버릴 사,벌여놓을 석 1. 집, 가옥(家屋) 2. 여관 3. 버리다 4. 포기하다(抛棄--) 5. 폐하다(廢--) 6. 내버려 두다 7. 개의(介意)하지 않다 8. 기부하다(寄附--) 9. 희사하다(喜捨--) 10. 바치다 11.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부수]舌(혀설)
稯 볏단 종,모일 총 1. 볏단(벼를 베어 묶은 단) 2. 벼 마흔 뭇을 묶은 단 3. 새(피륙의 날을 세는 단위. 날실 여든 올) a. 모이다 (총) b. 모이는 모양 (총) c. 볏단(벼를 베어 묶은 단) (총) [부수]禾(벼화)
僕 종 복 1. (사내)종 2. 마부(馬夫), 거마(車馬)를 모는 사람 3. 저(자기의 겸칭) 4.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벗 5.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패거리 6. 관리하다(管理--) 7.... [부수]亻(사람인변)
埋 묻을 매 1. 묻다, 땅에 파묻다 2. 장사지내다(葬事---) 3. 감추다, 드러나지 않게 감추어지다 4. 메우다, 채우다 5. 영락하다(零落--: 보잘것없이 되다), 낙백하다(落魄--) [부수]土(흙토)
畔 밭두둑 반,배반할 반 1. 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坢) 2. 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3. 물가 4. 배반하다(背反ㆍ背叛--)(=叛) 5. 어그러지다 6. 피하다(避--) 7. 발호하다(跋扈--: 권세나 세력을 제멋대로... [부수]田(밭전)
聲 소리 성 1. 소리 2. 풍류(風流) 3. 노래 4. 이름 5. 명예(名譽) 6. 사성 7. 소리를 내다 8. 말하다 9. 선언하다 10. 펴다 11. 밝히다 [부수]耳(귀이)
銷 녹일 소 1. 녹이다 2. 녹다 3. 사라지다 4. 사라지게하다 5. 쇠하다(衰--) 6. 쇠하게 하다 7. 무쇠 [부수]金(쇠금)
違 어긋날 위 1. 어긋나다 2. 어기다 3. 다르다 4. 떨어지다 5. 피하다(避--) 6. 달아나다 7. 멀리하다 8. 원망하다(怨望--) 9.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10. 허물 [부수]辶(책받침)
屑 가루 설,달갑게 여길 설 1. 가루 2. 문득 3. 모두 4. 달갑게 여기다(매우 흡족해 하다) 5. (마음에)두다, 중(重)히 여기다 6. 애쓰다, 수고하다 7. 자질구레하고 많다 8. 편하지 않다 9. 업신여기다 10. 부수다 11. 재빠르다 [부수]尸(주검시엄)
陸 뭍 륙,뭍 육 1. 뭍(지구의 표면에서 바다를 뺀 나머지 부분. 섬이 아닌 본토) 2. 육지 3. 땅 4. 언덕 5. 길 6. 높고 평평(平平)한 땅 7. 여섯(六과 통용) 8. 뛰다 9. 두텁다 10. 어긋나다 [부수]阝(좌부변)
沈 잠길 침,성씨 심 1. 잠기다 2. 가라앉다 3. 빠지다 4. (원기를)잃다 5. 오래다 6. 오래되다 7. 침울하다 8. 막히다 9. 무겁다 10. 숨다 11. 늪(땅바닥이 우묵하게 뭉떵 빠지고 늘 물이 괴어 있는 곳) 12. 진흙 13. 호수(湖水)... [부수]氵(삼수변)
佞 아첨할 녕,아첨할 영 1. 아첨하다(阿諂--) 2. 간사하다(奸詐--: 거짓으로 남의 비위를 맞추는 태도가 있다) 3. (말을)잘하다 4. 미혹하다(迷惑--), 홀리다 5. 유약하다(柔弱--), 부드럽다 6. 재능(才能), 재주 7. 말재주 8....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7 (0) | 2016.12.01 |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6 (0) | 2016.11.29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4 (0) | 2016.11.23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3 (0) | 2016.11.22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2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