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5篇 則陽  7


265` 백성들의 죄는 위정자의 책임이다 (잡편:25.칙양,7) 정치` 민주` 위정자` 

- 장자(잡편) ; 제25편 칙양[7]- 

백구가 노자에게 배우고 있을 때 말했다. “청컨대 온 천하를 다니며 노닐게 하여주십시오.” 

노자가 말했다. “그만두어라 천하란 것도 이곳이나 같은 것이다.” 

그러나 다시 요청하니 노자가 물었다. 

“그래 어디서부터 유람을 시작하겠느냐?” 

백구가 말했다. “제나라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백구는 제나라로 가서 처형당한 시체를 보고는 올바로 누이고서 자기의 예복을 벗어 그 시체를 덮어주고 하늘을 우러러 통곡하며 말했다. 

“아! 천하에는 큰 재난이 많은데 그대 홀로 먼저 당하였구나. 그대는 도둑질을 한 것은 아니었나? 살인을 한 것은 아니었나? 영예와 치욕을 따지게 된 연후에야 고민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재물을 모으게 된 연후에야 다툼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지금 세상에서는 사람들을 고민하게 하는 일들을 내세우고, 사람들을 다투게 하는 것을 모음으로써 사람들의 몸을 쉴 새도 없이 곤궁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그대와 같은 처지를 당하지 않으려 한다 해도 될 수가 있겠는가? 

옛날의 임금들은 이득은 백성들에게 돌리고, 손실은 자기에게로 돌리었다. 정당한 것은 백성들에게 돌리고, 비뚤어진 것은 자기에게로 돌리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라도 자신에게 실수가 있을 때에는 물러나서 스스로를 책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 숨어서 일을 결정하고는 알지 못하는 자들을 우롱하며, 크게 어려운 일을 하게 하고는 감히 하지 못하는 자들을 벌준다. 무거운 임무를 맡겨 놓고는 감당하지 못하는 자들을 처벌한다. 먼길을 가게하고는 이르지 못하는 자들을 처형한다. 

그리고 백성들의 능력과 지혜가 다하면 곧 허위로 일을 충당한다. 위정자가 날로 허위적인 일을 많이 하게 되면 백성들이 어떻게 허위의 일을 하지 않게 되겠는가? 힘이 부족하면 속이게 되고, 지혜가 부족하게 되면 자기를 놓게 되며, 재물이 부족하게 되면 도둑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둑질이 행하여지게 되는 것을 누구에게 책임추궁을 해야 되겠는가?” 


- 莊子(雜篇) ; 第25篇 則陽[7]- 

柏矩學於老聃, 曰:「請之天下遊.」 

老聃曰:「已矣! 天下猶是也.」 

又請之, 老聃曰:「汝將何始?」 

曰:「始於齊.」 

至齊, 見辜人焉, 推而强之, 解朝服而幕之, 號天而哭之曰:「子乎子乎! 天下有大菑, 子獨先離之, 曰莫爲盜! 莫爲殺人! 榮辱立, 然後覩所病. 貨財聚, 然後覩所爭. 今立人之所病, 聚人之所爭, 窮困人之身使无休時, 欲无至此, 得乎! 

「古之君人者, 以得爲在民, 以失爲在己. 以正爲在民, 以枉爲在己. 故一形有失其形者, 退而自責. 今則不然. 匿爲物而過不識, 大爲難而罪不敢, 重爲任而罰不勝, 遠其塗而誅不至. 民知力竭, 則以僞繼之, 日出多僞, 士民安取不僞! 夫力不足則僞, 知不足則欺, 財不足則盜. 盜竊之行, 於誰責而可乎?」 

(백구학어노담, 왈:[청지천하유.]

노담왈:[이의! 천하유시야.]

우청지, 노담왈:[여장하시?]

왈:[시어제.]

지제, 견고인언, 추이강지, 해조복이막지, 호천이곡지왈:[자호자호! 천하유대재, 자독선리지, 왈막위도! 막위살인! 영욕립, 연후도소병. 화재취, 연후도소쟁. 금립인지소병, 취인지소쟁, 궁곤인지신사무휴시, 욕무지차, 득호!

[고지군인자, 이득위재민, 이실위재기. 이정위재민, 이왕위재기. 고일형유실기형자, 퇴이자책. 금즉불연. 닉위물이과불식, 대위난이죄불감, 중위임이벌불승, 원기도이주부지. 민지력갈, 즉이위계지, 일출다위, 사민안취불위! 부력부족즉위, 지부족즉사, 재부족즉도, 도절지행, 어수책이가호?])


柏 측백 백  1. 측백, 측백나무 2. 측백나무의 잎 3. 잣, 잣나무 4. 가까워지다, 다가오다 5. 크다 [부수]木(나무목)

矩 모날 구,법도 구  1. 모나다(사물의 모습이나 일에 드러난 표가 있다) 2. 새기다, 새겨 표시하다(表示--) 3. 곱자('ㄱ' 자 모양의 자) 4. 네모, 사각형(四角形) 5. 모서리(물체의 모가 진 가장자리) 6. 대지(大地), 땅...[부수]矢(화살시)

辜 허물 고  1. 허물, 죄 2. 재난(災難), 환난(患難) 3. 대강(大綱), 대략(大略) 4. 반드시, 틀림없이 5. 찢어 발기다, 찢어 죽이다 6. 처벌하다(處罰--) 7. 저버리다(=孤), 배신하다(背信--) 8. 막다 [부수]辛(매울신)

推 밀 추,밀 퇴  1. 밀다 2. 옮다, 변천하다(變遷--) 3. 천거하다(薦擧--), 추천하다(推薦--) 4. 넓히다, 확충하다(擴充--) 5. 헤아리다, 추측하다(推測--) 6. 받들다, 공경(恭敬)하여 높이 받들다 7. 꾸미지 아니하다... [부수]扌(재방변)

幕 장막 막,화폐의 뒷면 만  1. 장막(帳幕) 2. 군막(軍幕) 3. 막, 휘장(揮帳: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4. 막부(幕府) 5. 사막(沙漠ㆍ砂漠), 모래 벌판 6. 진, 진영(陣營) 7. 팔뚝받침, 정강이 받침 8. 덮다,... [부수]巾(수건건)

號 이름 호,부르짖을 호  1. 이름 2. 부호(符號) 3. 명령(命令) 4. 차례(次例) 5. 번호(番號) 6. 부르짖다 7. 일컫다 8. 고하다(告--) 9. 울다 [부수]虍(범호엄)

菑 묵정밭 치,재앙 재  1. 묵정밭(묵어서 잡초가 우거진 밭) 2. 경작(耕作)한 지 한 해 된 밭 3. 성(姓)의 하나 4. 선채로 있는 고목 5. 수레바퀴살이 바퀴동에 박히는 곳 6. 우거진 풀 7. 일구다, 개간하다(開墾--) 8. 쪼개다,...[부수]艹(초두머리)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 [부수]辰(별진)

覩 볼 도  1. 보다(=覩) 2.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3. 분별하다(分別--) 4. 자세(仔細ㆍ子細)히 보다 5. 알다, 예견하다(豫見--) 6. 국명(國命) [부수]見(볼견)

聚 모을 취  1. 모으다, 모이다 2. 거두어들이다 3. 갖추어지다 4. 저축하다(貯蓄--), 쌓다 5. 함께 하다 6.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7. 마을, 동네 8. 저축(貯蓄) 9. 줌(한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 10. 함께,... [부수]耳(귀이)

枉 굽을 왕,미칠 광  1. 굽다, 휘다 2. 굽히다, 복종하다(服從--) 3.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4. 능멸하다(凌蔑ㆍ陵蔑--) 5. (누명을)씌우다 6. 억울하다(抑鬱--), 원통하다(冤痛--) 7. 잘못, 과실(過失) 8.... [부수]木(나무목)

匿 숨길 익,숨길 닉,사악할 특  1. 숨기다, 감추다 2. 감추고 나타내지 아니하다 3. 숨다, 도피하다(逃避--) 4. 숨어 나타나지 아니하다 5. 숨은 죄 6. 드러나지 아니한 죄악(罪惡) a. 사악하다(邪惡--) (특) b.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부수]匸(감출혜몸)

罰 벌할 벌  1. 벌하다(罰--) 2. 벌주다(罰--) 3. 벌(罰) 4. 죄 [부수]罒(그물망머리)

誅 벨 주  1. 베다 2. 책하다(責--) 3. 치다 4. 덜다 5. 형벌(刑罰) [부수]言(말씀언)

竭 다할 갈,다할 걸  1. 다하다 2. 없어지다 3. 끝나다 4.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5. 막히다 6.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7. 무너지다, 망가지다(부서지거나 찌그러져 못 쓰게 되다) 8. (물이)마르다 9. 짊어지다... [부수]立(설립)

僞 거짓 위,잘못 될 와  1. 거짓 2. 사투리(=訛) 3. 잘못 4. 작위(作爲: 의식적으로 꾸며서 하는 행위) 5. 속이다 6. 그릇 되게 바뀌다 7. 그런양 나타내 보이다 a. 잘못 되다 (와) b. 틀리다 (와) c. 고치다, 변화시키다(變化---)... [부수]亻(사람인변)

繼 이을 계  1. 잇다 2. 이어나가다 3. 계속하다(繼續--) 4. 지속하다(持續--) 5. 이어받다 6. 매다 7. 그 다음에 8. 그 후에 9. 이어서 10. 뒤이어 [부수]糸(실사)

竊 훔칠 절  1. 훔치다 2. 도둑질하다 3. 절취하다 4. 도둑 5. 도둑질 6. 살짝 7. 남몰래 8. 마음속으로 9. 슬그머니 [부수]穴(구멍혈)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