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0
297` 만족하는 사람은 이익 때문에 스스로를 해치지 않는다 (잡편:28.양왕,10)
만족` 과욕` 욕심`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0]-
공자가 안회에게 말했다.
“안회야! 집안이 가난하고 신분도 천한데 어찌하여 벼슬을 하려하지 않느냐?”
안회가 대답했다. “벼슬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제게는 성곽 밖의 밭 오십 묘가 있으니 죽꺼리를 얻기에는 충분합니다. 성곽 안에는 밭 십 묘가 있으니 무명과 삼을 얻기에 충분합니다. 금을 타고 지내면 스스로 즐기기에 충분합니다. 선생님으로부터 배운 도는 스스로 즐겁게 살기에 충분합니다. 저는 벼슬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공자가 갑자기 얼굴빛을 바꾸며 말했다.
“네 뜻이 참으로 훌륭하다. 내가 듣건대 만족할 줄 안는 사람은 이익 때문에 스스로를 해치지 않고, 자득할 줄 아는 사람은 이익을 잃어도 두려워하지 않고, 속마음의 수행이 되어 있는 사람은 지위가 없어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했다. 나는 그것을 마음에 새겨둔 지 오래 되었으나, 지금 그대에게서 뒤늦게 그것이 실행되고 있음을 본다. 이것이 나의 소득이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0]-
孔子謂顔回曰:「回, 來! 家貧居卑, 胡不仕乎?」
顔回對曰:「不願仕. 回有郭外之田五十畝, 足以給飦粥. 郭內之田十畝, 足以爲絲麻. 鼓琴足以自娛, 所學夫子之道者, 足以自樂也. 回不願仕.」
孔子愀然象容曰:「善哉, 回之意. 丘聞之, 知足者, 不以利自累也. 心自得者, 失之而不懼. 行修於內者, 無位而不怍. 丘誦之久矣, 今於回而後見之. 是丘之得也.」
(공자위안회왈:[회, 래! 가빈거비, 호불사호?]
안회대왈:[불원사. 회유곽외지전오십무, 족이급전죽. 곽내지전십무, 족이위사마. 고금족이자오, 소학부자지도자, 족이자락야. 회불원사.]
공자초연상용왈:[선재, 회지의. 구문지, 지족자, 불이리자루야. 심자득자, 실지이불구. 행수어내자, 무위이부작. 구통지구의, 금어회이후견지. 시구지득야.])
卑 낮을 비 1. 낮다 2. 왜소하다(矮小--) 3. 낮추다 4. 겸손(謙遜ㆍ謙巽)하게 대하다(對--) 5. 천하다(賤--) 6. 천하게 여기다 7. 비루하다(鄙陋--: 행동이나 성질이 너절하고 더럽다) 8. 저속하다(低俗--: 품위가... [부수]十(열십)
胡 되 호,오랑캐 이름 호,수염 호 1.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2. 오랑캐의 이름 3. 수염, 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4. 턱밑살 5. 풀 6. 성(姓)의 하나 7. 어찌 8. 오래 살다 9. 장수하다(長壽--)... [부수]月(육달월)
願 원할 원 1. 원하다(願--) 2. 바라다 3. 빌다, 기원하다(祈願--) 4. 성실하다(誠實--) 5. 공손하다(恭遜--) 6. 정중하다(鄭重--) 7. 사모하다(思慕--) 8. 부러워하다 9.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10.... [부수]頁(머리혈)
畝 이랑 무,이랑 묘 1. 이랑(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백 평(전답의 면적 단위) 3. 밭 넓이 4. 밭두둑, 밭두렁(밭이랑의 두둑한 부분) a. 이랑(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부수]田(밭전)
飦 죽 전 1. 죽(粥: 오래 끓여 알갱이가 흠씬 무르게 만든 음식) 2. 된죽(-粥) 3. 범벅(곡식 가루를 된풀처럼 쑨 음식) [부수]飠(밥식변)
粥 죽 죽,팔 육 1. 죽(粥: 오래 끓여 알갱이가 흠씬 무르게 만든 음식) 2. 미음(米飮: 푹 끓여 체에 걸러 낸 걸쭉한 음식) 3. 죽을 먹다 4. 연약하다(軟弱--) 5. 허약하다 a. 팔다 (육) b. 기르다 (육) c. 시집보내다... [부수]米(쌀미)
絲麻 명주실(明紬-)과 삼실
絲 실 사,가는 실 멱 1. 실, 가는 실 2. 생사(生絲: 삶아서 익히지 아니한 명주실) 3. 견사(絹絲), 명주실(明紬-) 4. 가는 물건(物件) 5. 팔음(八音)의 하나 6. 가늘다 7. 적다 8. 작다 9. 약간 10. 조금 a. 가는 실 (멱) b.... [부수]糹(실사변)
麻 삼 마 1. 삼(뽕나뭇과의 한해살이풀) 2. 참깨 3. 베옷을 일컫는 말 4. 삼으로 지은 상복(喪服: 상중에 있는 상제나 복인이 입는 예복) 5. 조칙(詔勅), 조서(詔書) 6. 노도(路鼗: 국악기의 하나) 7. 근육(筋肉)이... [부수]麻(삼마)
仕 섬길 사,벼슬 사 1. 섬기다, 일하다, 종사하다(從事--) 2. 벼슬하다 3. 살피다, 밝히다 4. 벼슬(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 또는 그런 일) 5. 선비(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부수]亻(사람인변)
愀 근심할 초,쓸쓸할 추 1.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2. 발끈하다 3.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4. 정색하다 5. 얼굴빛을 바꾸다 6. 근심하는 모양 7. 삼가는 모양 8. 안색이 변하는 모양 9. 태도(態度)를... [부수]忄(심방변)
累 여러 루,여러 누,자주 루,자주 누,벌거벗을 라,벌거벗을 나,땅 이름 렵,땅 이름 엽 1. 여러 2. 자주 3. 묶다 4. 거듭하다 5. 포개다 6. 폐를 끼치다 7. 더럽히다 8.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9. 폐, 누 10. 연좌 11. 연루(連累ㆍ緣累) a. 벌거벗다 (라) b. 땅의 이름 (렵) [부수]糸(실사)
懼 두려워할 구 1. 두려워하다, 두렵다 2. 걱정하다 3. 염려하다(念慮--) 4.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위협하다(威脅--) 5. 경계하다(警戒--), 조심하다 6. 두려움 [부수]忄(심방변)
怍 부끄러워할 작 1. 부끄러워하다 2. 빨개지다 3. (안색이)변하다(變--) 4. 노하다(怒--) 5. 화내다(火--) [부수]忄(심방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2 (0) | 2017.02.07 |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1 (0) | 2017.02.01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9 (0) | 2017.01.24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8 (0) | 2017.01.23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7 (0) | 2017.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