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1


298` 마음이 이끄는 대로 자연스럽게 행동하라 (잡편:28.양왕,11)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1]- 

중산의 공자 모가 첨자에게 말했다. 

“몸은 강과 바닷가에 숨어살면서도 마음은 언제나 위나라 궁궐 아래에 가 있으니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첨자가 말했다. “삶을 소중히 하십시오. 삶을 소중히 하시면 이익이 가볍게 느껴집니다.” 

공자 모가 말했다. 

“그런 줄 알고 있기는 하지만 스스로를 이겨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첨자가 말했다. 

스스로 이겨내지 못하겠거든 그대로 마음을 따르십시오. 그러면 정신적 고뇌가 없어질 것입니다. 스스로 이겨내지 못하면서도 억지로 마음을 따르지 않는 것을 거듭 자기를 손상시키는 것이라 합니다. 거듭 자기를 손상케 하는 사람 중에는 오래 사는 이가 없습니다.” 

위나라의 공자 모는 만승 군주의 공자이다. 따라서 그가 바위굴 속에 숨는데 있어서는 평민의 선비보다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비록 도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지만, 도를 터득하려는 뜻은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1]- 

中山公子牟謂瞻子曰:「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 奈何?」 

瞻子曰:「重生. 重生則輕利.」 

中山公子牟曰:「雖知之, 未能自勝也.」 

瞻子曰:「不能自勝則從之, 神无惡乎? 不能自勝而强不從者, 此之謂重傷. 重傷之人, 无壽類矣.」 

魏牟, 萬乘之公子也, 其隱巖穴也, 難爲於布衣之士. 雖未至乎道, 可謂有其意矣! 

(중산공자모위첨자왈:[신재강해지상, 심거호위궐지하, 나하?]

첨자왈:[중생. 중생즉경리.]

중산공자모왈:[수지지, 미능자승야.]

첨자왈:[불능자승즉종지, 신무악호? 불능자승이강부종자, 차지위중상. 중상지인, 무수류의.]

위모, 만승지공자야, 기은암혈야, 난위어포의지사. 수미지호도, 가위유기의의!)


牟 소 우는 소리 모,보리 모,어두울 무  1. 소가 우는 소리 2. 보리(볏과의 두해살이풀) 3. 투구(쇠로 만든 모자) 4. 제기(祭器: 제사에 쓰는 그릇) 5. 질냄비 6. 눈동자 7. 성(姓)의 하나 8. 소가 울다 9. 크다 10. 늘다 11. 범하다(犯--) 12.... [부수]牛(소우)

瞻 볼 첨  1. 보다, 쳐다보다 2. 바라보다 3. 우러러보다 4. 비추어 보다 5. 살피다, 관찰하다(觀察--) [부수]目(눈목)

魏闕 높고 큰 문이란 뜻으로  ①대궐(大闕)의 정문(正門)  ②뜻이 바뀌어 조정(朝廷)을 이름

魏 나라 이름 위,빼어날 외  1. 나라의 이름 2. 대궐(大闕), 궁궐(宮闕) 3. 높다 4. 능(能)히 하다 5. 좋다 6. 성(姓)의 하나 a. 빼어나다 (외) b. 출중(出衆)한 모양 (외) c. 큰 모양 (외) [부수]鬼(귀신귀)

闕 대궐 궐  1. 대궐(大闕) 2. 대궐문(大闕門) 3. 조정 4. 흠 5. 궐하다(闕--: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빠뜨리다) 6. 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7. 이지러뜨리다(이지러지게 하다) 8. 파다 9. 뚫다 [부수]門(문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