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2


299` 눈서리가 쳐야 송백의 꿋꿋함을 알 수 있다 (잡편:28.양왕,12) 

역경` 고난` 견딤` 지구력` 인내`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2]-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 곤경에 빠졌을 때, 칠일동안이나 밥을 지어먹지 못하였고, 명아주국에 곡식 없이 먹고 지내었다. 그래서 얼굴빛이 매우 지쳐있었으나, 공자는 방에서 금을 타며 노래를 하였고, 안회는 밖에서 나물을 뜯고 있었는데, 자로와 자공이 주거니 받거나 말했다. 

“우리 선생님께서는 노나라에서 두 번이나 쫓겨났고, 위나라에서도 추방당하였으며, 송나라에서는 그를 깔아 죽이려고 나무를 베어 넘겼으며, 상나라와 주나라에서도 곤경에 빠졌었는데, 이제는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 포위를 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선생님을 죽이려던 사람도 죄를 지은 것이 아니게 되었고, 선생님을 모욕하여도 금하는 이가 없게 되었다. 그런데도 금을 타고 노래하면서 음악을 그친 일이 없다. 군자로서 수치를 모른다 해도 이렇게까지 될 수 있는가? ” 

안회는 대꾸도 하지 않고 있다가 들어와 공자에게 말했다. 공자는 금을 옆으로 밀어놓으며 크게 탄식하며 말했다. 

“자로와 자공은 속 좁은 인간들이다. 불러오너라. 내가 그들에게 이야기하겠다.” 

자로와 자공이 들어와서, 자로가 말했다. 

“이 정도의 상황이면 궁지에 몰린 것이 아닙니까?” 

공자가 말했다. “그것이 무슨 말이냐? 군자가 도에 통달한 것을 도통이라 말하고, 도에 궁하여진 것을 궁지라 말하는 것이다. 지금 나는 인의의 도를 품고서 어지러운 세상의 환란을 만나기는 하였지만 그것이 어찌 궁지에 몰린 것이 되겠느냐? 

그러므로 마음속으로 반성하여 도에 궁하지 않아야 되며, 어려움을 당하여도 그의 덕을 잃지 않아야 된다. 날씨가 차가운 철이 되어 서리와 눈이 내리면 우리는 그 때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꿋꿋함을 알게 된다.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의 곤경은 나에게는 오히려 다행인 듯하다.” 

그리고 공자는 스스로 금을 다시 잡아서 타며 노래를 했다. 그러자 자로가 벌떡 일어나 방패를 들고 거기에 맞추어 춤을 추었다. 자공이 말했다. 

“나는 하늘이 높은 것도 땅이 낮은 것도 알지 못하는 위인이로다. 옛날의 도를 터득했던 사람들은 곤경에 빠져도 즐기고 뜻이 통하게 되어도 즐기었다. 그들이 즐긴 것은 곤경과 통달이 아니었다. 도덕이 여기에 있다면, 곤경과 통달은 춥고 더운 것과 바람 불고 비 오는 기후 변화와 같은 것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허유는 영수가에 숨어살면서 즐기었고, 공백은 공수산에 숨어살면서 자득했던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2]- 

孔子窮於陳蔡之間, 七日不火食, 藜羹不糝, 顔色甚憊, 而猶弦歌於室. 顔回擇菜於外, 子路子貢相與言曰:「夫子再逐於魯, 削迹於衛, 伐樹於宋, 窮於商周, 圍於陳蔡, 殺夫子者无罪, 藉夫子者无禁. 弦歌鼓琴, 未嘗絶音, 君子之无恥也若此乎?」 

顔回无以應, 入告孔子. 孔子推琴喟然而歎曰:「由與賜, 細人也. 召而來, 吾語之.」 

子路子貢入. 子路曰:「如此者可謂窮矣!」 

孔子曰, 「是何言也! 君子通於道之謂通, 窮於道之謂窮. 今丘抱仁義之道以遭亂世之患, 其何窮之爲! 故內省而不窮於道, 臨難而不失其德, 大寒旣至, 霜雪旣降, 吾是以知松柏之茂也. 陳蔡之隘, 於丘其幸乎!」 

孔子削然反琴而弦歌, 子路扢然執干而舞. 子貢曰:「吾不知天之高也, 地之下也.」 

古之得道者, 窮亦樂, 通亦樂. 所樂非窮通也, 道德於此, 則窮通爲寒暑風雨之序矣. 故許由娛於潁陽而共伯得志乎共首. 

(공자궁어진채지간, 칠일불화식, 려갱불삼, 안색심비, 이유현가어실. 안회택채어외, 자로자공상여언왈:[부자재축어노, 삭적어위, 벌수어송, 궁어상주, 위어진채, 살부자자무죄, 자부자자무금. 현가고금, 미상절음, 군자지무치야약차호?]

안회무이비, 입고공자. 공자추금위연이탄왈:[유여사, 세인야. 소이래, 오어지.]

자로자공입. 자로왈:[여차자가위궁의!]

공자왈, [시하언야! 군자통어도지위통, 궁어도지위궁. 금구포인의지도이조란세지환, 기하궁지위! 고내성이불궁어도, 임난이부실기덕, 대한기지, 상설기강, 오시이지송백지무야. 진채지액, 어구기신호!]

공자삭연반금이현가, 자로흘연집간이무. 자공왈:[오부지천지고야, 지지하야.]

고지득도자, 궁역락, 통역락. 소락비궁통야, 도덕어차, 즉궁통위한서풍우지서의. 고허유오어영양이공백득지호공수.)


蔡 성씨 채,풀 채,내칠 살  1. 성(姓)의 하나 2. 풀 3.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4. 법(法) 5. 나라의 이름 6. 먼지 7. 쇠약해지다(衰弱---) 8. 줄이다 9. (풀이)흐트러지다 a. 내치다 (살) b. 추방하다(追放--) (살) [부수]艹(초두머리)

藜 명아주 려,명아주 여  1. 명아주(명아줏과의 한해살이풀) 2. 나라의 이름 [부수]艹(초두머리)

羹 국 갱,땅 이름 랑,땅 이름 낭  1. 국, 끓인 국(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2. 삶다 3. 끓이다 a. 땅의 이름 (랑) [부수]羊(양양)

糝 나물죽 삼  1. 나물죽(--粥) 2. 국(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3. 쌀알 4. 차질다(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으며 질다) 5. 끈끈하다 6. 섞다 7. 섞이다 [부수]米(쌀미)

憊 고단할 비  1. 고단하다(몸이 지쳐서 느른하다) 2. 고달프다 3. 피곤하다(疲困--) 4. 앓다 [부수]心(마음심)

擇 가릴 택,사람 이름 역  1. 가리다, 분간하다(分揀--) 2. 고르다 3. 구별하다(區別--) 4. 뽑다 5. 선택하다(選擇--) a. 사람의 이름 (역) [부수]扌(재방변)

菜 나물 채  1. 나물(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 이것을 양념하여 무친 음식), 푸성귀 2. 술안주(-按酒) 3. 반찬(飯饌) 4. 채마밭(菜麻-: 채마를 심어 가꾸는 밭) 5. 주린 빛 6. (나물을)캐다 7. 채... [부수]艹(초두머리)

逐 쫓을 축,돼지 돈,급급한 모양 적  1. 쫓다, 쫓아내다 2. 뒤쫓다, 뒤따라가다 3. 도망가다(逃亡--) 4. 달리다 5. 구하다(求--), 찾다, 추구하다(追求--) 6. 다투다 7. 따르다 8. 방탕하다(放蕩--) 9. 하나하나, 차례대로(次例--) a. 돼지... [부수]辶(책받침)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칼의 몸을 꽂아 넣어 두도록... [부수]刂(선칼도방)

迹 자취 적  1.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발자취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跡ㆍ行績ㆍ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부수]辶(책받침)

藉 깔 자,짓밟을 적,빌 차,빌릴 차  1. 깔다 2. 깔개 3. 자리 4. 가령(假令) 5. 설사(設使) a. 짓밟다 (적) b. 밟다 (적) c. 범하다(犯--) (적) d. 업신여기다 (적) e. 왁자하다 (적) f. 친경(親耕)하다 (적) g. 적전(籍田ㆍ耤田: 임금이... [부수]艹(초두머리)

鼓 북 고  1. 북(타악기의 하나) 2. 북소리 3. 맥박(脈搏), 심장의 고동(鼓動) 4. 시보(時報), 경점(更點: 북이나 징을 쳐서 알려 주던 시간) 5.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6. 무게의 ... [부수]鼓(북고)

琴 거문고 금 1. 거문고(우리나라 현악기의 하나) 2. 거문고 타는 소리 3. (거문고를)타다 4. 심다 [부수]王(구슬옥변)

賜 줄 사  1. 주다 2. 하사하다(下賜--) 3. (은혜를)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4. 분부하다(分付ㆍ吩咐--), 명령하다(命令--) 5. 다하다 6. 은덕(恩德), 은혜(恩惠) 7. 하사(下賜)한... [부수]貝(조개패)

旣 이미 기,쌀 희  1. 이미, 벌써, 이전에 2. 원래, 처음부터 3.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4. 다하다, 다 없어 지다, 다 없애다 5. 끝나다, 끝내다 a. 쌀 (희) b. 녹미(祿米: 녹봉으로 받는 쌀) (희) [부수]无(이미기방)

茂 무성할 무  1. 무성하다(茂盛--), 우거지다 2. 넉넉하다, 풍성하다(豐盛--) 3. 힘쓰다 4. 뛰어나다 5. 빼어나다, 우수하다(優秀--) 6. 융성하다(隆盛--) [부수]艹(초두머리)

隘 좁을 애,막을 액  1. 좁다, 협소하다(狹小--) 2. 곤궁하다(困窮--) 3. 험하다(險--) 4. 가득 차다 5. 요해처(要害處) a. 막다, 저지하다(沮止--) (액) b. 방해하다(妨害--) (액) c. 제한하다(制限--) (액) d. 멀리 떨어지다... [부수]阝(좌부변)

削 깎을 삭,채지 소,칼집 초  1. 깎다 2. 빼앗다 3. 모질다 4. 약해지다 5. 작다 6. 지근대다 7. 창칼 a. 채지(采地: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소) b.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소) c. 칼집(칼의 몸을 꽂아 넣어 두도록... [부수]刂(선칼도방)

扢 기뻐할 흘,문지를 골,끌어당길 걸  1. 기뻐하다 2. 기뻐하는 모양 3. 춤추는 모양 4. 쥐부스럼 a. 문지르다 (골) b. 갈다(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다른 물건에 대고 문지르다) (골) c. 닦다 (골) d. 끌어당기다 (걸) [부수]扌(재방변)

潁 강 이름 영  1. 강(江)의 이름 2. 물의 이름 [부수]水(물수)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