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5
302` 굶어 죽은 백이와 숙제 (잡편:28.양왕,15)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5]-
옛날 주나라가 일어날 때에 두 사람의 선비가 고죽이라는 고장에 살고 있었는데, 그들이 백이와 숙제이다. 두 사람이 서로 상의를 했다.
“내가 듣건대 서쪽에 한 사람이 있는데, 도를 터득한 사람인 듯하니 가보기로 합시다.”
그리고는 기산의 남쪽 기슭에 이르렀을 때, 무왕이 이들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아우인 숙단을 시켜 그들을 마중하도록 했다. 숙단은 그들에게 맹세하기를 녹은 2등 이상을 주고, 벼슬은 일등 자리를 주겠다고 말하면서, 짐승의 피를 빨고 이 맹세를 쓴 글을 땅에 묻어 맹세를 굳혔다.
두 사람은 서로 쳐다보고 웃으며 말했다.
“허 이상도 하군요. 이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도가 아닌데요. 옛날 신농이 천하를 다스리고 있을 때에는 철에 따른 제사를 공경히 지내기는 하였지만, 행복을 빌지는 않았습니다. 백성들에 대하여 충실하고 신뢰감 있게 정성을 다하여 다스리기는 하였지만 다른 무엇을 요구하지는 않았습니다. 즐거이 정치를 맡으면 정치를 하였고, 즐거이 다스리게 되면 다스리기만 했습니다. 남의 손실을 근거로 하여 자신의 성공을 바라지 않았고, 남을 낮추면서 자신이 높아지도록 하지 않았으며, 시세를 만났다 하여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았습니다.
지금 주나라는 은나라가 혼란함을 보고서 갑자기 좋은 정치를 하려하고 있습니다. 윗사람은 계책을 써서 신하들을 모으고, 아랫사람은 재물을 쓰며 벼슬을 구하고 있습니다. 군대에 의지하여 위세를 보존하고, 짐승의 피를 내어 맹세함으로써 믿음을 표시하며, 훌륭한 행동을 표창함으로써 민중들을 기쁘게 해주고, 사람들을 죽이면서 남을 공격하여 이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혼란을 밀고 나가 주왕의 폭정과 대체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제가 듣건대 옛날의 선비들은 잘 다스려지는 세상을 만나면 그에게 맡겨진 일을 피하지 않고,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구차히 살아가려 들지 않는다 했습니다. 지금 천하가 혼미하고 주나라의 덕이 쇠하고 있습니다. 주나라와 함께 살아감으로써 내 몸을 더럽히기보다는 차라리 주나라를 피하여 나의 행동을 깨끗이 하여야 하겠습니다.”
두 사람은 북쪽 수양산으로 가서 마침내 굶어죽었다. 백이와 숙제 같은 사람들은 부귀에 대하여는 구차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해도 절대로 받지 않을 사람들이었다. 높이 뛰어난 절조나 남과 다른 행동으로 홀로 그의 뜻을 즐기고 세상에서 일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이것이 두 선비의 절의인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5]-
昔周之興, 有士二人處於孤竹, 曰伯夷叔齊. 二人相謂曰:「吾聞西方有人, 似有道者, 試往觀焉.」 至於岐陽, 武王聞之, 使叔旦往見之, 與之盟曰:「加富二等, 就官一列.」 血牲而埋之.
二人相視而笑曰:「唏, 異哉! 此非吾所謂道也. 昔者神農之有天下也, 時祀盡敬而不祈喜. 其於人也, 忠信盡治而无求焉. 樂與政爲政, 樂與治爲治, 不以人之壞自成也, 不以人之卑自高也, 不以遭時自利也. 今周見殷之亂而遽爲政, 上謀而行貨, 阻兵而保威, 割牲而盟以爲信, 揚行以說衆, 殺伐以要利, 是推亂以易暴也. 吾聞古之士, 遭治世不避其任, 遇亂世不爲苟存. 今天下闔, 周德衰, 其竝乎周以塗吾身也, 不如避之以絜吾行.」 二子北至於首陽之山, 遂餓而死焉. 若伯夷叔齊者, 其於富貴也, 苟可得已, 則必不賴. 高節戾行, 獨樂其志, 不事於世, 此二士之節也.
(석주지여, 유사이인처어고죽, 왈백이숙제. 이인상위왈:[오문서방유인, 사유도자, 시왕관언.] 지어기양, 무왕문지, 사숙단왕견지, 여지맹왈:[가부이등, 취관일열.] 혈생이매지.
이인상시이소왈:[희, 이재! 차비오소위도야. 석자신농지유천하야, 시사진경이불기희. 기어인야, 충신진치이무구언. 락여정위정, 락여치위치, 불이인지괴자성야, 불이인지비자고야, 불이조시자리야.
금주견은지란이거위정, 상모이행화, 조병이보위, 해생이맹이위신, 양행이설중, 살벌이요리, 시추란이역폭야. 오문고지사, 조치세불피기임, 우란세불위구존. 금천하합, 주덕쇠, 기병호주이도오신야, 불여피지이혈오행.] 이자북지어수양지산, 수아이사언. 약백이숙제자, 기어부귀야, 구가득이, 즉필불뢰. 고절려행, 독락기지, 불사어세, 차이사지절야.)
昔 예 석,섞일 착 1. 예, 옛, 옛날 2. 어제 3. 접때(오래지 아니한 과거의 어느 때), 앞서 4. 저녁, 밤 5. 끝 6. 처음 7. 말린 고기, 포 8. 오래다, 오래되다 9. 끝나다 a. 섞이다, 교착하다(交錯--) (착) [부수]日(날일)
孤 외로울 고 1. 외롭다, 의지(依支)할 데가 없다 2. 떨어지다, 멀다 3. (고아로)만들다 4. (불쌍히 여겨)돌보다, 염려하다(念慮--) 5. 버리다, 벌하다(罰--) 6. 저버리다, 배반하다(背反ㆍ背叛--) 7. 작다 8. 고루(固陋)하고... [부수]子(아들자)
岐 갈림길 기 1. 갈림길 2. 산(山)의 이름 3. 날아가는 모양 4. 자라나는 모양 5. 지각이 드는 모양 6. 갈래짓다 7. 높다 8. 울퉁불퉁하다 [부수]山(뫼산)
盟 맹세 맹 1. 맹세(盟誓) 2. 약속(約束) 3. 비슷한 사람끼리의 모임 4. 구역(區域) 5. 땅의 이름(孟) 6. 맹세하다(盟誓--) [부수]皿(그릇명)
牲 희생 생 1. 희생(犧牲: 제사에 쓰이는 짐승) 2. 제사(祭祀)에 쓰는 소 3. 가축(家畜)의 통칭(通稱) [부수]牛(소우)
犧 희생 희,술 그릇 사 1. 희생(犧牲) 2. 짐승 a. 술 그릇 (사) [부수]牛(소우)
犧牲 희생 천지종묘(天地宗廟) 제사(祭祀)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을 일컫는 말로, ①犧(희)는 색이 순수(純粹)한 것, 牲(생)은 길함을 얻지 못해 죽이는 것 ②어떤 사물(事物), 사람을 위(爲)해서 자기(自己) 몸을 돌보지 않고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따위를 바치거나 버림
唏 훌쩍훌쩍 울 희 1. 훌쩍훌쩍 울다, 곡하다 2. 슬프다, 슬퍼하다 3. 탄식(歎息ㆍ嘆息)하여 울다 4. 웃다 5. 웃는 소리 [부수]口(입구)
遭 만날 조 1. (우연히)만나다 2. (나쁜 일을)당하다(當--) 3. 두르다 4. 둘레 5. 번(횟수를 세는 말) 6. 바퀴(둘레를 세는 말) [부수]辶(책받침)
祀 제사 사 1. 제사(祭祀) 2. 제터(祭-: 제사를 지내려고 마련한 터) 3. 해, 년(年) 4. 세(世), 대(代) 5. 제사(祭祀) 지내다 [부수]礻(보일시변)
盡 다할 진 1. 다하다 2. 완수하다(完遂--) 3. 극치(極致)에 달하다(達--) 4. 최고에 달하다(達--) 5. 다 없어지다 6. 사망하다(死亡--) 7. 죽다 8. 모든 9. 전부의(全部-) 10. ~만 11. 다만 ~뿐 [부수]皿(그릇명)
祈 빌 기,산제사 궤 1. (신에게)빌다, 기원하다(祈願--) 2. (신에게)고하다(告--) 3. 구하다(求--) 4. 갚다, 보답하다(報答--) 5. 기도(祈禱) a. 산제사(山祭祀) (궤) [부수]礻(보일시변)
壞 무너질 괴,앓을 회 1. 무너지다 2. 무너뜨리다 3. 허물어지다 4. 파괴하다 5. 망가지다(부서지거나 찌그러져 못 쓰게 되다) 6. 고장나다(故障--) 7. 악하다(惡--) 8. 나쁘다 9. 썩다 10. 나쁜 생각 11. 못된 수작(酬酌) 12.... [부수]土(흙토)
殷 성할 은,은나라 은,검붉은빛 안 1.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2. 많다 3. 부유하다(富裕--), 가멸다(재산이 넉넉하고 많다) 4. 크다 5. (정이)두텁다 6. 깊다 7. 우뚝하다, 험준하다(險峻--) 8. 격렬하다(激烈--),... [부수]殳(갖은등글월문)
亂 어지러울 란,어지러울 난 1. 어지럽다 2. 어지럽히다, 손상시키다(損傷---) 3. 다스리다 4. 음란하다(淫亂--), 간음하다(姦淫--) 5. 무도하다(無道--), 포악하다(暴惡--) 6. (물을)건너다 7. 가득 차다, 널리 퍼지다 8. 난리(亂離),... [부수]乙(새을)
遽 급히 거 1. 급(急)히 2. 분주히(奔走-) 3. 갑자기 4. 어찌 5. 역말(驛-: 각 역참에 갖추어 둔 말) 6. 곳, 거처(居處) 7. 술패랭이꽃 8. 군색하다(窘塞--), 절박하다(節拍--) 9. 갑작스럽다 10. 황급하다(遑急--)... [부수]辶(책받침)
阻 막힐 조 1. 막히다 2. 험하다(險--) 3. 떨어지다 4. 허덕거리다 5. 저상하다 6. 의심하다(疑心--) 7. 의거하다(依據--) 8. 믿다 9. 고난(苦難) [부수]阝(좌부변)
威 위엄 위 1. 위엄(威嚴), 권위(權威) 2. 세력(勢力), 힘, 권세(權勢) 3. 두려움 4. 거동(擧動) 5. 공덕(功德) 6. 법칙(法則) 7. 형벌(刑罰) 8. 시어머니 9. 쥐며느리(쥐며느릿과의 절지동물) 10. 존엄하다(尊嚴--)... [부수]女(계집녀)
割 벨 할 1. 베다, 자르다, 끊다 2. 끊어 버리다 3. 나누다, 쪼개다 4. 가르다, 갈라서 찢다 5. (영토를)나누어 주다 6. 할거하다(割據--), 차지하다 7. 빼앗다 8. 해치다(害--), 손상하다(損傷--) 9. 판단하다(判斷--)... [부수]刂(선칼도방)
揚 날릴 양 1. 날리다 2. 하늘을 날다 3. 바람에 흩날리다 4. 오르다, 올리다 5. 쳐들다 6. 나타나다, 드러나다 7. 들날리다, 알려지다 8. 말하다, 칭찬하다(稱讚--) 9. 누그러지다, 고르게 되다 10. 밝히다, 명백(明白)하게... [부수]扌(재방변)
止揚 ①더 높은 단계(段階)로 오르기 위(爲)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②어떤 사물(事物)에 관(關)한 모순이나 대립(對立)을 부정(否定)하면서 도리어 한층 더 높은 단계(段階)에서 이것을 긍정(肯定)하여 살려 가는 일
苟存 구차(苟且)스럽게 삶
苟 진실로 구,구차할 구 1. 진실로(眞實-), 참으로 2. 다만, 단지(但只) 3. 겨우, 간신히 4. 만약(萬若) 5. 구차하게(苟且--) 6. 바라건대 7. 잠시(暫時) 8. 구차하다(苟且--), 구차(苟且)하게 굴다 9. 미봉하다(彌縫--: 일의... [부수]艹(초두머리)
闔 문짝 합 1. 문짝(門-) 2.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뜸(짚, 띠, 부들 따위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물건) 3. 온통 4. 전부의(全部-) 5. 통할하다(統轄--: 모두 거느려 다스리다) 6. 어찌 ~아니하랴 7. (문을)닫다 8. 부합하다(符合--: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 9. 간직하다 10. 막다, 못하게 하다 11. 숨 쉬다 [부수]門(문문)
衰 쇠할 쇠,상옷 최,도롱이 사 1. 쇠하다(衰--) 2. 약하다(弱--) a. 상옷 (최) b. 줄다, 줄이다 (최) c. 도롱이(짚, 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사) [부수]衣(옷의)
竝 나란히 병,곁 방,짝할 반 1. 나란히 2. 모두 3. 나란히 서다 4.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5. 함께 하다 6. 겸하다(兼--) 7. 아우르다 8. 떼지어 모이다 9. 어울리다 10. 병합하다(倂合--), 합... [부수]立(설립)
塗 칠할 도,길 도 1. 칠하다 2. 칠하여 없애다 3. 지우다 4. 더럽히다 5. 매흙질하다(벽 거죽에 매흙을 바르다) 6. 두텁고 많다 7. 길 8. 도로(道路) 9. 진흙 10. 진흙탕 11. 진창(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12.... [부수]土(흙토)
三塗 ①사람으로서 부모(父母)를 섬겨야 할 세 가지 도리(道理). 곧 부모(父母)가 생존(生存)했을 때 잘 봉양(奉養)하고, 돌아간 후(後) 근신(謹愼)하여 상제(喪制) 노릇을 제대로 하고, 제사(祭祀)를 정성껏(精誠-) 받드는 일. 삼행(三行) ②성문(聲聞)이나 보살(菩薩)이 수행(修行)하는 과정(過程)의 세 단계(段階). 곧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를 가리킴 ③생사(生死)에 윤회(輪廻)하는 인과(因果)에 대(對)한 세 가지 모양(模樣). 곧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일컫는 말 ④군사(軍士)를 쓰는 세 가지 병법(兵法). 곧 정병(正兵), 기병(奇兵), 복병(伏兵)을 일컫는 말
3도(三道):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
3도(三道): 증도(證道) · 조도(助道) · 불주도(不住道)의 동상3도(同相三道)
3도(三道): 성문승 · 연각승 · 보살승의 3승(三乘)
3도(三道): 혹도(惑道) · 업도(業道) · 고도(苦道). 이 가운데 혹도는 번뇌도(煩惱道)라고도 하며, 3도를 3륜(三輪) · 3취(三聚) 또는 윤회3도(輪廻三道)라고도 한다.
3도(三道): 10업도(十業道) 가운데 탐(貪) · 진(瞋) · 사견(邪見)
3도(三塗): 화도(火塗) · 도도(刀塗) · 혈도(血塗). 3도(三途)라고도 한다.[6][7][8][9]
3도처(三道處):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10]
3도: 혹도·업도·고도[편집]
12연기:
① 무명 ↓ ② 행 ↓ ③ 식 ↓ ④ 명색 ↓ ⑤ 6입 ↓ ⑥ 촉 ↓ ⑦ 수 ↓ ⑧ 애 ↓ ⑨ 취 ↓ ⑩ 유 ↓ ⑪ 생 ↓ ⑫ 노사
3도(三道, 영어: three paths, three evil destinies)는 혹도(惑道) · 업도(業道) · 고도(苦道)를 말한다. 혹도는 번뇌도(煩惱道)라고도 한다.[4][37][38]
3도는 3륜(三輪) · 3취(三聚) 또는 윤회3도(輪廻三道)라고도 한다.[5][39]
3도에서 '도(道)'는 '다른 것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뜻으로 원인이 되어 결과를 낳는 것 즉 인과관계를 뜻한다. 3도는 유정이 생사윤회를 반복하게 되는 과정을 인과관계[道]의 관점에서 3단계로 나눈 것으로, 탐 · 진 · 치 등의 번뇌[惑]가 원인이 되어 신업 · 구업 · 의업의 업(業)이 일어나고 업(業)이 원인이 되어 고(苦) 즉 3계6도의 삶 즉 5취온이라는 이숙과(異熟果)가 생겨나는 것을 말한다.
천태종의 개조 지의(智顗: 538~597)는 《금광명경현의(金光明經玄義)》 상권에서 3도를 12연기와 관련시켜 해설하고 있다.[40]
지의의 설명에 따르면, 12연기 가운데 과거 생의 무명(無明)과 현재 생의 애(愛) · 취(取)의 3가지 지분이 혹도(惑道) 즉 번뇌도(煩惱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과거 생의 행(行)과 현재 생의 유(有)의 2가지 지분이 업도(業道)에 해당한다. 그리고 현재 생의 식(識) · 명색(名色) · 6입(六入) · 촉(觸) · 수(受)와 미래 생의 생(生) · 노사(老死)의 7가지 지분이 고도(苦道)에 해당한다.
지의의 이 설명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저술한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에 나오는 설명과 정확히 일치한다. 《대승광오온론》은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685년에 한역하였다.[41]
안혜는 《대승광오온론》에서 인과(因果)를 부정하는 그릇된 견해인 사견(邪見)에 대해 설명하면서, 12연기의 12지분을 원인[因]과 결과[果]로 나누고, 다시 원인[因]을 번뇌와 업으로 나누고 있다. 달리 말하면, 번뇌와 번뇌의 작용과 동시에 형성되는 업과 업에 의해 생겨나는 결과로 나누고 있는데, 그 구분은 다음과 같다.[42][43]
원인
번뇌: ① 무명
업: ② 행
결과: ③ 식, ④ 명색, ⑤ 6입, ⑥ 촉, ⑦ 수
원인
번뇌: ⑧ 애, ⑨ 취
업: ⑩ 유
결과: ⑪ 생, ⑫ 노사
絜 헤아릴 혈,깨끗할 결,들 계,홀로 갈 1. 헤아리다 2. 재다 3. 두르다, 묶다 4. 삼 한 단 a. 깨끗하다 (결) b. 결백하다(潔白--) (결) c. 고요하다(조용하고 잠잠하다) (결) d. 밝다 (결) e. 희다 (결) f. 들다 (계) g. 휴대하다(携帶--) (계)... [부수]糸(실사)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 [부수]辶(책받침)
餓 주릴 아 1. 주리다 2. 굶다 3. 굶주리다 4. 배 고프다 5. 기아(飢餓ㆍ饑餓) 6. 굶주림 [부수]飠(밥식변)
賴 의뢰할 뢰,의뢰할 뇌 1. 의뢰하다(依賴--) 2. 힘입다 3. 의지하다(依支--) 4. 얻다 5. 버티다 6. 억지 부리다 7. 책망하다(責望--) 8. 탓하다 9. 생떼를 쓰다 10. 전가시키다 11. 덮어씌우다 12. 발뺌하다 13. 머물러 떠나려... [부수]貝(조개패)
節 마디 절 1. (식물의)마디 2. (동물의)관절(關節) 3. 예절(禮節) 4. 절개(節槪ㆍ節介),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5. 철, 절기(節氣) 6. 기념일(記念日), 축제일(祝祭日), 명절(名節) 7. 항목(項目),... [부수]竹(대죽)
戾 어그러질 려,어그러질 여,돌릴 렬,돌릴 열,어그러질 태 1. 어그러지다, 거스르다 2. 사납다, 포악하다(暴惡--) 3. 돌려주다 4. 탐하다(貪--), 욕심을 부리다 5. 세차다, 맹렬하다(猛烈--) 6. 거세다 7.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8.... [부수]戶(지게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2 (0) | 2017.02.17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 (0) | 2017.02.15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4 (0) | 2017.02.10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3 (0) | 2017.02.08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2 (0) | 2017.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