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
303` 공자 도척을 설득하러 가다 (잡편:29.도척,1)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1]-
공자에게 유하계라는 친구가 있었는데, 그의 아우의 이름은 도척이라 했다. 도척은 9천명의 졸개를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면서 제후들의 영토를 침범하여 그들을 털었다. 남의 집에 구멍을 뚫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 남의 소와 말을 훔치고 남의 부녀자들을 약탈했다. 이익을 탐하느라 친척도 잊었으며, 부모형제도 돌아보지 않았고, 조상들에게 제사도 지내지 않았다. 그가 지나가는 곳에서는 큰 나라는 성을 지키고, 작은 나라는 성안으로 도망쳐 난을 피했다. 그래서 온 백성들이 괴로움을 당했다.
공자가 유하계에게 말했다.
“한 사람의 아버지 된 사람이라면, 반드시 그 아들을 훈계할 수 있을 것이요. 한 사람의 형 된 사람이라면, 반드시 그 아우를 가르칠 수 있을 것일세. 만약 아버지로서 그 자식을 훈계할 수 없고, 형으로서 그 아우를 가르칠 수 없다면, 부자와 형제간의 친애도 그리 대수로운 것이 못 될 것이네. 지금 자네는 세상이 알아주는 재사이면서, 그 아우는 도척이라는 대도가 되어 천하에 해를 끼치고 있는데도 그를 가르치지 못하고 있으니, 나는 속으로 자네를 부끄럽게 여기고 있네. 내 그대를 대신해 가서 그를 설득해 보겠네.”
유하계가 말했다. “자네는 한 사람의 아비 된 사람은 반드시 그 자식을 훈계할 수 있고, 한 사람의 형 된 사람은 그 아우를 가르칠 수 있다 하였네만, 만약 자식이 아버지의 훈계를 듣지 않고 동생이 형의 가르침을 받지 않는다면 어찌하겠나? 또 도척이란 녀석의 사람됨은 마음은 용솟음치는 샘물같이 끝이 없고, 의지는 회오리바람같이 사나우며, 완력은 어떤 적이라도 막아내기에 충분하고, 그 언변은 자기의 비행을 꾸며대기에 충분하다네, 제 마음에 들면 좋아하지만, 제 마음에 듣지 않으면 성을 내며 함부로 욕을 해대니, 부디 가지 말게나.”
그러나 공자는 그의 말을 듣지 않고 안회에게 수레를 몰게 하고 자공을 오른편에 앉힌 뒤 도척을 만나러 갔다.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1]-
孔子與柳下季爲友, 柳下季之弟, 名曰盜跖. 盜跖從卒九千人, 橫行天下, 侵暴諸侯, 穴室樞戶, 驅人牛馬, 取人婦女, 貪得忘親, 不顧父母兄弟, 不祭先祖. 所過之邑, 大國守城, 小國入保, 萬民苦之.
孔子謂柳下季曰:「夫爲人父者, 必能詔其子. 爲人兄者, 必能敎其弟. 若父不能詔其子, 兄不能敎其弟, 則无貴父子兄弟之親矣. 今先生, 世之才士也, 弟爲盜跖, 爲天下害, 而弗能敎也, 丘竊爲先生羞之. 丘請爲先生往說之.」
柳下季曰:「先生言爲人父者必能詔其子, 爲人兄者必能敎其弟, 若子不聽父之詔, 弟不受兄之敎, 雖今先生之辯, 將奈之何哉! 且跖之爲人也, 心如涌泉, 意如飄風, 强足以矩敵, 辯足以飾非, 順其心則喜, 逆其心則怒, 易辱人以言. 先生必无往.」
孔子不聽, 顔回爲馭, 子貢爲右, 往見盜跖.
(공자여류하계위우, 류하계지제, 명왈도척. 도척종졸구천인, 횡행천하, 침폭제후, 혈실추호, 구인우마, 취인부녀, 탐듣망친, 불고부모형제, 불찰선조. 소과지읍, 대국수성, 소국입보, 만민고지.
공자위류하계왈:[부위인부자, 필능조기자, 위인형자, 필능교기제. 약부불능조기자, 형불능교기제, 즉무귀부자형제지친의. 금선생, 세지재사야, 제위도척, 위천하해, 이불능교야, 구절위선생수지. 구청위선생왕설지.]
류하계왈:[선생언위인부자필능조기자, 위인형자필능교기제, 약자불청부지조, 제불수형지교, 수금선생지변, 장나지하재! 차척지위인야, 심여용천, 의여표풍, 강족이구적, 변족이식비, 순기심즉희, 역기심즉노, 이욕인이언. 선생필무왕.]
공자불청, 안회위어, 자공위우, 왕견도척.)
樞 지도리 추,나무 이름 우 1. 지도리(돌쩌귀) 2. 근원(根源) 3. 본질(本質) 4.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 5. 관건(關鍵) 6. 계기(契機) 7. 고동(기계 장치) 8. 천자(天子)의 지위(地位) 9. 국가(國家)의 정권(政權) 10. 별의...[부수]木(나무목)
甕牖繩樞 옹유승추 「깨진 항아리의 주둥이로 창을 하고, 새끼로 문을 단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驅 몰 구 1. (말을 타고)몰다 2. 빨리 달리다 3. 내쫓다 4. 내보내다 5. 몰아내다 6. 축출하다(逐出--) 7. 내침 8. 대열(隊列: 줄을 지어 늘어선 행렬) 9. 앞잡이 [부수]馬(말마)
爲叢驅雀 위총구작 자기(自己)를 이롭게 하려다가 도리어 남을 이롭게 하는 일을 이르는 말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邑 고을 읍,아첨할 압 1. 고을 2. 마을 3. 도읍(都邑), 도성(都城) 4. 나라 5. 봉지(封地), 영지(領地) 6. 읍(행정 구역 단위) 7. 우울(憂鬱)한 모양 8. (도읍을)닦다 9. 영유하다(領有--: 자기의 것으로 차지하여 가지다) 10.... [부수]邑(고을읍)
詔 조서 조,소개할 소 1. 조서 2. 왕호(王號) 3. 문체(文體)의 이름 4. 고하다(告--) 5. 말하다 6. 부르다 7. 가르쳐 지도하다(指導--) 8. 돕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a. 소개하다(紹介--) (소) b. 잇다 (소) c. 승계하다... [부수]言(말씀언)
貴 귀할 귀 1. 귀하다(貴--) 2. (신분이)높다 3. 중요하다(重要--), 귀중하다(貴重--) 4. 귀하게 여기다, 숭상하다(崇尙--) 5. 공경하다(恭敬--), 존중하다(尊重--) 6. 비싸다, 값이 높다 7. 바라다 8. 귀(貴)한 사람... [부수]貝(조개패)
竊 훔칠 절 1. 훔치다 2. 도둑질하다 3. 절취하다 4. 도둑 5. 도둑질 6. 살짝 7. 남몰래 8. 마음속으로 9. 슬그머니 [부수]穴(구멍혈)
羞 부끄러울 수 1. 부끄러워하다 2. 수줍어하다 3. 두려워하다, 겁내다 4. 미워하다, 싫어하다 5. (음식을)올리다 6. 드리다 7. 나가다 8. 추천하다(推薦--), 천거하다(薦擧--) 9. 부끄럼 10. 수치(羞恥) 11. 치욕(恥辱),... [부수]羊(양양)
奈 어찌 내,어찌 나 1. 어찌 2. 능금나무(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3. 대처하다(對處--), 대응하다(對應--) 4. 견디어 내다 a. 어찌 (나) b. 지옥(地獄), 나락(那落ㆍ奈落) (나) [부수]大(큰대)
涌 물 솟을 용 1. 물이 솟다, 솟구치다 2. (땅에서 사물이)나오다, 솟아나다 3. 떠오르다, 나타나다 4. (물가가)오르다 5. 성(盛)하게 일다 6. 토하다(吐--), 게우다 [부수]氵(삼수변)
泉 샘 천 1. 샘 2. 지하수 3. 돈 4. 황천(黃泉), 저승 5. 조개(판새류의 연체동물 총칭)의 이름 [부수]水(물수)[
矩 모날 구,법도 구 1. 모나다(사물의 모습이나 일에 드러난 표가 있다) 2. 새기다, 새겨 표시하다(表示--) 3. 곱자('ㄱ' 자 모양의 자) 4. 네모, 사각형(四角形) 5. 모서리(물체의 모가 진 가장자리) 6. 대지(大地), 땅...[부수]矢(화살시)
飾 꾸밀 식,경계할 칙 1. 꾸미다 2. 단장하다(丹粧--) 3. 위장하다(僞裝--), 거짓으로 꾸미다 4. 씻다 5. 꾸밈 6. 장식(粧飾) 7. 보물(寶物) 8.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a. 경계하다(警戒--)... [부수]飠(밥식변)
易 바꿀 역,쉬울 이 1. 바꾸다, 고치다 2. 교환하다(交換--), 무역하다(貿易--) 3. 전파하다(傳播--), 번지어 퍼지다 4. 바뀌다, 새로워지다 5. 다르다 6. 어기다(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배반하다(背反ㆍ背叛--) 7. ... [부수]日(날일)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 [부수]辰(별진)
馭 말 부릴 어 1. 말을 부리다 2. 말을 부리는 방법(方法) 3. 타는 것 4. 마부(馬夫: 말을 부려 마차나 수레를 모는 사람) 5. 말어거(-馭車: 수레를 메운 말을 부리어 모는 일) [부수]馬(말마)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3 (0) | 2017.02.20 |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2 (0) | 2017.02.17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5 (0) | 2017.02.14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4 (0) | 2017.02.10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3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