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金剛經

18 一體同觀分

18 一體同觀分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如是世尊, 如來有肉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如是世尊, 如來有天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蕙眼不. 如是世尊 如來有蕙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法眼不. 如是世尊 如來有法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佛眼. 須菩堤,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世尊, 如來說是沙. 須菩堤,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說世界如是 寧爲多不. 甚多世尊 佛告須菩堤 爾所國土中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何. 須菩堤,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부. 여시세존, 여래유육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천안부. 여시세존, 여래유천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혜안부. 여시세존 여래유혜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법안부. 여시세존 여래유법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불안. 여시세존, 여래유불안. 수보리, 어의운하 여항하중소유사 불설시사부. 여시세존, 여래설시사. 수보리, 어의운하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항하 시제항하소유사수 불설세계여시 영위다부. 심다세존 불고수보리 이소국토중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실지 하이고. 여래설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소이자하. 수보리,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육체의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육체의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네생각은 어떠하나, 여래에게 하늘의 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하늘의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나, 여래에게 슬기의 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슬기의 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법의눈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여래에게 법의 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부처의 눈이 있느냐?” “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부처의 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그러면 네 생각에 이것은 또 어떠하나,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과같이라고 부처가 이 모래알을 말한적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이 모래알을 말씀하신일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그러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만약에 한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 그 모래알의 수효만큼의 항하가 있어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알만큼의 수효대로 부처님의 세계가 있다면, 정녕 그것이 많다 하겠느냐, 그렇지 않다 하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하고 대답하니, 

부처님께서 수보리 에게 일러 말씀 하시기를, “그렇게 많은 그 부처님의세계 가운데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가지가지의 마음을 여래는 속속들이 다 알고 있느니라. 그것이 무슨 까닭이냐 하면,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이 다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가히 알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과거, 현재, 미래심: 과거의 마음은 이미 지나가고 없는 것이며, 미래의 마음은 아직 오지 않았으니 역시 없는 것이며, 현재의 마음 이란것은 -현재란 과거와 미래가갈라지는 싯점-의 순간을 현재라고 하는것이니 모든것이 空한 것임.    


蕙 풀 이름 혜  1. 풀의 이름 2. 혜초 [부수]艹(초두머리)

肉眼 ①불교(佛敎)에서 이르는 오안(五眼)의 하나. 육신(肉身)에 갖춰진 안구(眼球) ②안경(眼鏡)을 쓰지 않은 천생(天生)의 시력(視力). 맨눈 ③눈으로 보는 표면적(表面的)인 안식(眼識)

天眼 오안(五眼)의 하나. 원근(遠近)ㆍ전후(前後)ㆍ상하(上下)ㆍ주야(晝夜)를 자재로 볼 수 있는 눈

慧 슬기로울 혜  1. 슬기롭다, 총명하다(聰明--), 사리에 밝다 2. 교활하다(狡猾--), 간교하다(奸巧--) 3. 상쾌하다(爽快--), 시원스럽다 4. 슬기, 능력(能力) 5. 지혜(智慧ㆍ知慧) 6. 깨달음 [부수]心(마음심)



[五眼 ]

수행의 정도에 따라 갖추게 되는 다섯 가지 눈.

(1) 육안(肉眼). 가려져 있는 것은 보지 못하는, 범부의 육신에 갖추어져 있는 눈.

(2) 천안(天眼). 겉모습만 보고 그 본성은 보지 못하는, 욕계·색계의 천인(天人)이 갖추고 있는 눈.

(3) 혜안(慧眼). 현상의 이치는 보지만 중생을 구제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성문(聲聞)·연각(緣覺)의 눈.

(4) 법안(法眼). 모든 현상의 참모습과 중생을 구제하는 방법을 두루 아는 보살의 눈.

(5) 불안(佛眼).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부처의 눈.

[네이버 지식백과] 오안 [五眼]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五眼 ]

1) 육안(肉眼: 중생의 육신이 가진 눈), 

2) 천안(天眼: 색계(色界)의 사람이 가진 눈으로 멀고 가까움, 안과 밖,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볼 수 있다), 

3) 혜안(慧眼: 이승(二乘)의 사람의 눈으로 연기의 실상(實相)을 보는 지혜의 눈), 

4) 법안(法眼: 보살의 눈으로 중생을 제도키 위한 일체의 법문을 비춰보는 지혜의 눈), 

5) 불안(佛眼: 부처님의 눈으로 일체를 알며 일체를 비춰보는 눈으로 1)~4) 모두를 구비한 눈.

[네이버 지식백과] 오안 [五眼]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오안(五眼 사물을 파악하는 다섯 종류의 눈)

[출처: http://blog.naver.com/ichinen/150040166041]


 

불안(佛眼)을 빛내어 예지와 자비의 파동을

 

때로는 계절마다 각양각색의 모습을 보이는 나무와 집들이 늘어선 거리의 선명한 색채 등에

눈을 빼앗겨 무심코 멈추어 서는 일이 있다.  그것도 오로지 눈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 때는 느끼지 못하지만, 눈은 우리들의 생활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상처 등으로 안대를 하게 되면 눈을 가진 고마움을 절실히 깨닫게 되는 것이다.

 

먼 곳에서 생긴 일을 아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천리안 (千里眼)'이라 말하고,  

사람의 마음의 오저까지를 감지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도 그렇게 말한다. 

또한 사물의 진상을 명확히 볼 수 있는 예리한 마음을 '심안 (心眼)'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눈'이라는 말에는 단순히 사물의 형태나 색상을 구별하는 '육안(肉眼)'이란 의미 외에

인간 생명에 갖추어진 능력이나 지적인 힘 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불법(佛法)에서는 '오안'이라 하여 다섯 가지의 눈을 설하고 있다. 

즉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을 말한다.

 

육안(肉眼) 

인간의 보통의 눈.  가까이는 잘 보이지만 멀리는 잘 볼 수 없다. 

밤에 어두우면 보이지 않으며 뒤도 볼 수 없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The Physical Eye - Eye of ordinary people. 

Distinguishes color and form.

 

천안(天眼) 

천계(天界)에 구비된 눈으로서 가까이도 멀리도 낮에도 밤에도 볼 수 있는

찰지력(察知力) 또는 직감력을 뜻하는데, 천리안 등도 천안의 분류에 들어간다.


The Heavenly Eye - Also called the divine eye. 

Perceives things in the darkness, at a distance

or beyond the physical limits of obstructions.

 

혜안(慧眼) 

이승(二乘 성문.연각)이 공(空)이라는 생명의 일실상(一實相)을 보는 지혜의 눈이다. 

즉 사물에는 고정된 실상이란 것이 없이 항상 변화하고 있다고 보는 지혜이다. 

생명론적으로 말하면 풍부한 체험에 따른 예민한 판단력이 여기에 해당된다.


The Wisdom Eye - The ability of those in the two vehicles

to perceive that nothing has independent existence of its own,

and all phenomena are nonsubstantial.

 

법안(法眼) 

보살이 일체의 중생을 구제하려고 정법을 유포하기 위해 불법은 물론 삼라만상의

이치에 통달한 지혜의 눈이다.  일체의 만물이 갖는 특색을 살펴서 내재하는 힘을

끄집어 내는 힘이고 자비가 그 바탕이 된다.  혜안은 한 사람의 내면에 잠겨 있지만,

법안은 사회로 열린 눈이라 하겠다.


The Dharma Eye - The ability of bodhisattvas to perceive

the nature of all teachings in order to save the people.

 

불안(佛眼) 

시간적으로는 과거세.현세.미래세의 삼세에 걸치고, 공간적으로는 시방(十方)

즉 전우주에 이르기까지 하나도 남김 없이 바로 환히 볼 수 있는 부처의 눈이다. 

불안에 육안.천안.혜안.법안도 동시에 구비되어 있다.  이 불안에 의해

자재(自在)의 지혜와 자비가 충만되며 솟아오르는 생명의 환희와 약동이 넘쳐서

어떠한 장애나 난관도 타고 넘어 유유히 살아갈 수 있다.


The Buddha Eye - The ability to perceive the true nature of life 

spanning past, present and future.  

The Buddha eye includes all the other 4 eyes or perceptive faculties.  

In other words, Buddhas possess all 5 types of vision.

 

 

"법화경을 수지하는 자는 오안(五眼)을 자연히 모두 갖추느니라." (어서 1144쪽)

 

"These 5 types of vision are naturally acquired by one who upholds the Lotus Sutra" 

(Writings of Nichiren Daishonin Vo.1, p.683).

 

여기서 말씀하시는 법화경이란 문저독일본문(文底獨一本門)의 법화경 즉 南無妙法蓮華經

(남묘호렌게쿄)의 어본존을 말한다.  진지하게 어본존께 기원하고 홍교 실천에 면려할 때

자연히 오안이 구비된다고 단언하시고 있다.  얼마나 굉장한 일인가.

 

오안이란 무슨 특별한 초능력과는 다른 것이다.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직관이나

통찰력은 두말 할 것도 없고, 생명의 실상을 비추는 예지의 빛이나

주위를 따뜻하게 감싸는 자비의 파동이 바로 오안의 빛이다.

[출처] ⊙ 오안 (五眼) : 사물을 파악하는 5종의 눈|작성자 묘법지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離色離相分  (0) 2017.06.09
19 法界通化分  (0) 2017.06.09
17 究竟無我分  (0) 2017.06.07
16 能淨業障分  (0) 2017.06.02
15 持經功德分  (0) 20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