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子謂戴不勝曰> 20150609


06-01 孟子謂戴不勝曰 子欲子之王之善與 我明告子 有楚大夫於此 欲其子之齊語也 則使齊人傅諸 使楚人傅諸 

       맹자위재불승왈 자욕자지왕지선여 아명고자 유초대부어차 욕기자지제어야 즉사제인부제 사초인부제

戴(대)일 /傅(부)스승 /諸(제)모두


曰使齊人傅之 曰一齊人 傅之 衆楚人咻之 雖日撻而求其齊也 不可得矣 引而置之莊嶽之間數年 雖日撻而求其楚 

왈사제인부지 왈일제인 부지 중초인휴지 수일달이구기제야 불가득의 인이치지장옥지간수년 수일달이구기초

咻(휴)신음소리, 지껄이다,(후)따스히 할, (효)외칠 /撻(달)때릴


亦不可得矣

역불가득의


맹자가 대불승더러 “당신은 당신의 왕을 좋은 왕으로 만들고 싶으신지! 내가 당신에게 똑똑히 일러드리지요. 여기에 초나라 대부가 있다고 합시다. 그가 그의 아들에게 제나라 말을 쓰도록 하고 싶을 때 제나라 사람으로 선생을 삼겠습니까? 초나라 사람으로 선생을 삼겠습니까?”

“제나라 사람으로 선생을 삼겠습니다.”

“단 한 사람의 제나라 사람이 선생이 되고, 여러 초나라 사람들과 서로 중얼댄다면 날마다 뭇매질을 하면서 제나라 말을 하라 해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를 끌고 와서 제나라 거리리에 몇 해만 두어두면 날마다 뭇매질을 하면서 초나라 말을 하라 해도 그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06-02 子謂薛居州善士也 使之居於王所 在於王所者 長幼卑尊 皆薛居州也 王誰與爲不善 在王所者 長幼卑尊 

        자위설거주선사야 사지거어왕소 재어왕소자 장유비존 개설거주야 왕수여위불선 재왕소자 장유비존

薛(설)성씨/誰(수)누구


皆非薛居州也 王誰與爲善 一薛居州 獨如宋王 何

개비설거주야 왕수여위선 일설거주 독여송왕 하


당신은 설거주를 좋은 선비라 하여 왕의 계신 곳에서 살게 하니, 왕 계신 곳에 있는 무리들이 어른 아이 높은이 낮은이 할 것 없이 모두가 설거주 같은 무리라면 왕이 누구를 데리고 나쁜 일을 할 것이며, 왕 계신 곳에 있는 무리들이 어른 아이 높은이 낮은이 할 것 없이 모두가 설거주 같은 무리가 아니라면 왕이 누구를 데리고 착한

일을 할 수 있겠소? 설거주 한 사람으로서 송나라 왕을 어떻게 할 것입니까?”


- 준이생각 : 초나라 남자가 자신의 자식에게 제나라말을 가르치고자 할 때 선생을 제나라 사람으로 하더라도 선생하나 뿐이라면 그 외의 모든 생활은 초나라 말로 할 터, 초나라 말을 제대로 하기가 어려운 것과 같이, 설거주가 좋은 사람이라고 하여 왕의 곁에 둔다 하더라도 주변 모든 사람들이 설거주와 같지 않다면 왕이 선하게 되기를 바랄수는 없는 것이다는 말을 하면서 맹자는 하나의 선생을 두는 것만으로는 절대로 충분하지 않다고 이야기 한다. 아마도 맹자는 어릴 때 특수 교육(맹모삼천지교)을 받는 경험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나름의 견해를 나타내었다고 본다. 그리고 또 하나 이번 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국이란 대륙이 너무도 커서 인근에 있는 나라사이에도 서로 말이 잘 통하지 않아 따로 선생을 두고 배워야 할 정도였다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