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고상무욕이관기묘
常有欲以觀 其徼. 此兩者同出, 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상유욕이관 기요 차양자동출 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중묘지문
徼(요)돌,순찰하다,구하다,요구하다,막다,훔치다/此(차)이,이에/衆(중)무리,많은 물건
- 참고자료 : 도(道)라고 할 수 있는 도는 널리 알려진 도가 아니고, 명 (名)이라 할 수 있는 명도 널리 알려진 명이 아니다. 천지의 시초에는 명(名)이란 것이 없었고, 명(名)이 있으면서 만물이 생겼다. 그러므로 욕심이 없으면 그 것의 묘 (妙)함을 보고 욕심을 가지면 그 것의 움직임 (徼)을 보게 된다. 이 둘은 같은 곳에서 나왔고, 이름을 달리 하지만, 모두 그윽하다 할만하다. 그윽하고 또 그윽한 것, 그 것은 모든 묘(妙)의 문이다.
- 참조 :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것은 늘 그러한 도가 아니다. 이름을 이름지우면 그것은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이름이 없는 것을 천지의 처음이라 하고, 이름이 있는 것을 만물의 어미라 한다. 그러므로 늘 욕심이 없으면 그 묘함을 보고, 늘 욕심이 있으면 그 가장자리만 본다. 그런데 이 둘은 같은 것이다. 사람의 앎으로 나와 이름을 달리 했을 뿐이다. 그 같은 것을 일컬어 가믈타고 한다. 가믈고 또 가믈토다 ! 모든 묘함이 이 문에서 나오지 않는가 !
* 불변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영원이란 “변화의 지속”일 뿐이다. 시시각각 변하지 않을 수 없는 도를 변하지 않는 우리의 생각 속에 집어넣었다. 그렇게 생각 속에 집어넣어 져 버린 도는 항상 그러한 실제의 도일 수 없다는 것이다.
- 준이해석 : 도는 도일수 있으나 항상 도이지는 않고, 명은 명이나 항상 명인 것은 아니다. 천지의 시작엔 명이 없고, 만물의 어미에겐 명이 있다, 고로 항상 욕심을 부리지 않고 그 묘함을 보고, 항상 욕심을 갖고 그 돌아감을 보면 양자(유명, 무명 등등)는 하나에서 나나 그 명은 다르다. 그것을 검다고 함께 말하고 그 검음에 더 검음이 있어니 만사의 오묘함의 문이다.
- 준이생각 : 도덕경. 그 풀이에 주석에 설명에 엄청난 수의 자료가 존재 하겠고 물론 그 모두 나름의 의미를 지니고 있겠지만, 그 해석이 수 천 년 동안 덧대진 관계로 어쩌면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너무 벗어난 감이 있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그걸 다 읽어 보고 비교하는게 더 힘듦)에 그냥 나의 짧은 감으로 직역에 충실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참조는 주로 김용옥선생이 쓴 [노자와 21세기, 통나무]를 기본으로 하려고 한다.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06 [谷神不死,是謂玄牝] (0) | 2015.12.08 |
---|---|
道德經 - 05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0) | 2015.12.08 |
道德經 - 04 [道,沖而用之, 或不盈] 20151210 (0) | 2015.12.07 |
道德經 - 03 [不尙賢,使民不爭] 20151209 (0) | 2015.12.04 |
道德經 - 02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0) | 2015.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