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頌其詩 讀其書 不知其人 可乎 是以 論其世也 是尙友也> 20150817
08-01 孟子謂萬章曰 一鄕之善士 斯友一鄕之善士 一國之善士 斯友一國之善士 天下之善士 斯友天下之善士
맹자위만장왈 일향지선사 사우일향지선사 일국지선사 사우일국지선사 천하지선사 사우천하지선사
맹자가 만장더러 “한 고을의 좋은 선비라야 한 고을 좋은 선비와 벗을 하고, 한 나라의 좋은 선비라야 한 나라의 좋은 선비와 벗을 하고, 천하의 좋은 선비라야 천 하의 좋은 선비와 벗을 하느니라.
08-02 以友天下之善士 爲未足 又尙論古之人 頌其詩 讀其書 不知其人 可乎 是以 論其世也 是尙友也
이우천하지선사 위미족 우상론고지인 송기시 독기서 부지기인 가호 시이 논기세야 시상우야
頌(송)칭송할, 기릴,(용)얼굴/尙(상)오히려
천하의 좋은 선비들과 벗하는 것만으로는 만족 하지 않고, 오히려 한 걸음 더 나아가 옛 사람들과도 이야기하게 되는 것이니, 그 의 시를 읊으며 그의 글을 읽는데 그 사람들을 몰라서야 되겠는가? 그러므로 그 시대를 논하는 것이니, 이것이 (위로)올라가서 벗한다는 것이다.”
- 준이생각 : 좋은 선비가 서로 벗을 하는 것도 한 고을, 한 나라, 천하의 각각의 레벨에 맞추어 벗을 하게 되고, 천하의 선비와 벗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옛 선비의 시와 책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그 시대를 논하는 것이니 이는 과거의 좋은 선비와 벗하는 것이다. 꼭 좋은 선비라는 범위를 두지 않는다 하더라도 자신의 마음과 벗할 사람이 어디에든 있다면 달려가서 벗하는 것이고, 과거의 좋은 책을 통해서도 마음의 벗이나 스승을 얻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09-01 齊宣王 問卿 孟子曰 王 何卿之問也 王曰卿不同乎 曰不同 有貴戚之卿 有異姓之卿 王曰 請問貴戚之卿
제선왕 문경 맹자왈 왕 하경지문야 왕올 경부동호 왈부동 유귀척지경 유이성지경 왕왈 청문귀척지경
卿(경)벼슬/戚(척)친천, 근심할,(촉)재촉할
曰君 有大過則諫 反覆之而不聽則易位
왈군 유대과즉간 반복지이불청즉역위
諫(간)간할/覆(복)다시, (부)덮을
제선왕이 경(卿)에 대하여 물으니 맹자가 말하기를 “왕은 어떤 경에 대하여 물으시는지?” “경이 다른 게 있습니까?” “다른 게 있습니다. 친척의 경이 있고 딴 성바지의 경이 있습니다.”
“친척의 경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주군에게 큰 허물이 있으면 간하고 거듭거듭 일러도 듣지 않으면 왕위를 바꾸어 버립니다.”
09-02 王勃然變乎色
왕발연변호색
勃(발)노할,발끈하다
왕이 발끈하여 얼굴빛을 변하였다.
09-03 曰王勿異也 王問臣 臣不敢不以正對
왈왕물이야 왕문신 신불감불이정대
“왕께서는 달리 생각지 마십시오. 왕께서 신에게 물으시기에 신이 바른대로 대답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09-04 王色定然後 請問異姓之卿 曰君 有過則諫 反覆之而不聽則去
왕색정연후 청문이성지경 왈군 유과즉간 반복지이불청즉거
왕이 얼굴빛을 가라앉힌 뒤에 딴 성바지의 경에 대하여 좀 알고 싶다고 하시매 “주 군에게 허물이 있으면 간하고 거듭거듭 일러도 듣지 않으면 떠나 버립니다.” 그렇 게 대답하였다.
- 준이생각 : 맹자의 서슬퍼른 철학과 함께 약간의 재치가 있는 에피소드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마도 제선왕은 맹자에게 벼슬자리(권력)를 어떻게 나누어야 될까 하고 물어 본 것인 듯 한데 맹자는 이 권력 배분에 대하여 같은 성과 다른 성으로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을 하는데 아마도 같은 성이란 바로 왕의 일족을 말하는듯하고 다른 성이라 함은 왕족과는 다른 선비가 양반이라고 쉽게 이해해도 무리가 아닐것 같다. 왕의 일족은 왕이 큰 허물이 있고 이를 바로 잡으려 거듭 말해도 듣지 않을 시는 왕을 바꾸어 버린다고 하고 - 이 부분은 바로 동성혁명(쿠데타나 정권교체)을 말하는 듯하고, 이를 듣고 제선왕이 벌컥 화를 내자, 이성의 신하의 경우는 그냥 떠나 버린다고 하는데, 이는 당장 공자와 맹자 자신의 이야기 인듯하다. 아마도 역성혁명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싶었을 듯 한데...
- Music Today : https://www.youtube.com/watch?v=Ejgxby7TcXI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告子章句上 - 03~04 <告子曰 生之謂性> 20150819 (0) | 2015.08.17 |
---|---|
告子章句上 - 01~02 <告子曰 性猶杞柳也> 20150818 (0) | 2015.08.17 |
萬章章句下 - 07 <千乘之君 求與之友而不可得也> 20150813 (0) | 2015.08.12 |
萬章章句下 - 06 <君餽之粟則受之乎> 20150812 (0) | 2015.08.11 |
萬章章句下 - 05 <爲貧者 辭尊居卑 辭富居貧> 20150811 (0) | 201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