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大人者 正己而物正者也> 20151008


19-01 孟子曰 有事君人者 事是君則爲容悅者也

        맹자왈 유사군인자 사시군즉위용열자야


맹자가 말하기를 “임금을 알뜰히 섬기는 사람이 있으니, 그는 임금을 섬기는 그것으로 자기 만족을 하는 사람이다.


19-02 有安社稷臣者 以安社稷爲悅者也

        유안사직신자 이안사직위열자야

稷(직)피,1. 피(볏과의 한해살이풀), 기장(볏과의 한해살이풀) 2. 곡신(穀神: 오곡의 신) 3. 농관(農官) 4. 빠르다 5.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6. 합하다(合--) 7. (해가)기울다/社稷토지신(土地神)과 곡식신(穀食神)이라는 뜻으로서, 옛날에 임금이 국가(國家)의 무사(無事) 안녕(安寧)을 기원(祈願)하기 위(爲)하여 사직단(社稷壇)에서 토지(土地)의 신과 곡식(穀食)의 신에게 제사(祭祀)를 지냈으므로 '사직(社稷)'은 '국가(國家)의 기반(基盤)', 또는 '국가(國家)'라는 뜻으로 변(變)했음


사직을 안정시켜 주는 신하가 있으니, 그는 사직만 안정시켜 주는 것으로 자기만족을 하는 사람이다.


19-03 有天民者 達可行於天下而後 行之者也

        유천민자 달가행어천하이후 행지자야


천민(天民)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으니, 그는 사리에 통달하기 때문에 자기의 이상을 천하에 폄직한 때가 되어야 행동을 하는 사람이다.


19-04 有大人者 正己而物正者也

        유대인자 정기이물정자야


대인(大人)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으니, 그는 자기를 바르게 한 후에 사물을 바르게

하는 사람이다.”


- 준이생각 : 대인이란 자기를 먼저 바르게 한 후에 사물을 바르게 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대인이란 ‘성인’, 또는 ‘어른’으로 쓰인다. 일본어로는 ‘오토나’라고 읽는다. 어른이 되려면 이래야 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