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有三樂> 20151012
20-01 孟子曰 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
맹자왈 군자유삼락이왕천하불여존언
맹자가 말하기를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천하의 왕이 되는 따위는 그 안에 들어 있지 않다.
20-02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俱(구)함께, 갖출
부모가 나란히 살아 계시고, 형제들도 사고 없음이 첫째 즐거움이요.
20-03 仰不愧於天 俯不作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仰(앙)우러를/愧(괴)부끄러울/俯(부)구부릴
우러러 보아도 하늘에 부끄러울 일이 없고, 엎드려 보아도 사람에게 부끄러울 일이 없음이 둘째 즐거움이요,
20-04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 그들을 교육함이 셋째 즐거움이라,
20-05 君子有三樂 而王天下 不與存焉
군자유삼락 이왕천하 불여존언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하지만 천하의 왕이 되는따위는 그 안에 들지 않았다.”
- 준이생각 : 오늘은 많이 들어 왔던 군자 삼락君子有三樂이다.첫째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에게 별 탈 없는 것이고, 둘째가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 없고 사람들에게도 부작不作하는 것이고, - 이 부분이 부끄러운 일을 하지 않는다고 볼것인지, 아니면 사기를 치지 않는다는 것인지는 좀 생각해 볼 문제 – 셋째는 영재를 얻어 그를 교육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중 어느 것에도 천하의 왕이 되는 것, 나아가서는 부자가 된다든지, 큰 벼슬을 한다든지 하는 것을 들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세가지가 어찌 군자만의 즐거움이겠냐...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盡心章句上 - 22 <善養老者> 20151014 (0) | 2015.10.13 |
---|---|
盡心章句上 - 21 <君子所性 仁義禮智> 20151013 (0) | 2015.10.12 |
盡心章句上 - 19 <有大人者 正己而物正者也> 20151008 (0) | 2015.10.07 |
盡心章句上 - 16~18 <無爲其所不爲 無欲其所不欲> 20151007 (0) | 2015.10.06 |
盡心章句上 - 15 <親親仁也 敬長義也> 20151006 (0) | 201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