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조금씩배워보자/동서고전 200선

B009 – 택리지 (擇里志) / 이중환 (李重煥) (1690~1752?) B009 – 택리지 (擇里志) / 이중환 (李重煥) (1690~1752?)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이 각 지방의 자연환경과 인물.풍속.인심 등을 흥미있게 서술한 인문지리서 당쟁의 희생양으로 자유의 몸이 된 후 30여 년간 전국을 방랑하면서 자연환경과 인간생활과의 관계를 연구 60이 지난 노경에 혼신의 힘을 기울여 쓴 저술로, 내용이 크게 사민총론.팔도총론.복거총론(사민총론(四民總論)·팔도총론(八道總論: 평안도·함경도·황해도·강원도·경상도·전라도·충청도·경기도)·복거총론(卜居總論: 地理·生利·人心·山水)·총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전의 군현별로 씌어진 백과사전식 지지에서 벗어나 우리 나라를 인문지리적 방법을 통해 총체적으로 다룬 새로운 지리서의 효시다. a.생애 이익의 제자로 조선후기 실학자.호는 청담... 더보기
B008– 성호사설(星湖僿說) / 이익(李瀷) (1681~1763) B008– 성호사설(星湖僿說) / 이익(李瀷) (1681~1763) 성호는 그의 호이고 사설은 이라는 뜻으로 성호가 겸손한 마음에서 붙인 것이다. 흔히 백과사전류로 부류되는 은 일시적으로 저작된 것이 아니고,40년 동안 생각나고 의심나는 것과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내용을 수시로 기록해둔 것이다. 따라서 번잡하고 중복이 많은 이 방대한 책을 그의 제자 안정복이 잘 정리하여 편찬한 것이 이다. 평생을 야인으로 지낸 성호가 정치.경제.사회 등 국정전반에 걸쳐 재야에서 보내는 개혁의 메시지로, 그 성격과 영향에 있어 청나라의 고증학자인 고염무가 지은 에 견줄 만한 대저로 평가된다. a.생애 중농주의 실학사상의 대가인 이익의 호는 성호, 본관은 경기도 여주. 대대로 높은 관직을 누리던 집안에서 태어나 부친은 당시.. 더보기
B007 – 선가귀감(禪家龜鑑) / 서산대사 휴정 (西山大師 休靜) (1520~1604) B007 – 선가귀감(禪家龜鑑) / 서산대사 휴정 (西山大師 休靜) (1520~1604) 일생동안 성.속의 세계를 넘나들며 살다간 휴정이 선종과 교종으로 대립하던 당시의 불교상황을 타개해하기 위해 저술한 선.교사상의 종합개론서. 선은 곧 부처의 마음 이고 교는 곧 부처의 말씀 이며 무언에서 무언으로 이르는 것은 교 라 하여 선과 교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선의 교에 대한 우월성을 인정하긴 했으나, 선과 교는 상호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보완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은 휴정이 방대한 불전을 요약하여 핵심적인 내용을 뽑아 자신의 주석을 달고 평과 송을 덧붙인, 불교 입문자를 위한 선종 입문서적인 성격을 갖는다. a.생애 서산대사 하면 우리는 임진란 때 의병을 이끈 스님의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사실 그의 .. 더보기
B006 – 징비록(懲毖錄) / 유성룡(柳成龍) (1542~1607) B006 – 징비록(懲毖錄) / 유성룡(柳成龍) (1542~1607) 은 임진왜란으로 초토화한 조국 앞에 국정의 책임자중의 한 사람인 서애(西厓) 유성룡이 바친 만년의 참회록. 유성룡은 선조대에 활약한 문신으로 정치적으로는 남인에 속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그는 병조판서,영의정 등의 직책에 있었다. 은 왜란과정의 수기와 왕에게 올린 글 및 각종 문서를 모은 것이다.전란 전의 대일관계,전쟁의 진행상황,향후의 대비책 등을 포괄적으로 개진하고 있어서,그의 문집인 과 함께 임진왜란사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이다. a.생애 임진왜란을 극복한 조정의 사령탑 유성룡은 경북 의성에서 양반집 가문에서 태어난다.호는 서애.어려서부터 천부의 재질을 보여 6세 때 8세 때 9세 때 를 배웠다. 21세 때 도산서원의 퇴계.. 더보기
B005 – 성학집요(聖學輯要) / 이이(李珥) (1536~1584) B005 – 성학집요(聖學輯要) / 이이(李珥) (1536~1584) 이황이 주자학적 명분론을 이론적으로 완성한 학자라면 이이는 이를 더욱 세련시켜 현실정치에 실현하고자 한 사람이다. 는 퇴계(李滉:1501∼1570)의 에 대응되는 율곡의 저작으로,성리학의 과제와 얼개를 밝힌 후 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기의 방법에서부터 위정자의 자세까지 조목 조목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책 자체로도 성리학의 대강과 한국 성리학의 특징을 잘 볼 수 있지만, 퇴계의 와 비교하면서 보면 주리파와 주기파라는 한국성리학의 두 흐름이 지닌 미묘한 차이까지 느낄 수있다. a.생애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과거시험에 9번 응시하여 9번 모두 장원급제한 율곡과 영원한 현모양처의 상징인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 더보기
B004 – 성학십도(聖學十圖) / 이황(李滉) (1501--1570) B004 – 성학십도(聖學十圖) / 이황(李滉) (1501--1570) 라 불리는 퇴계 이황이 68세 때 서울생활을 마감하면서 16세의 어린 선조를 으로 인도하기 위해 제왕의 길을 말씀 드리고 말로 다할 수 없어 글로 올린 것이 다. 여기서 퇴계는 수신이 정치의 근본이 됨과 동시에 수신의 방법과 그 철학적 근거를 밝히고 군주의 도덕적 수양을 강조하고 있다. 퇴계는 성리학의 요체를 열 개의 그림으로 나타낸 다음 자신의 해설을 덧붙이고 있는데, 우리는 여기서 성리학적 사유의 핵심과 도덕적 명분의 확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대하는 그의 진지한 태도를 엿볼 수 있다. a.생애 정통 성리학의 완성자, 이름은 황, 퇴계는 호. 퇴계가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부친은 세상을 떠나고, 30대 초반의 모친은 별로 배우지는 .. 더보기
B003 – [화담집] 서경덕(1489--1546) B003 – [화담집] 서경덕(1489--1546) 평생을 학문과 제자들의 양성에 전념한 의 완성자인 서경덕의 성리학설과 시문을 그의 제자들이 편집한 책이다. 은 18세기 청나라의 건륭제가 거국적이고 필생의 사업으로 편찬한 안에 한국인의 개인 저서로서는 유일하게 소개되었을 정도로 국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는 책으로, 우리는 이 책에서 중국 성리학의 단순한 수용이 아닌 한국 성리학의독자적인 이해과정과 치밀한 철학적 사유의 백미와 함게 자연과 인생을 관조하며 안빈낙도하는 한 철학자의 삶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a.생애 10년 동안 면벽수도한 지족선사는 나에게 하룻밤에 무너졌지만 화담선생은 내가 가까이한 지 오래되었지만 그분의 마음과 몸을 어지럽히지 않으셨다. 성인이시로다 고 감복한 것은 당대 최고의 명기였던 .. 더보기
B002 – [삼국유사] 일연(1206~1289) B002 – [삼국유사] 일연(1206~1289)우리 삼국시대의 역사. 문학. 종교. 지리. 사상. 미술 등의 유산을 담고 있는 한국 고대문화 유산의 보고다. 정사 중심의 에서 빠진 야사를 많이 채록하고 있고, 특히 단군신화와 14수의 향가의 수록은 값진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전체는 5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권은 고조선부터 신라 말까지의 역사를, 3~5권까지는 한국불교사를 담고 있다. 에는 13세기 원의 지배하에서 민족의 수난기를 살아가는 한 선승이자 사상가인 일연의 고뇌와 역사의식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 a.생애 의 저자 일연은 역사가가 아니라 평생 선승의 길을 걸은 승려였다. 그러면 왜 선종 승려이면서 그는 라는 역사서를 저술했을까? 또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의 높은 사학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더보기